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이버 공간 속 우리 언어의 자화상
개요서
교과 과정안
구체적 교과 과정안
1. 통신어의 내용상의 문제
2. 형식상의 문제
위험 수위 넘은 한글 파괴
인터넷은 지금 외계어와 전쟁 중
인터넷 언어 국어파괴 너무 심하다
※학습 사례
※해결 방안
개요서
교과 과정안
구체적 교과 과정안
1. 통신어의 내용상의 문제
2. 형식상의 문제
위험 수위 넘은 한글 파괴
인터넷은 지금 외계어와 전쟁 중
인터넷 언어 국어파괴 너무 심하다
※학습 사례
※해결 방안
본문내용
통한 변형도 두드러진다. \'새끼\'가 \'쉐리, 쉐이\'가 되고 \'겨우\'가 \'제우\', \'꺼져\'가 \'버져\'가 되는 식이다. 이것은 욕설이 주는 직접적 도발성을 줄이기 위해서 생겨난 것으로 \'새끼\'는 \'쉐이\'로, \'놈\'은 \'넘\'으로, \'년\'은 \'뇬\'으로 바꿔 말하기도 한다. \'씨팔\'이나 \'좆나게\' 같은 비속어 역시 \'씨바, 띠바\', \'졸라, 절라\'로 살짝 비틀어 어감의 강렬함을 경감시킨다. 그 외에도 단어 뒤에 \'다리깐다(둘이서 정당히 싸우는 것), 센터깐다(가방 검사한다)\'와 같이 \'-까다\'란 말이 자연스레 따라 붙는 것도 특징의 하나다.
(나) 은어 사용
통신 언어에서 은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통신 언어의 특성 중 하나이면서 동시에 통신 언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앞서 말했던 바와 같이 \'인가니(인간이), 가튼데(같은데), 마자마자(맞아맞아)\'와 같은 이어적기, \'조아(좋아), 방가(반가워), 칭구(친구), 만타(많다),추카추카(축하축하)\'와 같은 소리나는 대로 적기, \'구래 이넘아(그래 이놈아), 오믄(오면), 알쥐(알지), 넝담(농담), 안냐세요(안녕하세요)\'와 같은 바꾸어 적기, \'겜방(게임방), 금(그럼), 맴(마음), 글쿤요(그렇군요), 아뒤(아이디)\'와 같은 음절 줄이기 등도 은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심심\' 대신에 \'띰띰\'을 사용하고, 심심할 때는 \'음야\'라는 말을 사용하고, \'잠수\', \'당근\'과 같이 의미가 변형된 단어들이나 \'오케오케\', \'아뒤\' 등 정확치 않은 외래어 및 외국어의 사용이나 약어 등이 모두 통신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은어의 예들이다.
비속어나 은어와 같은 불건전한 언어의 사용은 컴퓨터 통신에 입문하는 경우 혼란을 일으키고, 일반 통신인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며, 언어발달이나 국어순화에 악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비속어나 무분별한 외래어 남용은 정화되어야 한다. 불건전 언어라고 규정한 어휘들의 사용이 컴퓨터 통신인 사이에 가상공간(cyber space)에서 간단하고, 즉흥적이며, 직접적이고, 생동감 있는 문체로 부담 없이 용이한 글을 올릴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세계와 언어의 균형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지향되어야 할 과제 중의 하나이다.
2. 형식상의 문제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무시는 물론 일상어를 뒤틀어 놓은 새로운 신조어들은 통신 언어를 일종의 \'특수어\' 형태로 만들고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하여 기성 세대나 국어학자들은 언어를 파괴하는 것이라고 비판을 하는데 반하여, 네티즌들은 통신 사회의 특성상 나타난 언어 현상으로 청소년 계층의 고유한 계층성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옹호하고 있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통신 언어가 통신에서만 사용되는데 그치지 않고 일상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면 간과할 문제가 아니라 생각한다. 더욱이 이런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대다수가 앞으로 언어 생활을 이끌어 갈 청소년층이라면 그 심각성은 더할 것이다.
(가) 맞춤법 파괴
통신 언어에서는 자음과 모음을 따로 따로 분리하여 표기하는 방식과 띄어쓰기를 완전히 무시한 형태들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ㅂㅂㅏㅂㅂㅏㅅㅣ∼∼∼\"라든가 \"매일매일 ㅎㅐㅍㅣㄷㅔㅇㅣㅎㅏㅅㅔㅇㅕ !!!\"라는 식이다. 받침이 있는 글자들은 \"ㄱㅏㄱㅣㅈ ㅅㅣ\"이나 \"ㅅ\"과 같이 여러 줄을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ㅁ ㅗ ㅁ ㅠ
ㅇ
앞서 통신 언어의 특성에서 밝혔던 바와 같이 경제적·심리적·사회적·매체적 원인 등에 의하여 형성된 통신 언어는 일상 생활에서 쓰는 언어와는 다른 독특한 변이 양상과 특성을 지닌다. 이런 통신 언어는 컴퓨터 통신의 대화방이나 토론방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또, 짧고 즉흥적이며 직접적이고도 생생한 문체로 글을 쓰게 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하지만, 현행 맞춤법과 문법을 완전히 무시한 언어라는 사실을 간과할 수는 없다. 현재는 맞춤법이나 표준어에 맞지 않는 것을 알면서 재미 삼아 통신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런 언어를 계속 사용한다면 어떤 것이 표준어이며 맞춤법에 맞는 언어인지 혼란스러울 때가 올 것이다. 아직 표준어나 맞춤법을 확실히 모르는 초등학생도 55%가 컴퓨터 통신의 대화방이나 토론방을 이용하고 있음을 볼 때 그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또 이렇게 맞춤법과 문법에 어긋난 표기를 계속하다보면, 규칙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사고가 자리잡을 수도 있다. 실제로 현재 청소년이 사용하고 있는 통신 언어를 고칠 필요가 있냐는 설문 조사에서 \'고치지 말아야 한다\'는 대답이 고쳐야 한다는 대답과 똑같은 50%를 차지했다. 또한 \'인터넷상에서 철자를 무시하고 한글을 표기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그렇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40%), \'그냥 자연스러운 현상\'(38%)으로 응답해, 무려 78%가 한글의 엉터리 표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 글자 파괴
지금까지 살펴본 통신 언어의 특성과 문제점들은 이제 언급할 글자 파괴의 문제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다. 현재 초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통신 언어들은 통신상에서 대화의 효율성을 위해 썼던 줄여쓰기의 단계를 넘어선지가 이미 오래이며, 한자와 특수문자 등을 남용하고, 상대방을 부를 때 \'00님아\'로 일관하여 존대말은 찾아볼 수가 없다. 대화방과 게시판 글을 갈무리한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 1) 대화방
학생1 : ㉡┫집ⓔya?¿
학생2 : 항궝.강타.왕써횻?
학생1 : 눙ㆌ.깡빡깡빡㉪ㅖ...╋.┯
학생2 : 잉따㉮.나왕셔.봉씨닷;;
학생1 : 퓌공해횻.풋풋..굼양.ⓞ능.봉지.망씨닷;;
학생2 : 앙냐옹꾜얏??¿¿.글엉.톨아징㉠┫0ㅑ.!! --^
학생1 : 5능.졍망.퓌공ㅎㅒ셔.몽㉡ㅑ㉸겡셔.녜일.항교에셔.봉씨㉢ㅑ--;;
학생2 : 그례??.그렴.엉쪄.슈.엉찌..쟝.쉬여..
학생2 : 앙 켓 앙 켓 쟐 가 효^-^
학생2 : 준호닝.앙냥㉻㉦ㅖ횻?
학생2 : 와ⓔ.대댜-ㅂ이.엉ㅆㅕ횻?..
기 자 : ^^;
학생2 : 쳬륑 몽태횻?
학생2 : 헐... ●ㅏ졍씨쟝●ㅏ?¿
기 자 : v^^;
학생2 : v난 ㉧┃먕 쟘수. ₩ㅏ₩ㅏ.!!
예 2) 게시판 글
㉯㉯납!! 因九月패
(나) 은어 사용
통신 언어에서 은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통신 언어의 특성 중 하나이면서 동시에 통신 언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앞서 말했던 바와 같이 \'인가니(인간이), 가튼데(같은데), 마자마자(맞아맞아)\'와 같은 이어적기, \'조아(좋아), 방가(반가워), 칭구(친구), 만타(많다),추카추카(축하축하)\'와 같은 소리나는 대로 적기, \'구래 이넘아(그래 이놈아), 오믄(오면), 알쥐(알지), 넝담(농담), 안냐세요(안녕하세요)\'와 같은 바꾸어 적기, \'겜방(게임방), 금(그럼), 맴(마음), 글쿤요(그렇군요), 아뒤(아이디)\'와 같은 음절 줄이기 등도 은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심심\' 대신에 \'띰띰\'을 사용하고, 심심할 때는 \'음야\'라는 말을 사용하고, \'잠수\', \'당근\'과 같이 의미가 변형된 단어들이나 \'오케오케\', \'아뒤\' 등 정확치 않은 외래어 및 외국어의 사용이나 약어 등이 모두 통신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은어의 예들이다.
비속어나 은어와 같은 불건전한 언어의 사용은 컴퓨터 통신에 입문하는 경우 혼란을 일으키고, 일반 통신인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며, 언어발달이나 국어순화에 악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비속어나 무분별한 외래어 남용은 정화되어야 한다. 불건전 언어라고 규정한 어휘들의 사용이 컴퓨터 통신인 사이에 가상공간(cyber space)에서 간단하고, 즉흥적이며, 직접적이고, 생동감 있는 문체로 부담 없이 용이한 글을 올릴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세계와 언어의 균형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지향되어야 할 과제 중의 하나이다.
2. 형식상의 문제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무시는 물론 일상어를 뒤틀어 놓은 새로운 신조어들은 통신 언어를 일종의 \'특수어\' 형태로 만들고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하여 기성 세대나 국어학자들은 언어를 파괴하는 것이라고 비판을 하는데 반하여, 네티즌들은 통신 사회의 특성상 나타난 언어 현상으로 청소년 계층의 고유한 계층성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옹호하고 있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하지만 통신 언어가 통신에서만 사용되는데 그치지 않고 일상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면 간과할 문제가 아니라 생각한다. 더욱이 이런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대다수가 앞으로 언어 생활을 이끌어 갈 청소년층이라면 그 심각성은 더할 것이다.
(가) 맞춤법 파괴
통신 언어에서는 자음과 모음을 따로 따로 분리하여 표기하는 방식과 띄어쓰기를 완전히 무시한 형태들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ㅂㅂㅏㅂㅂㅏㅅㅣ∼∼∼\"라든가 \"매일매일 ㅎㅐㅍㅣㄷㅔㅇㅣㅎㅏㅅㅔㅇㅕ !!!\"라는 식이다. 받침이 있는 글자들은 \"ㄱㅏㄱㅣㅈ ㅅㅣ\"이나 \"ㅅ\"과 같이 여러 줄을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ㅁ ㅗ ㅁ ㅠ
ㅇ
앞서 통신 언어의 특성에서 밝혔던 바와 같이 경제적·심리적·사회적·매체적 원인 등에 의하여 형성된 통신 언어는 일상 생활에서 쓰는 언어와는 다른 독특한 변이 양상과 특성을 지닌다. 이런 통신 언어는 컴퓨터 통신의 대화방이나 토론방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또, 짧고 즉흥적이며 직접적이고도 생생한 문체로 글을 쓰게 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하지만, 현행 맞춤법과 문법을 완전히 무시한 언어라는 사실을 간과할 수는 없다. 현재는 맞춤법이나 표준어에 맞지 않는 것을 알면서 재미 삼아 통신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런 언어를 계속 사용한다면 어떤 것이 표준어이며 맞춤법에 맞는 언어인지 혼란스러울 때가 올 것이다. 아직 표준어나 맞춤법을 확실히 모르는 초등학생도 55%가 컴퓨터 통신의 대화방이나 토론방을 이용하고 있음을 볼 때 그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또 이렇게 맞춤법과 문법에 어긋난 표기를 계속하다보면, 규칙을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사고가 자리잡을 수도 있다. 실제로 현재 청소년이 사용하고 있는 통신 언어를 고칠 필요가 있냐는 설문 조사에서 \'고치지 말아야 한다\'는 대답이 고쳐야 한다는 대답과 똑같은 50%를 차지했다. 또한 \'인터넷상에서 철자를 무시하고 한글을 표기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그렇게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40%), \'그냥 자연스러운 현상\'(38%)으로 응답해, 무려 78%가 한글의 엉터리 표기와 맞춤법을 지키지 않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 글자 파괴
지금까지 살펴본 통신 언어의 특성과 문제점들은 이제 언급할 글자 파괴의 문제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다. 현재 초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통신 언어들은 통신상에서 대화의 효율성을 위해 썼던 줄여쓰기의 단계를 넘어선지가 이미 오래이며, 한자와 특수문자 등을 남용하고, 상대방을 부를 때 \'00님아\'로 일관하여 존대말은 찾아볼 수가 없다. 대화방과 게시판 글을 갈무리한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 1) 대화방
학생1 : ㉡┫집ⓔya?¿
학생2 : 항궝.강타.왕써횻?
학생1 : 눙ㆌ.깡빡깡빡㉪ㅖ...╋.┯
학생2 : 잉따㉮.나왕셔.봉씨닷;;
학생1 : 퓌공해횻.풋풋..굼양.ⓞ능.봉지.망씨닷;;
학생2 : 앙냐옹꾜얏??¿¿.글엉.톨아징㉠┫0ㅑ.!! --^
학생1 : 5능.졍망.퓌공ㅎㅒ셔.몽㉡ㅑ㉸겡셔.녜일.항교에셔.봉씨㉢ㅑ--;;
학생2 : 그례??.그렴.엉쪄.슈.엉찌..쟝.쉬여..
학생2 : 앙 켓 앙 켓 쟐 가 효^-^
학생2 : 준호닝.앙냥㉻㉦ㅖ횻?
학생2 : 와ⓔ.대댜-ㅂ이.엉ㅆㅕ횻?..
기 자 : ^^;
학생2 : 쳬륑 몽태횻?
학생2 : 헐... ●ㅏ졍씨쟝●ㅏ?¿
기 자 : v^^;
학생2 : v난 ㉧┃먕 쟘수. ₩ㅏ₩ㅏ.!!
예 2) 게시판 글
㉯㉯납!! 因九月패
추천자료
인터넷방송의 문제점과 대책, 대중매체
통신언어로 쓰인 인터넷 소설에 대한 소고
[_통신언어]의 현황과 문제점, 그 해결방향
인터넷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실태, 원인, 문제점 과 해결 방안 제시
전자 언어 어휘에 관한 구조 분석 및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정치]인터넷정치, 사이버정치, 미디어정치, 정치광고의 변화, 현상과 인터넷정치, 사이버정...
인터넷 게시판 언어 연구
인터넷(통신) 언어에 관한 조사
[인터넷방송]인터넷방송이란, 인터넷방송의 정의와 이해, 인터넷방송의 기술과 서비스 유형 ...
스마트폰 사용의 장점과 단점, 문제점의 정책방안
[사이버폭력][인터넷폭력]사이버폭력(인터넷폭력)의 심리학적 이론, 사이버폭력(인터넷폭력)...
인터넷 용어나 줄임말의 언어적 기능(역기능 또는 순기능)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