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스포츠산업의 특성
Ⅱ스포츠상품의 마케팅
Ⅲ스포츠를 이용한 마케팅
Ⅳ스포츠 마케팅의 사례
Ⅱ스포츠상품의 마케팅
Ⅲ스포츠를 이용한 마케팅
Ⅳ스포츠 마케팅의 사례
본문내용
에 비해 보다 높은 수중의 좌석으로 넓은 공간과 등받이가 있는 좌석을 말하는데 별도의 휴식공간과 특별서비스가 제공된다.
미국 달라스의 텍사스(Texas)스타디움은 총 건설비 3,500만 달러의 54%인 1,900만 달러를 프리미어 좌석을 판매하여 건설비에 충당한 사례도 있고, 1998년 프랑스월드컵의 주경기장으로 건설된 경기장도 50개의 개인정용박스와 2,700석의 클럽좌석을 마련하여 임대하였다.
그리고 2002 월드컵축구 주경기장인 상암동 월드컵구장은 ‘스카이 박스’를 회원제로 운영하는데 경기장 각 방향의 4층 유리문 안에 73개의 룸을 마련하였는데, 대부분 5~10평 실규모로 화장실과 TV, 냉장고, 에어컨 등이 갖춰져 있다.
2. 확장제품을 통한 이익추구
스포츠제품은 핵심제품보다는 확장제품에서 수익을 얻도록 해야 한다. 제품의 차원은 핵심제품(core product), 보조제품(supporting product), 확장제품(augmented product)으로 나눌 수 있다.
스포츠제품이 관람스포츠인 경구는 선수 혹시 팀이나 경기장 시설 그리고 머천다이징 등이 핵심제품이며, 참여제품인 경우 테니스, 골프, 에어로빅 그리고 수영교실이 핵심적인 제품이다. 확장제품에는 식음료서비스, 클럽하우스시설, 프로그램 팜플렛, 주자창과 주차 종사원 그리고 휴게시설 등이 있다. 마케터는 제품의 각 구성요고들을 최상의 조건으로 만들어 가치를 증대시켜야 한다.
스포츠제품의 경우 핵심제품 그자체가 가장 큰 수익원이 아닌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야구경기 그 자체가 큰 수익원이 아니고 경기장 내에서 판매하는 식음료, 주차료, 기념품 판매 등 보조제품 및 확장서비스가 스포츠경기와 관련된 큰 수입원이다. 메이저리그 야구경기의 경우 한 고객이 소비하는 총비용 중에서 입장료는 불과 33% 정도 밖에 안 되고 나머지 67%는 기타 식음료나 주차료 등 기타 상품의 구입에 지불할 정도라고 하니 보조제품 및 확장제품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ⅲ. 촉진(Promotion)
촉진이란 스포츠제품과 관련된 정보(스포츠상품의 특성, 구매장소, 경쟁상품과의 차이점 등)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는 활동이다. 기업은 효과적인 촉진활동을 통해 기업 이미지전략을 활발히 전개하여 기업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함으로써 경쟁기업보다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만족할 만한 스포츠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촉진활동은 반드시 필요하다.
스포츠상품의 촉진활동에도 다른 상품과 마찬가지로 광고, 대인판매, 기사흥보, 판매촉진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다른 산업에 비해 스포츠상품은 중요한 뉴스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매체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촉진의 많은 부분이 3절에서 다뤄질 스포츠스폰서십과 겹치는 내용이므로 3절에서 여러 촉진방법에 대해 자세히 하기로 한다.
ⅳ. 유통(Place)
1. 장소의 의미
스포츠 마케팅에서 ‘place\'는 장소와 유통의 두 개념으로 이해된다. 장소와 관련하여 스포츠마 마케팅은 스포츠제품을 장소를 옮겨가며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스포츠제품이 있는 장소로 스포츠소비자를 유인하는 두가지 전략이 수행되고 있다.
장소는 스포츠시설, 지리적 위치, 그리고 경기일정표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스포츠시설은 시설배치, 시설디자인, 주차공간, 그리고 부대시설을 포함한다. 지리적 위치는 지리적 접근 용이성과 심리적 접근 용이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경기일정표는 관중유인전략, 방송중계권 전략 측면에서 중요한 요인이다.
2. 유통의 의미
스포츠 마케팅 담당자는 스포츠소비자들이 손쉽고 편리하게 스포츠제품을 구매하도록 최상의 경로를 구축해야 한다. 지리적인 제약 때문에 경기장에 접근하는 것이 어렵고, 관전하거나 TV를 시청하려 해도 시간이 적절치 않을 때 소비자는 스포츠제품의 구매를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스포츠제품을 보다 좋게 생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포츠소비자들에게 적절하게 공급하는 유통구조를 확립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스포츠산업에서 유통은 스포츠시설, 스포츠상품의 소매구조, 입장권 발행 시스템, TV나 라디오와 같은 방송네트워크를 말한다. 다른 제품과 마찬가지로 스포츠상품에서도 유통과 관련된 의사결정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경기장의 시설, 경기장의 입지, 주차시설과 같은 경기장의 물리적 환경변화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또한 운동기구와 같은 스포츠용품을 제외하면 스포츠제품의 유통구조를 변경할 때 제품의 물리적 이동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더 전통적인 제품과 다르다.
유통경로는 제품을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이전시키는 과정에서 시간표용, 장소효용, 소유효용, 형태효용을 창출한다.
1) 시간표용(time utility)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약속된 시간에 열리는 프로스포츠 경기는 스포츠소비자들이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경기장에 직접 가야만 볼 수 있는 경기를 방송국이 중간역할을 하여 직접 가지 않아도 집에서 시청할 수 있게 해 주어 시간효용을 창출한다.
유선TV나 위성방송 등이 등장하고 케이블 채널이 다양화되면서 이제 소비자들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채널을 통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열광적인 스포츠맨들은 스포츠경기를 일일이 검색해 보면서 원하는 중계방송을 시청하게 된 것이다.
2) 장소효용(place utility)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주는 것을 말한다. 지역별 경기라든지 TV 중계방송은 스포츠관람자가 보다 편리한 장소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장소효용을 창출한다.
대체로 경기장의 입지조건에 따라 경기장을 찾는 입장객의 형태가 결정되는데, 보통 경기장을 찾기까지 1시간 정도 이내의 거리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헬스클럽과 같은 참여 스포츠 시설이나 스포츠용품점을 찾는 고객들도 대부분 가까운 곳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3) 소유효용(possession utility)
생산자나 중간상으로부터 제품이나 서비스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편의를 제공하는 것
미국 달라스의 텍사스(Texas)스타디움은 총 건설비 3,500만 달러의 54%인 1,900만 달러를 프리미어 좌석을 판매하여 건설비에 충당한 사례도 있고, 1998년 프랑스월드컵의 주경기장으로 건설된 경기장도 50개의 개인정용박스와 2,700석의 클럽좌석을 마련하여 임대하였다.
그리고 2002 월드컵축구 주경기장인 상암동 월드컵구장은 ‘스카이 박스’를 회원제로 운영하는데 경기장 각 방향의 4층 유리문 안에 73개의 룸을 마련하였는데, 대부분 5~10평 실규모로 화장실과 TV, 냉장고, 에어컨 등이 갖춰져 있다.
2. 확장제품을 통한 이익추구
스포츠제품은 핵심제품보다는 확장제품에서 수익을 얻도록 해야 한다. 제품의 차원은 핵심제품(core product), 보조제품(supporting product), 확장제품(augmented product)으로 나눌 수 있다.
스포츠제품이 관람스포츠인 경구는 선수 혹시 팀이나 경기장 시설 그리고 머천다이징 등이 핵심제품이며, 참여제품인 경우 테니스, 골프, 에어로빅 그리고 수영교실이 핵심적인 제품이다. 확장제품에는 식음료서비스, 클럽하우스시설, 프로그램 팜플렛, 주자창과 주차 종사원 그리고 휴게시설 등이 있다. 마케터는 제품의 각 구성요고들을 최상의 조건으로 만들어 가치를 증대시켜야 한다.
스포츠제품의 경우 핵심제품 그자체가 가장 큰 수익원이 아닌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야구경기 그 자체가 큰 수익원이 아니고 경기장 내에서 판매하는 식음료, 주차료, 기념품 판매 등 보조제품 및 확장서비스가 스포츠경기와 관련된 큰 수입원이다. 메이저리그 야구경기의 경우 한 고객이 소비하는 총비용 중에서 입장료는 불과 33% 정도 밖에 안 되고 나머지 67%는 기타 식음료나 주차료 등 기타 상품의 구입에 지불할 정도라고 하니 보조제품 및 확장제품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ⅲ. 촉진(Promotion)
촉진이란 스포츠제품과 관련된 정보(스포츠상품의 특성, 구매장소, 경쟁상품과의 차이점 등)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는 활동이다. 기업은 효과적인 촉진활동을 통해 기업 이미지전략을 활발히 전개하여 기업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함으로써 경쟁기업보다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 위해 만족할 만한 스포츠제품 및 서비스를 생산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촉진활동은 반드시 필요하다.
스포츠상품의 촉진활동에도 다른 상품과 마찬가지로 광고, 대인판매, 기사흥보, 판매촉진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다른 산업에 비해 스포츠상품은 중요한 뉴스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매체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촉진의 많은 부분이 3절에서 다뤄질 스포츠스폰서십과 겹치는 내용이므로 3절에서 여러 촉진방법에 대해 자세히 하기로 한다.
ⅳ. 유통(Place)
1. 장소의 의미
스포츠 마케팅에서 ‘place\'는 장소와 유통의 두 개념으로 이해된다. 장소와 관련하여 스포츠마 마케팅은 스포츠제품을 장소를 옮겨가며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스포츠제품이 있는 장소로 스포츠소비자를 유인하는 두가지 전략이 수행되고 있다.
장소는 스포츠시설, 지리적 위치, 그리고 경기일정표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스포츠시설은 시설배치, 시설디자인, 주차공간, 그리고 부대시설을 포함한다. 지리적 위치는 지리적 접근 용이성과 심리적 접근 용이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경기일정표는 관중유인전략, 방송중계권 전략 측면에서 중요한 요인이다.
2. 유통의 의미
스포츠 마케팅 담당자는 스포츠소비자들이 손쉽고 편리하게 스포츠제품을 구매하도록 최상의 경로를 구축해야 한다. 지리적인 제약 때문에 경기장에 접근하는 것이 어렵고, 관전하거나 TV를 시청하려 해도 시간이 적절치 않을 때 소비자는 스포츠제품의 구매를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스포츠제품을 보다 좋게 생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포츠소비자들에게 적절하게 공급하는 유통구조를 확립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스포츠산업에서 유통은 스포츠시설, 스포츠상품의 소매구조, 입장권 발행 시스템, TV나 라디오와 같은 방송네트워크를 말한다. 다른 제품과 마찬가지로 스포츠상품에서도 유통과 관련된 의사결정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경기장의 시설, 경기장의 입지, 주차시설과 같은 경기장의 물리적 환경변화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또한 운동기구와 같은 스포츠용품을 제외하면 스포츠제품의 유통구조를 변경할 때 제품의 물리적 이동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더 전통적인 제품과 다르다.
유통경로는 제품을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이전시키는 과정에서 시간표용, 장소효용, 소유효용, 형태효용을 창출한다.
1) 시간표용(time utility)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약속된 시간에 열리는 프로스포츠 경기는 스포츠소비자들이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경기장에 직접 가야만 볼 수 있는 경기를 방송국이 중간역할을 하여 직접 가지 않아도 집에서 시청할 수 있게 해 주어 시간효용을 창출한다.
유선TV나 위성방송 등이 등장하고 케이블 채널이 다양화되면서 이제 소비자들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채널을 통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열광적인 스포츠맨들은 스포츠경기를 일일이 검색해 보면서 원하는 중계방송을 시청하게 된 것이다.
2) 장소효용(place utility)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주는 것을 말한다. 지역별 경기라든지 TV 중계방송은 스포츠관람자가 보다 편리한 장소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장소효용을 창출한다.
대체로 경기장의 입지조건에 따라 경기장을 찾는 입장객의 형태가 결정되는데, 보통 경기장을 찾기까지 1시간 정도 이내의 거리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헬스클럽과 같은 참여 스포츠 시설이나 스포츠용품점을 찾는 고객들도 대부분 가까운 곳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3) 소유효용(possession utility)
생산자나 중간상으로부터 제품이나 서비스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편의를 제공하는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