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 국어 하-국어가 걸어온 길-학습활동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등 국어 하-국어가 걸어온 길-학습활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대단원 분석
1) 학습 목표 분석
2) 평가문항 분석
〔보충학습 분석〕
〔심화학습 분석〕
3) 대단원 분석 결과
2. 소단원 분석
1) 고대 국어
(1) 학습 목표 분석
(2) 평가문항 분석
〔고대국어-국어의 뿌리와 줄기-(학습활동)〕
〔고대국어-고대의 국어 생활-(학습활동-1)〕
〔고대국어-고대의 국어 생활-(학습활동-2)〕
〔고대국어-고대의 국어 생활-(학습활동-3)〕
〔고대국어-고대의 국어 생활-(학습활동-4)〕
2) 중세 국어
(1) 학습 목표 분석
(2) 평가문항 분석
〔중세 국어-세종 어제 훈민정음-(학습활동)〕
〔중세 국어-소학언해-(학습활동)〕
3) 근대 국어
(1) 학습 목표 분석
(2) 평가문항 분석
〔근대 국어-동명일긔-(학습활동)〕
〔근대 국어-독립 신문 창간사-(학습활동)〕
4) 소단원 결과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법의 변화, 시제법의 변화, 사동법의 변화, 피동법의 변화, 부정법의 변화, 인칭법의 변화, 격의 변화, 문장 구성의 변화 등을 정리하게 하여 국어 문법 변화의 방향이 어떠했는지 추론하기, 현재 우리가 자주 사용하고 있는 낱말들의 의미를 그 낱말의 옛날 의미를 바탕으로 의미의 확대, 의미의 축소, 의미의 이동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국어 의미변화의 특징이 무엇인지 설명하기 등과 같은 활동을 통해 자기 나름대로 국어 변화의 의의를 탐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기본 활동은 옛말과 현재의 말을 비교해 보고 그 차이점을 말하게 하여 국어 변화의 일반적인 특징을 알게 하는 것인 데 비하여, 심화 활동은 국어의 변화를 음운, 어휘, 문법, 의미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게 함으로써 국어 변화의 다양성을 알게 하고자 하는 활동이다.
【기본】현대 국어와 옛날 국어의 차이점에 대하여 말한다.
이 활동은 현대 국어와 옛날 국어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야기하게 함으로써 국어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데 지도의 중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학생들에게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옛 문헌의 일부 구절이나 어휘를 이용하여 언어가 변화함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할아버지나 할머니가 사용하는 말을 통하여 옛말과 현재의 말 중 차이나는 것을 조사하여 비교하게 한다.
【심화】국어의 음운, 어휘, 문법, 의미상의 시대적 변화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활동은 국어의 역사를 여러 면에서 구체적인 예를 통해 알게 함으로써 국어의 역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지도의 중점이 있다. 예를 들면, 지금까지의 국어의 역사를 통해 볼 때 국어는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지 구체적인 예(‘된소리나 거센소리의 비중이 높아졌다. 순수 우리말의 빈도가 낮아지고 외래어의 비중이 높아졌다. 문장 구조가 외국어의 문장 구조를 닮아 가고 있다. 높임법의 체계가 약화되었다.’ 등)를 찾게 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변화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토의하게 함으로써 국어의 발전 방향에 대해 학생들 나름의 의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2) 평가문항 분석
대단원의 평가문항은 보충학습과 심화학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시된 자료가 학습자에게 던지는 물음에 대한 풀이를 해 보고자 한다.
〔보충학습 분석〕다음은 앞에서 배운 ‘세종 어제 훈민정음’의 서문의 뒷부분이다.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세종 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ㄱ· :엄쏘·리·니 君군ㄷ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叫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ㅋ· :엄쏘·리·니 快·쾡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 :엄쏘·리·니 業·업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ㄷ· ·혀쏘·리니 斗 :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覃땀ㅂ字· · 처 ·펴·아 ·나· 소·리··니·라
ㅌ· ·혀쏘·리·니 呑ㄷ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ㄴ· ·혀쏘·리니 那낭字·짱 ·처 ·펴아 ·나난 소·리 ··니·라
ㅂ· 입시·울쏘·리니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步·봉字··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ㅍ· 입시·울쏘·리·니 漂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ㅁ· 입시·울쏘·리·니 彌밍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慈字· ·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ㅈ·· 니쏘·리·니 卽·즉字·짱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慈字· ·처 · 펴·아 ·나 소·리 ··니·라
ㅊ··니쏘·리·니 侵침ㅂ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ㅅ··니쏘·리·니 戍·字·짱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邪썅字·짱 ·처 · 펴·아 ·나 소·리 ··니·라
· 목소·리·니 字·짱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ㅎ· 목소·리·니 虛헝字·짱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洪ㄱ字·짱 ·처 · 펴·아 ·나 소·리 ··니·라
ㅇ· 목소·리·니 欲욕字·짱 ·처·펴·아 ·나 소·리··니·라
ㄹ· 半·반·혀쏘·리·니 閭령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 半·반·니쏘·리·니 穰ㄱ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 초성의 음가
· 呑ㄷ字· 가·온·소·리 ··니·라
ㅡ·는 卽·즉字· 가·온·소·리 ··니·라
ㅣ· 侵침ㅂ字 가·온·소·리 ··니·라
ㅗ· 洪ㄱ字· 가·온·소·리 ·가·니·라
ㅏ· 潭땀ㅂ字· 가·온·소·리 ··니·라
ㅜ·는 君군ㄷ字· 가·온·소·리 ··니·라
ㅓ·는 業·업字· 가·온·소·리 ··니·라
ㅛ· 欲·욕字· 가·온·소·리 ··니·라
ㅑ· 穰ㄱ字· 가·온·소·리 ··니·라
ㅠ·는 戍·字·짱 가·온·소·리 ··니·라
ㅕ는 字· 가·온·소·리 ··니·라 ⇒ 중성의 음가
【문제 1】 이 글에서 설명한 자모를 자음과 모음으로 분류해 보자.
① (자음의 분류) 자음 23자의 음가를 조음의 위치 별로 체계화
소리나는 위치
소리의 성질
아음
(어금닛소리)
설음
(혓소리)
순음
(입술소리)
치음
(잇소리)
후음
(목소리)
반성음
(반혓소리)
반치음
(반잇소리)
안울림소리
전청(예사소리)






차정(거센소리)





전탁(된소리)






(전탁계열 ⇒ 초성 17자에 속하지 않음)
울림
소리
불청불탁






② (모음의 분류) 모음 11자의 음가를 제자 순서 별로 체계화
소리의 성질
제자 순서
天(양성)
地(음성)
人(중성)
기본자



초출자
ㅗ,ㅏ
ㅜ,ㅓ
재출자
ㅛ,ㅑ
ㅠ,ㅕ
2. 이 글에서 설명한 자모 중 오늘날 없어진 것은 무엇인지 찾아보자.
· 자음 , ,
· 모음
〔심화 학습 분석〕글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너 高麗ㅅ사이어니 엇디 漢語 니을 잘 뇨
내 漢ㅅ사의손 글 호니 이런 젼로 져기 漢ㅅ말을 아노라
네 뉘손 글 혼다
내 漢 당의셔 글 호라
네 므슴 글을 혼다
論語 孟子 小學을 닐그롸
네 每日 므슴 공부다
每日 이른 새배 니러 學堂의 가 스승님 글 호고 學堂의셔 노하든 집의 와 밥 먹기 고 학당의 가 셔품쓰기 고 셔품쓰기 고 년구기 고 고 년구기 고 글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8.14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