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통신언어와 외계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학] 통신언어와 외계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외계어의 정의 및 원인
1) 외계어의 정의
2) 외계어 발생 원인
2. 외계어사용의 현황
1) 외계어사용의 현황
2) 외계어사용의 현황
3. 외계어의 관련기사
4. 해결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과제후

본문내용

사회성과 단어를 조합하고 변형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가진다. 이런 창의성과 사회성으로 인해 무조건적인 사용 금지가 아닌 순화되어 통신언어의 일부로 사전에 등재되는 변화도 있으나, 휴대폰 문화와 통신문화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만큼 언어파괴현상과 외계어 사용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방대해 지고 있다.
외계인의 정의는 지구 밖의 다른 천체에서 온 우주인이다. 지구인이 아닌 우주인이 쓰는 언어라는 지구인이 알 수조차 없는 외계어라고 불릴 정도면 그 정도가 얼마나 지나 치다고 할 수 있겠는가? 우리의 고유언어를 사랑하고 아껴줄 사람은 다른 나라 사람이 아닌 우리라는 것을 깨닫고 바르게 지켜나갈 수 있도록 문제점과 원인, 대책을 알아보고 실천 해 나가야한다.
Ⅱ. 본론
1. 외계어의 정의 및 원인
1) 외계어의 정의
외계어를 간단히 정의해 보자면
첫째, 극도로 축약한다.
둘째, 한자와 숫자, 영어, 특수문자 등 컴퓨터, 핸드폰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것은 다 쓴다.
셋째, 표준어와 어법을 완전 무시하고 보이는 대로, 읽히는 대로 쓴다. 이다.
외계어란 외계인이 쓰는 언어라는 말로 해석할 수 있긴 하지만 이른바 외계어라 부르고 있는 인터넷 통신 언어는 통신 언어의 오락적 기능만을 부각시켜서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인터넷 통신 언어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인 인터넷 통신 언어는 음운 축약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때로는 자모를 옆으로 길게 늘여 쓰는 경우도 있다. 외계어가 인터넷 통신 언어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무작정 줄여 쓰기가 기본이 되는 것이 아니라 늘여 쓰기도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1. ∈ł프ロどБ (터프만땅) 2. 바다oF (바다야) 3. ㈛㉯만말하l두지만,㈏,너절대로안보나l (하나만말해두지만, 나, 너 절대로 안 보내) 4. 안녕하세여, 반가워여(안녕하세요, 반가워요) 1, 2번은 늘여쓰기도 아니고 음운축약도 아니다. 단지 자모의 연결이 부드럽지 않게 되는데 이것은 자모사이에 일어나 기호(워드의 전각기호)가 삽입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3번은 일어는 삽입되어 있지는 않으면서 한글97과 같은 프로그램에 있는 괄호문자와 하나의 모음을 분리해서 사용하는 경우이다. 또 4번은 ~요 로 끝나는 문장을 ~여 로 바꾼 것인데 이는 키보드 글쇠의 위치 오류로도 볼 수 있다. 키보드를 살펴보면 ㅛ 옆에 ㅕ 가 위치하여 있는데, 우연히 안녕하세요 를 치다가 오타로 안녕하세여 를 친 것이다. 이에 딱딱한 인터넷 텍스트에 싫증을 느낀 사용자들이 그 우연하고 잘못된 오타에 신선함을 느끼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경우도 있다.
외계어란 말 그대로 외계에서 쓰는 우리 언어에는 맞지 않는 어법, 한글 사이사이의 기호삽입 으로 보이는 것에만 치중하고 특별해 보이기 위한 인터넷언어이다.
2) 외계어의 발생 원인
(1) 통신비 절감과 재미 거리
초창기 pc통신이 처음 생겨났을 때는 모뎀을 사용해 시간당 요금을 계산하는 체계였다. 이때는 통신 시간을 줄여 통신비를 절감하는 것의 목적으로 통신언어가 생겨나게 되었다. 통신언어는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외계어 와는 조금 다른 개념을 가진다. 통신언어는 통신비 절감을 위해 말보다 느린 손으로 쓰는 언어를 조금이라도 빨리 하기 위해 말을 줄여 쓰기 시작한데서 유래된다. 예를 들면 선생님은 쌤으로, 안녕하세요 는 방가 로, 수업은 섭 등의 줄임말이 통신언어이다. 이 시절에는 이런 줄임말의 사용이 사회적인 문제로 까지는 여겨지지 않았다. pc통신은 사용하는 사람도 많지 않은 매체였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줄임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과 사용하는 사람들의 대화가 매끄럽게 이어지지 못할 뿐이었다.
하지만 이런 모뎀pc통신에서 벗어나 ADSL, VDSL, 케이블 통신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인터넷매체를 이용하는 사람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고,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등의 대중매체 사용을 거의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 것처럼 인터넷도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 매체가 되면서 이 줄임말과 외계어의 탄생이 사회적 문제 가 된 것이다.
\'통신비 절감\' 또는 \'쉬운 재미 거리\'의 용도로 쓰이던 초기 외계어(통신언어)는 다른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24시간 써도 전기료만 나오는 데다 빠르기까지 한 전용 인터넷 선은 사용자들에게 더 이상 통신비 절감을 위해서 통신 언어를 쓸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그래서 \'통신비 절감\'과 \'쉬운 재미 거리\'였던 용도에서 \'통신비 절감\'은 제외되고 오로지 \'재미 거리\'로만 발전하게 된다.
(2) 잘못된 개성욕구
통신비 절감의 시대에서 벗어나 전용 인터넷 사용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안녕하세여\'라는 말들은 10대 세대에서 먼저 지겹고 식상해 하게 된다. 그래서 10대들은 특성상 \'조금 더 귀엽고 조금 더 예쁘게\'라는 목적으로 새로운 외계어를 양산하기 시작했다. 통신비 걱정이 없어진 그들은 이제 한글의 자모를 누르고 한자키를 누르면 나오는 \'특수문자\'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특수문자\'는 쓰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그들에겐 이제 통신비라는 족쇄가 없었으므로 유행하기에 가능했다.
이 때부터 사용자들은 다른 사람과 조금이라도 다르게 보이길 원하면서 특수문자, 기호, 영어 (그렇너l, 아ㄴlㅇF)를 자음, 모음 대용으로 쓰기 시작했다.
(3) 단순히 따라 쓰게된 경우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사용자들은 다른 사용자들의 외계어 사용을 늘 보면서 자각하지 못하고, 또 예쁘다고 생각하면서 외계어를 따라 쓰게 된다. 또 10대들은 다른 아이들은 하는데 자신이 하지 않으면 소외감을 느끼기도 하고, 또 왕따를 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아무렇지 않게 외계어를 따라 사용하게 되었다.
2. 외계어사용의 현황
1) 외계어사용의 현황
언어파괴를 보다 못한 교육부에서 교사용 지침서를 만들어 외계어 확산 예방에 나섰다고 한다. 그럼 외계어의 사용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겠다.
① よ0ぎビλĦコ_¤ 안녕하세요
외계Юづド 꼭 ŀつ-l승 r느l그욧, 외계어가 나쁜 것은 아니구요.
㉻㉯으l 으ıハト소통을 할水잇눙 水단이여l횹
하나의 의사소통할 수 있는 수단이에요.
ロЙ흴_ゼつじĦ㈜λıっズき¿? 메일 보내주실 거지요?
② 앙 뇽 들 하 쉐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9.1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