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식음료와의 관계를 통한 서비스 경영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와 식음료와의 관계를 통한 서비스 경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1.종교가 식생활 선호도와 제약에 미치는 영향

2.다른 음식 서비스 스타일

3.음식 상품의 재료

4.문화적인 선호성을 반영한 메뉴 변경

5.서비스 전달과 정찬에 관한 에티켓

6.결론

본문내용

중앙의 윗부분에 나란히 놓는다. 나이프, 포크, 스푼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바깥쪽부터 나이프, 포크, 스푼의 순으로 가지런히 모아 놓는다. 음식물을 입안에 넣고 씹을 때에는 포크와 나이프는 접시 위에 놓도록 하며 나이프의 경우 입안에 직접 넣는 것은 금기되어 있다.
그럼 다음으로 일본과 중국 두나라의 기본적인 에티켓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일본의 식사 에티켓
면류를 먹을 때
면류를 먹을 때는 후루룩 후루룩 하고 소리 내어 먹는다.
소리를 내지 않고 먹으면 오히려 맛이 없나 하고 상대방이 생각한다고 한다.
소리를 내어 먹었야지 맛이 있고 맛 있게 먹는다고 생각한다.
밥을 먹을 때
밥을 먹을 때 그릇은 왼손에 쥔 채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사용해 먹는다.
식탁에서 먹을 때 양손은 항상 테이블 위에 위치한다.
국을 먹을 때
국을 먹을 때는 내용물을 누르고 국그릇을 입에 대고 마신다.
서로 젓가락에서 젓가락으로 음식을 옮기는 것은 금기이다.
젓가락으로 음식을 댔는데 그 음식을 집지 않고 다른 음식을 집는 것은 좋지
않은 행위이다. 일단 젓가락을 댄 음식은 반드시 자기 접시로 가져와야 한다.
찌개 먹을 때
절대 같이 수저를 넣어서 먹지 않는다.
전원 개별 그릇에 담아서 먹는다.
일본사람들은 우리나라 처럼 한 찌개에 모든 사람이 같이 먹는 것을
아주 비위생적으로 생각한다. 일본음식은 섞지 않고 그대로 먹는다.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밥 위에 여러 가지 야채등이 올려져 있는 음식들의 경우 보통 우리나라에서는 서로 섞어서 먹는데 일본은 그렇지 않다. 일본은 정성들여 만든 음식을 휘저어 섞어 먹을 경우 음식 또한 작품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그것을 망친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그대로 떠 먹는다. 보통 덮밥이나 카레라이스도 그대로 떠 먹는다고 하니 좀처럼 섞어 먹는 문화는 아니다.
2.중국의 식사 에티켓
* 중국식 식사 에티켓
한식탁에서 6명, 8명이 둘러 앉아서 식사를 한다. 사람이 많을 경우에는 한자리로 하지 않고 나누어서 원칙으로 배치한다. 음식이 개인별로 나오는 것이 나이라 여러 사람분이 한 그릇에 담겨져 나온다. 그것을 돌려 가며 적당한 양을 각자가 떠서 먹는다. 중국은 옛부터 홀수를 싫어하고 짝수를 좋아한다. 우리나라와 반대이다. 그러므로 식탁에 앉은 손님도 짝수이고, 음식도 짝수로 나온다.
ㆍ차이단(메뉴)에 의하면 차례로 음식이 나오고 먹은 그릇은 가져간다.
ㆍ주인은 새로 음식이 들어오게 되면 손님 쪽에 놓고, \'자, 드시지요\'하고 주빈부터 권한다.
ㆍ무리로 술을 권하지 않고 헌배는 금물이다.
ㆍ특수 요리가 나오면 주인은 이에 대하여 설명도 하고 건배를 한다. 건배를 단숨에 마시고 술잔을 보인다.
ㆍ배석을 안석(按席)이라고 하는데, 출입구가 하석이고 향단(香壇)이 있는 곳이 상석(上席)이다. 상석에 주빈이 앉고 그 좌우에 차례로 앉으며, 주인은 반대쪽에 마주 앉는다. 인원이 많으면 테이블을 따로 하여 10명을 넘지 않게 한다.
ㆍ음식이 바뀔 때, 콰이주(중국식 젓가락)에 먼저 음식이 묻어서 싫을 때에는 상위에 놓여 있는 물그릇에 넣어서 씻는다.
* 식사하는 법
ㆍ제일 먼저 차가 나온다. 차는 왼손으로 받쳐서 두손으로 마신다.
ㆍ다음에 차이단을 보인다. 주홍빛 또는 녹색의 종이에 그 날 나오는 요리가 적혀 있다.
ㆍ음식을 전채(前菜)ㆍ주채(主菜)ㆍ점심(點心)의 세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ㆍ전채 : 본격적인 식사 전에 나오는 요리로서 냉채ㆍ열채(冷菜ㆍ熱菜)가 있다.
ㆍ주채(主菜) : 볶음요리ㆍ튀김요리ㆍ찜ㆍ조리ㆍ구이ㆍ끓임 등이 있다.
ㆍ점심(點心)이란 과자란 뜻으로 디저트이다. 면ㆍ빵ㆍ만두ㆍ죽 등이 있다.
6.결론
이번 레포트를 통해서 각 나라마다의 문화적 차이 그리고 종교적 차이에 따라 어떠한 식습관 문화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해외로의 경영성공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 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였다. 대충 짐작은 하고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심층적으로 들어가서 살펴보니 정말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특별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외국 기업의 성공 사례를 보면서 우리나라 기업도 조금만 더 신경 쓰고 가다듬는다면 더욱더 열린 생각으로 임한다면 해외에서도 승승장구 할 수 있는 그런 나라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해보았다. 그리고 각 기업의 노력과 옛 사람들의 지혜등을 보았을 때 나도 언젠간 해외로 나가서 내꿈을 펼칠수 있을 거 라는 아주 부푼 기대도 할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였던 것 같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9.28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5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