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목차
Ⅰ. 서 론
1. 문제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발달이론
2. 중학생의 진로발달단계
3. 진로성숙도
4. 선행연구의 분석
Ⅲ.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구성과 활용 전략
1. 구성전략
2. 프로그램의 내용
Ⅳ. 연구 방법
1. 연구 가설
2. 연구 대상
3. 측정 도구
4. 실험 설계
5. 자료 처리
6. 연구 절차
Ⅴ. 결과 및 해석
1. 진로성숙도의 전체태도영역에 미치는 영향
- 가설Ⅰ의 검증
2. 각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
- 가설 Ⅱ, Ⅲ, Ⅳ의 검증
Ⅵ. 논의 및 제언
1. 논 의
2. 결 론
3. 제 언
1. 문제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발달이론
2. 중학생의 진로발달단계
3. 진로성숙도
4. 선행연구의 분석
Ⅲ.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구성과 활용 전략
1. 구성전략
2. 프로그램의 내용
Ⅳ. 연구 방법
1. 연구 가설
2. 연구 대상
3. 측정 도구
4. 실험 설계
5. 자료 처리
6. 연구 절차
Ⅴ. 결과 및 해석
1. 진로성숙도의 전체태도영역에 미치는 영향
- 가설Ⅰ의 검증
2. 각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
- 가설 Ⅱ, Ⅲ, Ⅳ의 검증
Ⅵ. 논의 및 제언
1. 논 의
2. 결 론
3. 제 언
본문내용
사회사업형
타인을 사랑하고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중점을 두는 사람
사회사업가, 교사, 종교인
종교형
종교적 가치관이나 성스러운 것을 추구하는 사람
목사, 장로, 스님 종교인
* 이 가치관 유형은 Spranger(1928)가 제시한 것을 김충기(1995m p.199)가 재구성한 것임.
<이해자료4> 가치관과 진로
옛날에 러시아의 한 수용소에서 다음과 같은 형벌이 있었다고 한다. 수백장의 벽돌을 한쪽에 쌓아 놓고는 다른 반대편으로 그 벽돌을 옮기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는 다 옮긴 벽돌을 죄수로 하여금 다시 원래 장소로 옮기게 하는 것이다. 그 같은 행동을 하루, 이틀, 계속 반복하는 것이다. 이 벽돌을 옮기는 데 드는 고통보다도 왜 이 벽돌들을 옮겨야 하는지 모르는 데서 오는 정신적인 고통으로 하여금 죄 값을 치르게 하는 것이다.
또 어느 건설 현장에서 작업반장이 노동자 한사람을 불려서 구덩이를 파게 했다. 그 사람이 구덩이를 어느 정도 파냈을 무렵 작업반장은 옆자리를 다시 파라고 했다. 또 어느 정도 파내려 갔을 무렵 작업반장은 “어! 아닌데?” 하면서 또 다른 곳을 파게 했다. 이런 과정을 몇 번이나 했다. 그 노동자는 무엇 때문에 구덩이를 파는지 몰랐다.
그래서 노동자는 화를 내면서 말했다.
“내가 무엇 때문에 구덩이를 파는지 말해 주어야 할 것 아니오? 도대체 무엇 때문에 구덩이를 파는지 모르겠소! 일을 못하겠소”.
그러자 작업반장은 놀란 얼굴로 그를 쳐다보며 말했다.
“아 말을 안 했던가요? 지금 수도관 새는 곳을 찾고 있소.”
그 말에 노동자는 다시 삽을 들면서,
“진작에 말했어야 물새는 곳을 찾아서 구덩이를 찾을 것이 아니오.” 하고는 다시 주의 깊게 구덩이를 파기 시작했다.
이 이야기에서 하는 일이 무의미하고, 왜 하는지 모르고 할 때, 그 일을 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내가 왜 이 일을 해야하고, 이 일을 통해서 내가 얻는 것이 무엇인가를 분명히 ks다면 그 일은 재미있고, 설사 고통스럽다 해도 적극적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 그 일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7회기 직업의 이해
직업에 관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적어 봅시다.
1) 직업을 뜻하는 다양한 말들을 찾아봅시다.
2) 전통사회에서 직업의 의미와 현대사회에서 직업의 의미의 차이를 생각해 봅시다.
3) 자신이 알고 있는 직업의 종류를 적어 봅시다.
4) 옛날에는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없어진 직업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5) 옛날에는 없었으나 오늘날에 새로 생긴 직업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6) 앞으로 어떠한 분야에서 새로운 직업들이 많이 생길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7) 과거엔 남성만의 일이 현재는 여성들도 하는 일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8) 과거엔 여성만의 일이 현재는 남성들도 하는 일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9) 다음 표에는 15개의 직업군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각 직업군에 대하여 자신이 아는 직업을 모두 써 보세요.
직 업 군
직 업 명
1. 농 업
2. 사 무 업
3. 통 신 업
4. 건 축 업
5. 예술, 인문학, 과학
6. 가 정 학
7. 보 건
8. 접대 및 오락
9. 제 조 업
10. 해 양 업
11. 매매와 분배
12. 천연자원과 환경
13. 개인서비스
14. 공공서비스
15. 수 송
<이해 자료5>
직업은 어떻게 변천에 왔는가?
직업이란, 경제적 소득을 얻거나 사회적 가치를 이루기 위해 참여하는 계속적인 활동을 말한다. 이 직업의 종류는 어떻게 발전을 해 왔는가?
고대 사회에서의 인간의 일이나 직업은 주로 생계유지와 안전에만 관련되어 있었으므로 그 형식이 극히 제한된 몇 가지 종류밖에는 없었다. 그러나 보다 안락하게 살고 싶은 인간의 끊임없는 욕망이 사회를 끊임없이 변화를 시켜, 이제는 스스로도 놀랄 만큼 직업 세계는 복잡화되고 다양화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ILO의 보고에 따르면, 1600년경 구라파에는 약 200여종, 산업혁명 당시에는 약 400종이던 직업이 1945년에는 10,000종으로 증가하였고, 1965년에는 50,000종이 되었으며, 다시 1974년에는 200,000만종으로 증가하였다고 하고 있다. 또한 어느 학자는 현존하는 직종의 20~30%는 25년 전에는 없었던 직종이며, 앞으로 25년 후에는 우리가 현재 갖고 있는 직업과 직종의 반은 사라질 것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새로운 직종의 증가는 진로 선택의 어려움을 심화시킨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직업 세계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이해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직업의 세계는 급변하는데도 자신이 아는 직업의 종류는 고작 20~30%개도 채 안돼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그것도 모두가 천편일률적으로 ‘의사’, ‘변호사’, ‘교사’, ‘디자이너’와 같은 내용들이 고작이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람들은 취업을 하려 할 때 자신이 알고 있는 직업에 취업하려 한다. 반면에 잘 모르는 직업이나, 직업의 존재 여부를 모르는 곳에는 취업의 기회는 아예 갖지 못한다. 그 결과 대졸인력은 남아돌아 많은 고급인력이 실적 상태이지만 컴퓨터 등 첨단산업 관련직종은 인력난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왜곡된 사회구조 속에서도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직업 지식을 많이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라지는 직업
사회의 변화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변화하는 세계가 바로 직업의 세계이다. 어떤 직업은 사회의 변화와 함께 끊임없이 분화와 전문화의 길을 걷는 반면에, 어떤 직업은 역사의 뒤안길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90년대 이후 직업변동의 가장 큰 원인은 뭐니뭐니해도 컴퓨터 산업의 비약전 발전을 꼽을 수 있다. 많은 분야에서 자동화가 추진되면서 기계가 인간을 대처하게 되었다. 컴퓨터 자동화 시스템 도입은 유통분야의 물품기록원, 전화국교환수, 공항기 비행기 항법사, 인쇄소의 식자공이란 직종을 사라지게 했다.
또 건축기술과 재료공학이 발달하면서 굴뚝청소원과 양철공이 없어졌고, 의류산업부문에서도 직조공, 염색공이라는 직업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또 일회용 소비성향이 커지면서 구두수선공, 자전거수리공, 우산수리공 등의 직업도 사양길에 접어든지 오래
타인을 사랑하고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중점을 두는 사람
사회사업가, 교사, 종교인
종교형
종교적 가치관이나 성스러운 것을 추구하는 사람
목사, 장로, 스님 종교인
* 이 가치관 유형은 Spranger(1928)가 제시한 것을 김충기(1995m p.199)가 재구성한 것임.
<이해자료4> 가치관과 진로
옛날에 러시아의 한 수용소에서 다음과 같은 형벌이 있었다고 한다. 수백장의 벽돌을 한쪽에 쌓아 놓고는 다른 반대편으로 그 벽돌을 옮기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는 다 옮긴 벽돌을 죄수로 하여금 다시 원래 장소로 옮기게 하는 것이다. 그 같은 행동을 하루, 이틀, 계속 반복하는 것이다. 이 벽돌을 옮기는 데 드는 고통보다도 왜 이 벽돌들을 옮겨야 하는지 모르는 데서 오는 정신적인 고통으로 하여금 죄 값을 치르게 하는 것이다.
또 어느 건설 현장에서 작업반장이 노동자 한사람을 불려서 구덩이를 파게 했다. 그 사람이 구덩이를 어느 정도 파냈을 무렵 작업반장은 옆자리를 다시 파라고 했다. 또 어느 정도 파내려 갔을 무렵 작업반장은 “어! 아닌데?” 하면서 또 다른 곳을 파게 했다. 이런 과정을 몇 번이나 했다. 그 노동자는 무엇 때문에 구덩이를 파는지 몰랐다.
그래서 노동자는 화를 내면서 말했다.
“내가 무엇 때문에 구덩이를 파는지 말해 주어야 할 것 아니오? 도대체 무엇 때문에 구덩이를 파는지 모르겠소! 일을 못하겠소”.
그러자 작업반장은 놀란 얼굴로 그를 쳐다보며 말했다.
“아 말을 안 했던가요? 지금 수도관 새는 곳을 찾고 있소.”
그 말에 노동자는 다시 삽을 들면서,
“진작에 말했어야 물새는 곳을 찾아서 구덩이를 찾을 것이 아니오.” 하고는 다시 주의 깊게 구덩이를 파기 시작했다.
이 이야기에서 하는 일이 무의미하고, 왜 하는지 모르고 할 때, 그 일을 하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내가 왜 이 일을 해야하고, 이 일을 통해서 내가 얻는 것이 무엇인가를 분명히 ks다면 그 일은 재미있고, 설사 고통스럽다 해도 적극적으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 그 일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7회기 직업의 이해
직업에 관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적어 봅시다.
1) 직업을 뜻하는 다양한 말들을 찾아봅시다.
2) 전통사회에서 직업의 의미와 현대사회에서 직업의 의미의 차이를 생각해 봅시다.
3) 자신이 알고 있는 직업의 종류를 적어 봅시다.
4) 옛날에는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없어진 직업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5) 옛날에는 없었으나 오늘날에 새로 생긴 직업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6) 앞으로 어떠한 분야에서 새로운 직업들이 많이 생길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7) 과거엔 남성만의 일이 현재는 여성들도 하는 일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8) 과거엔 여성만의 일이 현재는 남성들도 하는 일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9) 다음 표에는 15개의 직업군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각 직업군에 대하여 자신이 아는 직업을 모두 써 보세요.
직 업 군
직 업 명
1. 농 업
2. 사 무 업
3. 통 신 업
4. 건 축 업
5. 예술, 인문학, 과학
6. 가 정 학
7. 보 건
8. 접대 및 오락
9. 제 조 업
10. 해 양 업
11. 매매와 분배
12. 천연자원과 환경
13. 개인서비스
14. 공공서비스
15. 수 송
<이해 자료5>
직업은 어떻게 변천에 왔는가?
직업이란, 경제적 소득을 얻거나 사회적 가치를 이루기 위해 참여하는 계속적인 활동을 말한다. 이 직업의 종류는 어떻게 발전을 해 왔는가?
고대 사회에서의 인간의 일이나 직업은 주로 생계유지와 안전에만 관련되어 있었으므로 그 형식이 극히 제한된 몇 가지 종류밖에는 없었다. 그러나 보다 안락하게 살고 싶은 인간의 끊임없는 욕망이 사회를 끊임없이 변화를 시켜, 이제는 스스로도 놀랄 만큼 직업 세계는 복잡화되고 다양화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ILO의 보고에 따르면, 1600년경 구라파에는 약 200여종, 산업혁명 당시에는 약 400종이던 직업이 1945년에는 10,000종으로 증가하였고, 1965년에는 50,000종이 되었으며, 다시 1974년에는 200,000만종으로 증가하였다고 하고 있다. 또한 어느 학자는 현존하는 직종의 20~30%는 25년 전에는 없었던 직종이며, 앞으로 25년 후에는 우리가 현재 갖고 있는 직업과 직종의 반은 사라질 것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새로운 직종의 증가는 진로 선택의 어려움을 심화시킨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직업 세계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이해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직업의 세계는 급변하는데도 자신이 아는 직업의 종류는 고작 20~30%개도 채 안돼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그것도 모두가 천편일률적으로 ‘의사’, ‘변호사’, ‘교사’, ‘디자이너’와 같은 내용들이 고작이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람들은 취업을 하려 할 때 자신이 알고 있는 직업에 취업하려 한다. 반면에 잘 모르는 직업이나, 직업의 존재 여부를 모르는 곳에는 취업의 기회는 아예 갖지 못한다. 그 결과 대졸인력은 남아돌아 많은 고급인력이 실적 상태이지만 컴퓨터 등 첨단산업 관련직종은 인력난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왜곡된 사회구조 속에서도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직업 지식을 많이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라지는 직업
사회의 변화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변화하는 세계가 바로 직업의 세계이다. 어떤 직업은 사회의 변화와 함께 끊임없이 분화와 전문화의 길을 걷는 반면에, 어떤 직업은 역사의 뒤안길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90년대 이후 직업변동의 가장 큰 원인은 뭐니뭐니해도 컴퓨터 산업의 비약전 발전을 꼽을 수 있다. 많은 분야에서 자동화가 추진되면서 기계가 인간을 대처하게 되었다. 컴퓨터 자동화 시스템 도입은 유통분야의 물품기록원, 전화국교환수, 공항기 비행기 항법사, 인쇄소의 식자공이란 직종을 사라지게 했다.
또 건축기술과 재료공학이 발달하면서 굴뚝청소원과 양철공이 없어졌고, 의류산업부문에서도 직조공, 염색공이라는 직업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또 일회용 소비성향이 커지면서 구두수선공, 자전거수리공, 우산수리공 등의 직업도 사양길에 접어든지 오래
추천자료
청소년의 비행실태 및 예방대책과 진로지도 방안
진로 검사 보고서
[청소년인성교육및상담]민호의 Holland, Adler, Jung의 이론에 근거한 진로 지도 및 분석
[진로교육][진로지도][초등학교교육]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의의, 초등학교진로교육(...
진로지도(진로교육) 이론 고찰과 중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목표, 중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
초등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목표, 초등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내용과 방법, 초등학교진...
진로지도(진로교육)의 개념, 진로지도(진로교육)의 필요성, 진로지도(진로교육)의 목표, 진로...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 초등학교진로교...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의미,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중요성,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주요 영역,...
청소년기 정신건강(성격과 대인관계, 전공과 진로, 이성교제와 친밀감, 음주와 생활습관, 군...
청소년기 정신건강 파워포인트 PPT(성격과 대인관계, 전공과 진로, 이성교제와 친밀감, 음주...
학생(민지)의 진로방향에 대한 홀랜드, 융, 아들러의 관점
인관관계론 진로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