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의 평가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축제의 평가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지방자치시대에 지역축제 연구의 중요성

Ⅱ. 지역축제에 대한 선행적 분석
1. 지역축제의 유형
2. 지역축제의 현황과 실태
3. 문화관광축제 현황과 실태

Ⅲ.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의 분석
1. 분석의 기준
2. 성공사례…함평 나비 대축제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3. 실패사례…‘99년 하남시 환경 박람회

IV. 지역축제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1. 한국 지역축제의 문제점
2. 한국 지역축제의 활성화 방안

Ⅴ. 결론 : 지방자치시대 지역축제의 의의와 중요성 재인식

본문내용

새로 개최되기 시작한데 비해 ′94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거의 두 배에 이르는 31개의 축제가 새로 탄생하였으며 ′95년에는 36개, ′96년에는 72%가 증가한 62개가 새로 개최되기 시작하여 지역축제의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여 준다. (김선기, 2003년)
1994년 이후에 새로 개최되기 시작한 지역축제는 지난 수십년 동안 개최되어 온 지역축제 수의 두 배에 육박하는 354개로 나타나,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역축제가 짧은 기간 동안 급격히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민선 자치단체장이 지역축제를 지역통합 및 지역경제발전의 수단의 일환으로 인식하여 지방자치시대에서 지역축제의 육성과 이를 통한 지역발전과 지역문화진흥이 시급하고 중대한 과제로 생각하고 있음을 다시 확인 할 수 있다.
(3) 지역축제의 규모
<그림 Ⅱ-2>지역축제의 예산규모, 2003년 기준
1) 지역축제 예산에 따른 분포
축제예산은 축제의 외형적 규모는 물론 축제의 내면적 질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실제로 지역축제의 개최예산을 보면 최소 2~3천만의 규모에서부터 장보고 축제와 같이 십수억 원에 이르는 규모까지 매우 다양한 수준을 보인다. 하지만 대부분 전반적으로 영세한 규모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유승우 · 박경철(2004), P.31 재구성
<그림 Ⅱ-3>지역축제 방문객 수, 2003년 기준
2) 지역축제 방문객 수에 따른 분포
축제의 외형적 규모를 가늠하기 위해 축제의 방문객 수를 살펴보면, 1~5만 명이 가장 많은 31.2%를 차지한데 비해, 비교적 대규모라고 할 수 있는 5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모은 지역축제는 8.7% 정도에 그쳤다. 축제가 최소 3일에서 5~7일 정도 개최되는 점을 감안한다면 절반 이상의 축제가 사실상 영세한 규모라고 할 수 있다.
자료: 유승우 · 박경철(2004), P.31 재구성
(4) 지역축제 성격 및 소재
지역축제는 축제의 종류에 따라 성격을 달리 한다. 지역축제는 프로그램의 내용구성에 따라 전통문화축제, 예술축제, 종합축제, 기타축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지역 축제의 성격별 분포는 전통문화축제가 16.3%, 예술축제가 14.1%인데 비해 종합축제는 51.9%로 나타나 지역축제가 뚜렷한 특성이 없이 여러 프로그램이 혼합되는 종합축제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단일 프로그램이 주종을 이루고 있거나 독창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타축제는 19.8%의 비중을 차지하지만 이마저도 단순히 ‘아가씨 선발대회류’의 지역축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문화체육부(1996), 김선기(2003) 재인용
상당수의 지역축제가 종합축제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축제는 지역의 고유한 장소자산을 소재로 삼고 있다. 이러한 장소자산은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특산물이 대표적인데 이 또한 매우 한정된 범위에서의 소재를 활용하고 있다. 지역축제의 소재가 한정적이고, 대다수 중복되기 때문에 특화된 축제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모든 자치단체가 한정된 소재들을 백화점식으로 결합하여 축제를 구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축제 간 독자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자치단체 간 타 지역축제를 모방하거나 답습하는 경향이 있어, 그만큼 축제의 이미지 구축이나 인지도 확보에 실패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3. 문화관광축제 현황과 실태
1994년 한국방문의 해를 계기로 정부에서는 지역문화축제의 관광상품화가 절실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1995년 지방화시대와 함께 지역축제를 문화관광상품화 하려는 시도로 매년 지역축제 중 외래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축제를 문화관광축제로 선정하여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1995년 이천 도자기축제를 시작으로 1996년 금산인삼축제, 진도영등제, 광주김치축제 등 8개의 지역축제를 ′96문화관광축제로 선정하기 시작하여, 1999년에는 21개, 2001년에는 30개, 2004년에는 37개, 2005년에는 45개 축제를 문화관광축제로 지정하였으며,. 문화관광부,「문화관광축제 지원내역 (2001~2005)」. 2006
추후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최우수 2005년도 문화관광부 선정 최우수 문화관광축제는 김제지평선축제, 강진청자문화제안동, 국제탈춤페스티발 등 이다.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www.mct.go.kr. 참고)
, 우수, 지원육성, 유망, 예비축제로 등급을 나누어 등급에 따라 지원 규모를 다르게 하고 있다. 2005년도 문화관광부 선정 문화관광축제 현황을 보면 문화관광축제로 총 45개가 선정되었고, 선정등급별로 보면 최우수 3개, 우수 7개, 지원육성 8개, 유망 9개, 예비 18개 축제이다,. 지원액은 최우수 2억 5천만 원, 우수 1억 3천만 원, 지원육성 6천만 원, 유망 4천만 원이고 예비축제에는 지원금이 없다, 총 지원금은 25억 원에 이른다.(문화관광부 홈페이지 www.mct.go.kr. 참고)
2005년도에 개최된 문화관광축제 중에서 지역주민은 제외하고 외국인은 포함한 외지관광객의 점유율이 가장 높은 축제는 함평나비축제였으며, 화천산천어축제와 보령머드축제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반면 외지관광객의 비율이 가장 낮은 축제는 광주김치축제와 울주옹기축제였으며, 이밖에 대구약령시축제, 부산광안리어방축제, 하이서울페스티벌 등의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실제로 이러한 문화관광축제의 경우 지역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주어 경제적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2003년도 기준으로 풍기 인삼축제가 804여억 원, 함평 나비축제가 694여억 원, 금산 인삼축제가 651여억 원 등의 수익을 오려서 지역경제에 무시 못 할 주된 수입원이 되어주었다. 경제적 효과는 문화관광부가 해당 시군에 의뢰해 파악한 수치를 기초로 하여 그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이 많이 있었다. (문화관광부 관광지식정보시스템 www.tour.go.kr 문화관광축제 자료 분석)
Ⅲ.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의 분석
1. 분석의 기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실제의 사례를 선정하였고, 단, 서울과 부산 등 6대도시에서 개최하는 축제는 제외했다. 관광객의 수나 지원규모가 여타 중소도시주체의 지역축제와는 비교할 수 없기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8.30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