백범 김구의 시각에서 바라본 현대 한국이 나아갈 방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범 김구의 시각에서 바라본 현대 한국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2~3

II. 白凡 金九의 일대기.-------------------------3~6

III. 백범의 정치사상.---------------------------6~8

IV. 백범의 시각에서 바라본 현대 한국 문제의 해결 방안.-
------------------------------------------8~11

V. 결 론.-------------------------------11~13

본문내용

내가 白凡 金九라면..
오늘의 韓國 현실을
어떻게 진단 할 것이며..
어디로 향하게 할 것인가!!!
<목 차 >
I. 서 론.----------------------------------2~3
II. 白凡 金九의 일대기.-------------------------3~6
III. 백범의 정치사상.---------------------------6~8
IV. 백범의 시각에서 바라본 현대 한국 문제의 해결 방안.-
------------------------------------------8~11
V. 결 론.-------------------------------11~13
I. 서 론.
“네 소원이 무엇이냐?” 하고 하나님의 물으시면, 나는 서슴지 않고
“내 소원은 대한 독립이요” 하고, 대답할 것이다.
“그 다음 소원은 무엇이냐”? 하면, 나는 또
“우리나라의 독립이요” 할 것이요, 또
“그 다음 소원이 무엇이냐”? 하는 셋째번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를 높여서 “나의 소원은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하고 대답할 것이다.
오늘날 만약 길가는 사람에게 소원을 말하라면, 저렇게 대답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있을까?? 위에 써놓은 저 글을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저 글은 백범 김구 선생의 우리나라의 독립에 대한 갈망을 나타낸 말이다. 첫 번째 소원도 독립, 두 번째 소원도 독립, 세 번째 소원 또한 독립... 내가 만약 저 시대에 살았다면 일제의 강한 압박 속에서 저렇게 대답 할 수 있었을까??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일제의 편에 서지는 않았을까?? 지금에하는 말이라 큰 의미는 없겠지만, 나는 죽는 한이 있더라도, 결코 일본의 편에서는 행동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되었을지는 모르지만, 내가 나라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었다면, 무엇이든 했을 것 같은 심정이다. 하물며, 나라를 팔아먹고 일제의 앞에 서다니.. 절대 용서할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시대정신 앞에 우리는 자랑스러운 민족의 큰 스승을 알고 있다. 다른 위대하신 분도 많지만, 백범 김구 선생님이 바로 그 분이시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높은 문화를 가진 자주, 민주, 통일 조국을 건설하기 위하여 일생을 분투하신 민족의 지도자이자 겨레의 큰 스승이신 白凡 金九 선생님.. 부끄럽게도 나는 지금까지 백범 김구 선생님의 지대한 업적과 노력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있었다.
정치학개론 수업을 수강하며 많은 것을 배우고 또 느꼈지만, 이번 학기의 정치학개론 수업에서 나의 가장 큰 수확은 백범 기념관을 다녀오고, 우리나라에 대해 사랑과 관심이 별로 없이 그저 나 혼자 살아가는데 바빴던 이전의 나의 모습과는 달리, 우리 민족에 대한 관심과 사랑의 마음을 보다 더 확립시킬 수 있게 된 것과, 우리나라의 근현대사에도 여타 외국의 큰 지도자들에 비해 한 치의 손색도 없고 오히려 민족과 국가를 사랑하는 마음에 있어서는 세계의 그 어떤 사람, 지도자보다도 월등한 마음을 갖고 있던 사람이 바로 나의 조상, 우리의 선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나는 큰 자부심을 느끼는 바이다.
또한 20세기 초의 우리나라의 시대상황에 대해 더욱 잘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비록 지금은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이념적인 이유로 남과 북으로 갈려 있지만, 근본적으로 한 민족이었던, 우리 한민족이 어떻게 하여 지금의 현실로 치닫게 되었는가도 알 수 있었다.
우리의 민족의 수난사에 있어서 미국의 행동과 패권국으로서의 타민족에 대한 억압과 자유국가로서 거듭나는 것을 막았던 행동들, 즉, 스스로의 힘으로 일본의 식민을 벗어날 수 있는 역랑이 갖추어져 있던 당시의 우리 민족 내부의 상황과 맞물려 함께 일본을 밀어내자 약속했던 미국이 결국 핵을 사용해, 일본을 무조건 항복 시키고 우리나라를 남의 힘에 의해 해방을 맡게 된 국가로 치부되게 한 미국의 이중성 등을 알 수 있었다.
이제부터는 백범 김구 선생님의 일대기에 대해 알아보고, 백범 김구 선생님의 정치사상과 이념에서 바라본 현대 한국의 문제점들을 분석, 진단해보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도록 하겠다.
II. 백범 김구 선생의 일대기.
백범(白凡) 김구(金九) 선생은 평생을 조국의 독립과 자주 평화 통일에 모두 바친 민족의 지도자이며 겨레의 큰 스승이다.
선생은 조선이 일제의 압력으로 개항을 하였던 1876년 황해도 해주 백운방(白雲坊)에서 가난한 집안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이름은 창암(昌巖)이었다. 그의 집안은 정치사건으로 백운방 텃골에 은거하면서 대대로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아버지 김순영(金順永)은 신분제도에 대한 불평과 불만을 참지 못하는 불같은 성정을 지녔으며, 이로 인하여 인근 양반들의 미움을 받았다.
김구는 어린시절 아버지의 성한 숟가락을 부러뜨려 엿을 바꿔 먹거나, 집에서 몰래 돈을 갖고 나와 떡을 사먹으러 가는 등 유난스럽게 개구쟁이로 자랐다. 아홉 살 때부터 어려운 가정형편에도 글공부를 시작하였으며, 열두 살에 신분차별을 겪고 양반이 되기 위해 본격적인 서당교육을 받았으며, 과거공부를 하였다. 열일곱 살에 황해도 향시(鄕試)에 응시하였으나, 매관매직의 실상을 보고 실망하여 과거로 양반이 되고자 했던 뜻을 버렸다. 그 후 관상공부를 하던 김구는 외적 수양보다 마음을 닦는 내적 수양에 힘쓰기로 하였다.
김구는 1893년 만민평등을 기본사상으로 하는 동학에 입도하였고, 새로운 삶을 개척하였다. 동학교도가 된 후 창수(昌洙)로 개명하였으며, 열심히 동학교리를 공부하는 한편, 활발한 포교활동으로 많은 사람들을 동학에 입도시켜 애기접주라는 별칭을 갖기도 하였다.
1894년 충청남도 보은에서 동학의 2대 교주인 최시형을 만나 팔봉접주(八峰接主)로 임명된 김구는 그해 9월 황해도에서 동학 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선봉장이 되어 해주성을 공격하였으나, 일본국과 관군에 의해 실패하였다. 이후 동학군을 이끌고 구월산 패엽사에서 은둔하며 군사훈련을 실시하였고, 엄격한 군율적용 등으로 인근 백성들에게 존경

키워드

백범,   김구,   일대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8.1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