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社會科敎育의 槪念과 發達科程
2장 社會科의 敎育課程 構成
3장 社會科의 敎育課程
4장 單元計劃과 學習者
5장 授業模型과 學習方法
6장 事實, 槪念, 一般化, 理論의 學習
7장 高級思考力 涵養
8장 社會科 論爭問題의 敎授模型
9장 社會科의 技能學習
10장 社會科와 價値指導
11장 社會科學의 構造와 槪念
12장 社會科의 評價
2장 社會科의 敎育課程 構成
3장 社會科의 敎育課程
4장 單元計劃과 學習者
5장 授業模型과 學習方法
6장 事實, 槪念, 一般化, 理論의 學習
7장 高級思考力 涵養
8장 社會科 論爭問題의 敎授模型
9장 社會科의 技能學習
10장 社會科와 價値指導
11장 社會科學의 構造와 槪念
12장 社會科의 評價
본문내용
대 사회가 당면한 사회문제들을 사회과학의 힘을 빌리지 않고서는 해결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2. 사회과교육은 국어과나 영어과에 비하여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1) 인간과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사회과고육의 가장 중요한 내용을 이룬다.
(2) 사회과 교육은 사회 및 국가의 상황으로부터 영향을 민감하게 받는다.
(3) 사회과 교육은 학문적인 배경과 과목의 이름이 동일하지 않은 과목이므로 종합 학문적 인 성격을 갖는다. 여러 가지 사회과학들이 시민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조직되어야 하 며, 이것은 사회과 교육의 중요한 과제이다.
3. 사회과교육과 사회과학의 차이는 무엇인가? 왜 사회과에서는 교육적인 차원이 강조되는 가?
사회과와 사회교육
(1) 학자와 교육자
학자는 사회현상에 존재하는 법칙을 발견하려는 사람이며, 교육자는 학생들이 그러한 법칙 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교육하는 사람이다.
(2) 사회과학과 사회과
사회과학이 이 법칙을 발견하려는 학문인데 비하여 사회과는 인간과 인간, 자연, 사회제도 등에 관한 사회과학적인 지식을 학생들에게 교육하기 위해서 재조직한 교수용 교과목이다. 즉, 사회과학은 법칙의 발견을 생명으로 하지만 사회과학에서는 학생의 이해라고 하는 교육 현장의 교육적인 면을 더 중요시 한다.
4. 사회과교육과 시민교육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사회교육의 영역은 국민의 교양, 직업교육, 건강 및 보건교육, 가족생활교육, 지역사회교육, 여가교육, 국제이해교육, 국민독서교육, 전통문화 이해교육 등 여러 가지로 사회교육법에 규정되어 있는데, 이렇게 보면 사회교육의 핵심은 역시 시민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 사회과교육에서의 5개 모형의 특징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사회과교육은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지 서술하시오.
(1) 문화유산 전달 모형 : 사회과교육은 사회에서 전해 내려오는 문화적 유산을 학생들에게 전달하여 학생들이 미래의 훌륭한 시민이 되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견해. 사회의 안정을 위하여 의미가 있지만, 보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전통적인 사회과교육의 모형.
(2) 사회과학 모형 : 각종 사회과학을 가르치는 것을 사회과교육의 본질로 보는 입장. 사회과학적 탐구력을 함양하는 것은 좋으나 시민 교육적인 차원이 소홀히 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3) 반성적 사고 모형 : 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성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을 사회과교육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모형. 현대사회의 상황으로 보아 가장 적절한 모형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사회과학적 지식의 체계가 소홀히 될 우려가 있고, 방법론에 너무 치우친다는 비판.
(4) 사회 비판 모형 : 과거의 전통, 현재의 이론과 실천, 제도, 문제 해결과 사고방식 등을 새롭게 재검토하고 비판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사회과교육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부는 모형. 비판적인 능력을 너무 강조하면 문화유산의 전달이나 사회과학 교육이 소홀히 됨.
(5) 개인 발달 모형 : 적극적인 자아 개념과 자아의 발달 및 성취, 개인적 효율성, 개인을 위한 취업준비, 행복한 생활 능력 등의 함양을 중요한 내용으로 하는 모형. 사회성이 소홀히 되는 단점.
- 사회과교육의 당면 과제
(1) 이념정립 : 외래적인 교육 이론에 의존하지 말고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가 이룩하려고 노력했던 이념-민족의 발전, 신문화의 발달, 민주화 등-을 바탕으로 사회과교육의 이념을 모색해 나가야함
(2) 교육과정의 구조화와 통합 주제의 개발 : 현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하기 외해서는 사회과학의 여러 가지 내용을 개념과 법칙에 쫓아서 구조적으로 조직하고 교육해야 함. 또 실제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주제를 발굴하여 학제적 연구와 교수를 하는 것이 필요.
(3) 개념 학습과 고급 사고력의 향상 : 교육방법에서 강의식 수입을 탈피,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
(4) 인간화를 위한 생활 중심 교육 : 학문적인 내용을 기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문제와 적절하게 관련시켜서 교육하는 생활 중심의 사회과교육을 실시해야 함
6. 1960년대에 오면서 사회과교육이 문제해결력과 의사결정능력 등을 강조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사회가 당면한 사회문제들을 사회과학의 힘을 빌리지 않고서는 해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고, 교육 내용에서는 인류의 생존과 직접적으로 관계있는 문제들을 관심을 두었다.
7. 교육내용과 방법 면에서 최초의 사회과교육에 나타나고 있는 특징은 무엇인가?
(1) 전통사회의 사회생활교육: 삼강오륜을 통하여 국왕, 부모, 부부, 친구, 어른들에 대한 관계를 교육
(2) 개화기 및 일제하에서의 사회과 교육: 역사, 지리, 등의 과목이 분리된 채, 한편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교육 노선에 따라서, 다른 한편에서는 독립 운동가들의 민족주의 노선에 따라서 교육이 각각 전개되어 나아감
8. 7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주요 특징을 서술해 보시오.
학생의 창의성 개발을 중시하고 운영에서는 자율성과 다양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 국민보통기본교육과정의 교과와 선택중심교육과정 교과의 도입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이라는 배우 중요한 두 가지의 혁신적인 변화가 교육과정에 나타났다.
9. 해방 후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발전과정을 설명하고 21세기를 향한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과제를 서술해 보시오.
*사회과교육의 발전과정
그동안 6차례에 걸쳐 개정되어 오면서 시대적 상황에 따라서 민족주체성, 경제성장, 지식의 구조화, 민주화, 복지사회 등이 강조 되었다. 또, 초등학교에서는 역사 ,지리, 공민, 등이 일찍 통합되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도 분리형에서 서서히 통합형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사회과교육의 당면과제
(1)이념정립: 외래적인 교육 이론에 의존하지 말고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가 이룩하려고 노력했던 이념-민족의 발전, 신문화의 발달, 민주화 등을 바탕으로 사회교육의 이념을 모색해 나가야함.
(2) 교육과정의 구조화와 통합 주제의 개발: 현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의 여러 가지 내용을 개념과 법칙에
2. 사회과교육은 국어과나 영어과에 비하여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1) 인간과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사회과고육의 가장 중요한 내용을 이룬다.
(2) 사회과 교육은 사회 및 국가의 상황으로부터 영향을 민감하게 받는다.
(3) 사회과 교육은 학문적인 배경과 과목의 이름이 동일하지 않은 과목이므로 종합 학문적 인 성격을 갖는다. 여러 가지 사회과학들이 시민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조직되어야 하 며, 이것은 사회과 교육의 중요한 과제이다.
3. 사회과교육과 사회과학의 차이는 무엇인가? 왜 사회과에서는 교육적인 차원이 강조되는 가?
사회과와 사회교육
(1) 학자와 교육자
학자는 사회현상에 존재하는 법칙을 발견하려는 사람이며, 교육자는 학생들이 그러한 법칙 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교육하는 사람이다.
(2) 사회과학과 사회과
사회과학이 이 법칙을 발견하려는 학문인데 비하여 사회과는 인간과 인간, 자연, 사회제도 등에 관한 사회과학적인 지식을 학생들에게 교육하기 위해서 재조직한 교수용 교과목이다. 즉, 사회과학은 법칙의 발견을 생명으로 하지만 사회과학에서는 학생의 이해라고 하는 교육 현장의 교육적인 면을 더 중요시 한다.
4. 사회과교육과 시민교육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사회교육의 영역은 국민의 교양, 직업교육, 건강 및 보건교육, 가족생활교육, 지역사회교육, 여가교육, 국제이해교육, 국민독서교육, 전통문화 이해교육 등 여러 가지로 사회교육법에 규정되어 있는데, 이렇게 보면 사회교육의 핵심은 역시 시민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 사회과교육에서의 5개 모형의 특징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사회과교육은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지 서술하시오.
(1) 문화유산 전달 모형 : 사회과교육은 사회에서 전해 내려오는 문화적 유산을 학생들에게 전달하여 학생들이 미래의 훌륭한 시민이 되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견해. 사회의 안정을 위하여 의미가 있지만, 보수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전통적인 사회과교육의 모형.
(2) 사회과학 모형 : 각종 사회과학을 가르치는 것을 사회과교육의 본질로 보는 입장. 사회과학적 탐구력을 함양하는 것은 좋으나 시민 교육적인 차원이 소홀히 된다는 비판을 받는다.
(3) 반성적 사고 모형 : 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성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을 사회과교육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모형. 현대사회의 상황으로 보아 가장 적절한 모형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사회과학적 지식의 체계가 소홀히 될 우려가 있고, 방법론에 너무 치우친다는 비판.
(4) 사회 비판 모형 : 과거의 전통, 현재의 이론과 실천, 제도, 문제 해결과 사고방식 등을 새롭게 재검토하고 비판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사회과교육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부는 모형. 비판적인 능력을 너무 강조하면 문화유산의 전달이나 사회과학 교육이 소홀히 됨.
(5) 개인 발달 모형 : 적극적인 자아 개념과 자아의 발달 및 성취, 개인적 효율성, 개인을 위한 취업준비, 행복한 생활 능력 등의 함양을 중요한 내용으로 하는 모형. 사회성이 소홀히 되는 단점.
- 사회과교육의 당면 과제
(1) 이념정립 : 외래적인 교육 이론에 의존하지 말고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가 이룩하려고 노력했던 이념-민족의 발전, 신문화의 발달, 민주화 등-을 바탕으로 사회과교육의 이념을 모색해 나가야함
(2) 교육과정의 구조화와 통합 주제의 개발 : 현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하기 외해서는 사회과학의 여러 가지 내용을 개념과 법칙에 쫓아서 구조적으로 조직하고 교육해야 함. 또 실제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주제를 발굴하여 학제적 연구와 교수를 하는 것이 필요.
(3) 개념 학습과 고급 사고력의 향상 : 교육방법에서 강의식 수입을 탈피,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
(4) 인간화를 위한 생활 중심 교육 : 학문적인 내용을 기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문제와 적절하게 관련시켜서 교육하는 생활 중심의 사회과교육을 실시해야 함
6. 1960년대에 오면서 사회과교육이 문제해결력과 의사결정능력 등을 강조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사회가 당면한 사회문제들을 사회과학의 힘을 빌리지 않고서는 해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고, 교육 내용에서는 인류의 생존과 직접적으로 관계있는 문제들을 관심을 두었다.
7. 교육내용과 방법 면에서 최초의 사회과교육에 나타나고 있는 특징은 무엇인가?
(1) 전통사회의 사회생활교육: 삼강오륜을 통하여 국왕, 부모, 부부, 친구, 어른들에 대한 관계를 교육
(2) 개화기 및 일제하에서의 사회과 교육: 역사, 지리, 등의 과목이 분리된 채, 한편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교육 노선에 따라서, 다른 한편에서는 독립 운동가들의 민족주의 노선에 따라서 교육이 각각 전개되어 나아감
8. 7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주요 특징을 서술해 보시오.
학생의 창의성 개발을 중시하고 운영에서는 자율성과 다양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 국민보통기본교육과정의 교과와 선택중심교육과정 교과의 도입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이라는 배우 중요한 두 가지의 혁신적인 변화가 교육과정에 나타났다.
9. 해방 후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발전과정을 설명하고 21세기를 향한 우리나라 사회과교육의 과제를 서술해 보시오.
*사회과교육의 발전과정
그동안 6차례에 걸쳐 개정되어 오면서 시대적 상황에 따라서 민족주체성, 경제성장, 지식의 구조화, 민주화, 복지사회 등이 강조 되었다. 또, 초등학교에서는 역사 ,지리, 공민, 등이 일찍 통합되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도 분리형에서 서서히 통합형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사회과교육의 당면과제
(1)이념정립: 외래적인 교육 이론에 의존하지 말고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가 이룩하려고 노력했던 이념-민족의 발전, 신문화의 발달, 민주화 등을 바탕으로 사회교육의 이념을 모색해 나가야함.
(2) 교육과정의 구조화와 통합 주제의 개발: 현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의 여러 가지 내용을 개념과 법칙에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의,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편...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교육과정변천과 목표, 중학교(중등) 사회교육(사회과)의 실...
중학교(중등) 사회과(사회교육)의 성격과 교육목표, 중학교(중등) 사회과(사회교육)의 기본내...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특징,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선...
초등학교 6학년 교육목표와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6학년 국어과와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
사회과(교육, 학습)의 목표, 사회과(교육, 학습)의 특징, 사회과(교육, 학습)의 성격, 사회과...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교육)의 정의,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교육)의 성격, 사회과(사회수업, ...
사회과학습(교육, 수업)의 기본방향과 형식, 사회과학습(교육, 수업) 수준별교육과정과 교수...
사회과학습(수업, 교육)의 특성,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목표,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발문...
실과과 환경친화적교육, 과학과 멀티미디어교육 지도자료(학습자료), 미술과 전통문화감상교...
[교육과정 재구성][국어과][수학과][사회과]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교육과정 재구성의 전제...
국어과의 학생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 영어과의 학생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 수학과의 ...
사회과(학습, 교육)의 목표, 사회과(학습, 교육)의 원리, 사회과(학습, 교육) 교육체계, 사회...
수준별교육과정의 가치, 수준별교육과정의 도입 배경, 수준별교육과정의 운영 지침, 국어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