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날씨와 생활 리포트
◈24절기◈
24절기(二十四節氣)란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특징을 지은 계절적 구분을 말한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를 짓기 위해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에 따른 달력을 절기를 만들어 낼다. 그런데 예전엔 음력을 만들어 썼었다. 하지만 이 음력은 달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해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되는 계절이 변화와 잘 맞지 않았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해의 움직임을 표시해주는 24절기를 만들어 같이 썼다.
24절기 중 대체로 음력 월초에 오는 절기 12개(홀수 번호)만 절기라 하고 나머지 12개는 중기하고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5일을 1후라하고, 3후를 1기라 하여 1년을 24기로 나눌 때 양력으로 월초에 있는 것을 절기라 한다. 즉,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 들이다. 양력으로 월말에 있는 것을 중기라 하며, 24기는 12절기와 12중기로 되어 있다. 현행의 태양력에 따르면 절기는 매월4~8일에 있게
◈24절기◈
24절기(二十四節氣)란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특징을 지은 계절적 구분을 말한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를 짓기 위해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에 따른 달력을 절기를 만들어 낼다. 그런데 예전엔 음력을 만들어 썼었다. 하지만 이 음력은 달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해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되는 계절이 변화와 잘 맞지 않았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해의 움직임을 표시해주는 24절기를 만들어 같이 썼다.
24절기 중 대체로 음력 월초에 오는 절기 12개(홀수 번호)만 절기라 하고 나머지 12개는 중기하고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5일을 1후라하고, 3후를 1기라 하여 1년을 24기로 나눌 때 양력으로 월초에 있는 것을 절기라 한다. 즉,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 들이다. 양력으로 월말에 있는 것을 중기라 하며, 24기는 12절기와 12중기로 되어 있다. 현행의 태양력에 따르면 절기는 매월4~8일에 있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