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문법중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문법중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사의 갈래

2. 격조사

3. 접속조사

4. 보조사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사도 현대국어와 마찬가지로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의 세 갈래로 나뉜다.
조사 ┰ 격조사 :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
┠ 접속조사
┗ 보조사
2. 격조사
격조사에는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 호격이 있다.
1) 격조사에는 체언으로 하여금 주성분이 되게 하는 격조사가 있다.
예) 가. 내히(내ㅎ이) 이러 (용비어천가, 2장) - 주격조사
나. 國 나라히라(나라ㅎ이라) (훈민정음언해, 1장) -서술격조사
다. 耶輸는…法을 모 (석보상절 권6, 6장) -목적격조사
라. ① 兜率他制天히…他人이 외더라 (월인석보 권2, 24장) -보격조사
② 이…世尊ㅅ 다시(닷이) 아니시다이다 (법화경언해 권 2, 5장)
(가)의 ‘이’는 주격조사인데, ‘i, y\' 로 끝나지 않은 모음 아래에서는 ’ㅣ‘로, ‘i, y\' 모음 뒤에서는 로 실현 된다 그러나 체언의 끝음절 모음이 평성으로 되어 있으면 상성으로 바뀐다. 그 외에도 집단 주격조사 - ‘애이셔’, ‘-애셔’ , 존칭 주격조사 - ‘셔’, ‘겨오셔’, ‘셔’
강세 주격조사 - ‘이라셔’등이 있다.
그리고 주격조사 ‘가’는 16세기 말에 처음 나타났으며 의문형 종결어말어미 ‘가’가 호격조사 ‘하’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조세용, 위의 책, p124
(나)의 ‘이라’는 서술격 조사이다. 서술격조사에는 ‘이라, ㅣ, 라’의 셋이 있는데 용법은 주격조사와 같다.
(다)의 ‘을’은 목격적조사인데 체언의 끝소리와 체언의 모음의 종류에 따라 ‘, , 을 를, ㄹ’로 실현된다. 기원적 목적격조사 - ‘ㄹ’, 어말자음의 체언이 양성모음일때 - ‘’, 어말자음의 체언의 음성모음일때 - ‘을’
어말모음의 체언이 양성모음일때 - ‘’, 어모음의 체언이 음성모음일때 - ‘를’
- 조세용, 위의 책, p125
(라)의 ‘이’는 보격조사인데 용법은 주격조사와 같다.
2) 격조사에는 체언으로 하여금 부속성분이 되게 하는 격조사가 있다.
- 관형격조사, 부사격조사
예) 가. 사(사) 과 도(도) 입과 눈 (용비어천가, 88장)
나. 부로(텨ㅅ) 모미 여러가짓 相이 샤 (석보상절 권6, 41장)
(가)의 ‘’ 는 음성모음 아래에서는 ‘의’로 실현. 대체로 높임의 자질이 없는 유정명사에 붙으며 체언의 끝소리가 유성음과 무성음 구별하지 않고 붙는다. 그리고 ‘/의’와 같은 기능을 표시하는 관형격 조사로 ‘l\'가 있다.
예) 가′ ① 長者 l 지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1.18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