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1.1. 연구배경 : 웰빙의 의미
1.2.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1.3. 연구 방법
2. 웰빙이란 무엇인가?
2.1. 웰빙의 사전적 의미
2.2. 웰빙의 출발점
2.3. 실생활에서 접하고 있는 웰빙 문화의 의미와 그 사례
2.3.1. 실생활에서 접하고 있는 웰빙 문화의 의미
2.3.2. 실생활에서 접하고 있는 웰빙 문화의 예
3. 대중들의 웰빙에 대한 의식
3.1 설문지 조사 활용
3.2. 기존의 리서치 조사 활용
4. 웰빙을 이용한 기업의 상업적 이윤추구
4.1 제품 측면에서 본 웰빙의 상업적 이용
4.2. 마케팅 측면에서 본 웰빙의 상업적 이용
4.3. 웰빙의 의미를 왜곡한 기업의 이윤추구 행태
5. 진정한 의미의 웰빙
5.1. 대안적인 웰빙
5.1.1. 네오 웰빙
5.1.2. 로하스족
5.1.3. 슬로비(slobbie)
5.2 올바른 웰빙문화
6. 결론
6.1 연구 요약 및 결과
6.2. 연구의 한계와 나아가야 할 방안
참고 자료
1.1. 연구배경 : 웰빙의 의미
1.2.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1.3. 연구 방법
2. 웰빙이란 무엇인가?
2.1. 웰빙의 사전적 의미
2.2. 웰빙의 출발점
2.3. 실생활에서 접하고 있는 웰빙 문화의 의미와 그 사례
2.3.1. 실생활에서 접하고 있는 웰빙 문화의 의미
2.3.2. 실생활에서 접하고 있는 웰빙 문화의 예
3. 대중들의 웰빙에 대한 의식
3.1 설문지 조사 활용
3.2. 기존의 리서치 조사 활용
4. 웰빙을 이용한 기업의 상업적 이윤추구
4.1 제품 측면에서 본 웰빙의 상업적 이용
4.2. 마케팅 측면에서 본 웰빙의 상업적 이용
4.3. 웰빙의 의미를 왜곡한 기업의 이윤추구 행태
5. 진정한 의미의 웰빙
5.1. 대안적인 웰빙
5.1.1. 네오 웰빙
5.1.2. 로하스족
5.1.3. 슬로비(slobbie)
5.2 올바른 웰빙문화
6. 결론
6.1 연구 요약 및 결과
6.2. 연구의 한계와 나아가야 할 방안
참고 자료
본문내용
업의 이윤추구 행태
지난 3월 26일 COEX 인도양홀에서 열린 2004 웰빙페어. 국내 75개 웰빙업체가 참여한 박람회가 열렸고 한국에서의 웰빙바람이 헛말이 아님을 증명하듯 북적대는 인파로 가득했다. 공기청정기, 자연주의화장품, 유기농식품, 아로마 관련 상품 등 부스를 통해 소개되는 웰빙상품들도 각양각색이었다. 그러나 전시장 내에서 소개되는 웰빙문화는 국내 웰빙붐의 한계를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아로마 관련 상품을 소개하는 부스에서는 아로마향을 첨가했다는 이유로 일반 상품 가격의 2~3배를 호가하는 상품들을 웰빙의 필수제품인 것인 양 떠들어댔다. 건강기구를 소개하는 코너에서도 수 십 만원을 웃도는 건강보조기구가 웰빙문화의 대명사처럼 소개됐다. 각각의 부스는 보다 럭셔리해 보이기 위해 온갖 소품들을 이용해 내부를 치장했으며, 그 같은 기대에 부응하듯 명품으로 치장한 20대 여성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웰빙열풍으로 인해 편리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각광받던 패스트푸드 판매가 주춤한 가운데유기농과 각종 야채와 곡식 등으로 만들어진 슬로우푸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옛부터 보약을 비롯한 각종 민간요법에 의거한 상품에 이르기까지 건강산업이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웰빙바람이 더욱 거세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웰빙식품으로는 와인이나 콩, 두부, 녹차등 단일 식품에서부터 이를 응용한 관련 제품, 신메뉴 등이 줄지어 소개되고 있으며, 유기농 야채만을 전문적으로 파는 대형 마트도 속속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들 상품은 일반 상품에 비해 두 세배나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인 된장, 두부, 검은콩....
수세기 전부터 우리나라는 이미 웰빙속에 살고 있었다. 기업의 웰빙 전략에 현혹되지 않아도, 비싼 웰빙 제품을 구입하지 않아도 우리는 이미 웰빙속에 살고 있다.
5. 진정한 의미의 웰빙
요즘 우리는 웰빙이란 말을 생활 속에서 자주 듣고 있다. 그리고 웰빙을 즐기는 사람들을 가리켜 웰빙족 이라고 한다. 그러나 웰빙족들은 과연 웰빙을 얼마나 바르게 행하고 있는 것 인지 그것은 알 수 없다. 본래의 웰빙이란 심신의 조화를 얻어 여유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환경 친화적인 삶을 즐기는 것도 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웰빙족 뿐만 아니더라도 일반 소비자들 또한 웰빙을 누리고자 하는 마음에 일반 농산물에 비해 2배정도나 비싼 유기농 농산물을 먹음으로써 자연에 가까워진다고 생각을 하고 또 요가나 헬스나 명상등의 것들은 심신을 수양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들 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꼭 비싸고 좋은 것을 몸에 두르거나 사먹거나 해야지만 웰빙은 아니다. 웰빙이라는 것이 꼭 그러한 것들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어설프게 요가와 명상을 한다고 마음이 편해지지는 않는다.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 매일 마사지를 받고, 골프를 치는 사람이라도 가정이나 사업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면 건강이 망가질 수 있다. 반면에 외식 한 번 못할지라도 가족과 함께 저녁산책을 즐길 수 있고, 웃음이 가득한 식탁의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그 자체가 행복일 것이다. 힘든 일상일지라도 가족과 주변사람들을 배려할 수 있는 여유, 그들과의 따뜻한 교감, 조그만 것에 감사하는 태도를 갖는 마음 만들기가 진정한 의미의 웰빙일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웰빙은 그 본래의 의미가 퇴색되어 우리의 생활 속에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웰빙이 지나치게 상품 위주로 다뤄지고 있으며 소비를 조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웰빙 상품이 대부분 고가인 점도 비판의 대상이다
5.1. 대안적인 웰빙
이러한 웰빙의 움직임에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 있고 또 그렇게 이용하고 있고, tv나 신문에서나 모두들 웰빙을 상업적으로만 소개 하고 있는 지금, 몇몇의 사람들은 이러한 웰빙문화에 대해 반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 운동들을 살펴보자.
5.1.1. 네오 웰빙
네오 웰빙(Neo Well-Being) 운동은 웰빙 문화의 본연의 의미에 주목하자는 뜻으로 상업적·물질적 관심에서 벗어나 가정과 삶의 행복을 먼저 추구하자는 사회 대안 운동이다. 돈 없으면 행복할 자격도 없는 사회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네오 웰빙족은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을 우선으로 여긴다. 그래서 이들은 현재의 웰빙 열풍을 경계하고 삶의 진정한 행복을 추구한다. 네오웰빙족들은 지금의 웰빙이 웰빙 본래 의미가 훼손되고 상업적, 물질적으로 이용되어 명품족과 다름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상업적인 웰빙 대신에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이 진정한 웰빙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현재의 웰빙 열풍을 경계하고 삶의 진정한 행복을 추구한다.
5.1.2. 로하스족
로하스는 건강과 환경이 결합된 소비자들의 생활패턴으로 건강과 환경을 심각하게 생각하는 소비 경향이다. 그러나 이들은 정보에 밝고 상품광고에 현혹되지 않으며, 독자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5.1.3. 슬로비(slobbie)
슬로비족은 물질보다 마음을, 출세보다 가정 생활을 중요시한다는 모토를 갖고 있다. 빠르게 돌아가는 생활 속에 건강과 여유를 찾자는 것이 이들의 주장으로, 이 때문에 디지털 문화를 향유하며 빠른 삶의 방식을 선보이는 \'디지털 족\'과는 대조적이라 하겠다.
슬로비족은 직장을 옮기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맡은 일에 충실하고, 저축을 통해 자산을 불리고, 가정을 중요하게 여긴다. 슬로비족의 느리게 살기 운동은 슬로우 푸드 운동 즉, 느림 건강법으로 이어지는데, 된장·간장·고추장은 물론이고, 곰탕·삼계탕·묵 등 우리 전통음식을 주로 식단에 올리며 식생활에서 패스트푸드를 밀어내고 있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이들의 식단에 있다. 일부러 비싼 음식을 사먹지 않아도, 우리의 전통 음식을 식단에 올림으로써 우리의 전통음식이 갖는 건강 식단을 만들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5.2 올바른 웰빙문화
위에서 몇 가지 현재의 웰빙과는 다른 것을 추구하는 것들을 소개해 보았다. 그들과 같이 지금의 웰빙이 많은 부분 상업적인 상품 위주로 이뤄지고 있고, 이것이 소비를 부추기고 있다는 것도 느끼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이러한 유행을
지난 3월 26일 COEX 인도양홀에서 열린 2004 웰빙페어. 국내 75개 웰빙업체가 참여한 박람회가 열렸고 한국에서의 웰빙바람이 헛말이 아님을 증명하듯 북적대는 인파로 가득했다. 공기청정기, 자연주의화장품, 유기농식품, 아로마 관련 상품 등 부스를 통해 소개되는 웰빙상품들도 각양각색이었다. 그러나 전시장 내에서 소개되는 웰빙문화는 국내 웰빙붐의 한계를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아로마 관련 상품을 소개하는 부스에서는 아로마향을 첨가했다는 이유로 일반 상품 가격의 2~3배를 호가하는 상품들을 웰빙의 필수제품인 것인 양 떠들어댔다. 건강기구를 소개하는 코너에서도 수 십 만원을 웃도는 건강보조기구가 웰빙문화의 대명사처럼 소개됐다. 각각의 부스는 보다 럭셔리해 보이기 위해 온갖 소품들을 이용해 내부를 치장했으며, 그 같은 기대에 부응하듯 명품으로 치장한 20대 여성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웰빙열풍으로 인해 편리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각광받던 패스트푸드 판매가 주춤한 가운데유기농과 각종 야채와 곡식 등으로 만들어진 슬로우푸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옛부터 보약을 비롯한 각종 민간요법에 의거한 상품에 이르기까지 건강산업이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웰빙바람이 더욱 거세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웰빙식품으로는 와인이나 콩, 두부, 녹차등 단일 식품에서부터 이를 응용한 관련 제품, 신메뉴 등이 줄지어 소개되고 있으며, 유기농 야채만을 전문적으로 파는 대형 마트도 속속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들 상품은 일반 상품에 비해 두 세배나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인 된장, 두부, 검은콩....
수세기 전부터 우리나라는 이미 웰빙속에 살고 있었다. 기업의 웰빙 전략에 현혹되지 않아도, 비싼 웰빙 제품을 구입하지 않아도 우리는 이미 웰빙속에 살고 있다.
5. 진정한 의미의 웰빙
요즘 우리는 웰빙이란 말을 생활 속에서 자주 듣고 있다. 그리고 웰빙을 즐기는 사람들을 가리켜 웰빙족 이라고 한다. 그러나 웰빙족들은 과연 웰빙을 얼마나 바르게 행하고 있는 것 인지 그것은 알 수 없다. 본래의 웰빙이란 심신의 조화를 얻어 여유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환경 친화적인 삶을 즐기는 것도 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웰빙족 뿐만 아니더라도 일반 소비자들 또한 웰빙을 누리고자 하는 마음에 일반 농산물에 비해 2배정도나 비싼 유기농 농산물을 먹음으로써 자연에 가까워진다고 생각을 하고 또 요가나 헬스나 명상등의 것들은 심신을 수양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들 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꼭 비싸고 좋은 것을 몸에 두르거나 사먹거나 해야지만 웰빙은 아니다. 웰빙이라는 것이 꼭 그러한 것들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어설프게 요가와 명상을 한다고 마음이 편해지지는 않는다. 경제적인 여유가 있어 매일 마사지를 받고, 골프를 치는 사람이라도 가정이나 사업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면 건강이 망가질 수 있다. 반면에 외식 한 번 못할지라도 가족과 함께 저녁산책을 즐길 수 있고, 웃음이 가득한 식탁의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그 자체가 행복일 것이다. 힘든 일상일지라도 가족과 주변사람들을 배려할 수 있는 여유, 그들과의 따뜻한 교감, 조그만 것에 감사하는 태도를 갖는 마음 만들기가 진정한 의미의 웰빙일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웰빙은 그 본래의 의미가 퇴색되어 우리의 생활 속에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웰빙이 지나치게 상품 위주로 다뤄지고 있으며 소비를 조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웰빙 상품이 대부분 고가인 점도 비판의 대상이다
5.1. 대안적인 웰빙
이러한 웰빙의 움직임에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 있고 또 그렇게 이용하고 있고, tv나 신문에서나 모두들 웰빙을 상업적으로만 소개 하고 있는 지금, 몇몇의 사람들은 이러한 웰빙문화에 대해 반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 운동들을 살펴보자.
5.1.1. 네오 웰빙
네오 웰빙(Neo Well-Being) 운동은 웰빙 문화의 본연의 의미에 주목하자는 뜻으로 상업적·물질적 관심에서 벗어나 가정과 삶의 행복을 먼저 추구하자는 사회 대안 운동이다. 돈 없으면 행복할 자격도 없는 사회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네오 웰빙족은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을 우선으로 여긴다. 그래서 이들은 현재의 웰빙 열풍을 경계하고 삶의 진정한 행복을 추구한다. 네오웰빙족들은 지금의 웰빙이 웰빙 본래 의미가 훼손되고 상업적, 물질적으로 이용되어 명품족과 다름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상업적인 웰빙 대신에 정신적인 것을 추구하는 것이 진정한 웰빙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현재의 웰빙 열풍을 경계하고 삶의 진정한 행복을 추구한다.
5.1.2. 로하스족
로하스는 건강과 환경이 결합된 소비자들의 생활패턴으로 건강과 환경을 심각하게 생각하는 소비 경향이다. 그러나 이들은 정보에 밝고 상품광고에 현혹되지 않으며, 독자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5.1.3. 슬로비(slobbie)
슬로비족은 물질보다 마음을, 출세보다 가정 생활을 중요시한다는 모토를 갖고 있다. 빠르게 돌아가는 생활 속에 건강과 여유를 찾자는 것이 이들의 주장으로, 이 때문에 디지털 문화를 향유하며 빠른 삶의 방식을 선보이는 \'디지털 족\'과는 대조적이라 하겠다.
슬로비족은 직장을 옮기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맡은 일에 충실하고, 저축을 통해 자산을 불리고, 가정을 중요하게 여긴다. 슬로비족의 느리게 살기 운동은 슬로우 푸드 운동 즉, 느림 건강법으로 이어지는데, 된장·간장·고추장은 물론이고, 곰탕·삼계탕·묵 등 우리 전통음식을 주로 식단에 올리며 식생활에서 패스트푸드를 밀어내고 있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이들의 식단에 있다. 일부러 비싼 음식을 사먹지 않아도, 우리의 전통 음식을 식단에 올림으로써 우리의 전통음식이 갖는 건강 식단을 만들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5.2 올바른 웰빙문화
위에서 몇 가지 현재의 웰빙과는 다른 것을 추구하는 것들을 소개해 보았다. 그들과 같이 지금의 웰빙이 많은 부분 상업적인 상품 위주로 이뤄지고 있고, 이것이 소비를 부추기고 있다는 것도 느끼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이러한 유행을
키워드
추천자료
현재 아파트 설계의 모든 것
사업계획서(초정리 광천수)
태평양 설화수
BBQ의 성공전략
신제품 마케팅 사례(비요뜨)
참 美人의 기업 분석
비타민 쇼크(에세이식 독후감)
[마케팅사례]마케팅 성공요소와 사례 분석, 국내외 마케팅성공사례 엄선 10가지(김연아, 꽃보...
소비자 트랜드 변화 친환경, 유기농의 이상 LOHAS - 로하스
과장 광고, 허위 광고의 예
친환경 식품점 창업 - 친환경 식품점 창업에 따른 입지선정 및 상권분석.ppt
맛있는 바닷바람이 느껴지는 곳 - 드마리스 레스토랑 D’maris란 “D”(Delicous) +“Maris”(라틴...
[오리온 닥터유 마케팅 전략] 오리온 닥터 유(Dr. You)의 차별화 전략 (오리온 닥터유의 STP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