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과 주요의미
본론-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돈의 의미는?
- CEO에게서 배우는 자본주의 철학.
- 자본의 양면성과 그 타협점을 찾아서.
결론-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본론-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돈의 의미는?
- CEO에게서 배우는 자본주의 철학.
- 자본의 양면성과 그 타협점을 찾아서.
결론-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본문내용
0% 공감했다.
박현주는 버핏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듯 하다. 버핏의 철학이 아는 것에만 투자한다는 것, 그리고 자신의 원칙이 두 개 있는 데 하나는 원금보존이고 둘 째는 첫째 원칙을 지키는 것이라고 했다. 어딘가 모르게 비슷하다.
저자가 살아온 우리 시대의 방식이 우리 아이들의 시대에는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아이들이 집단 교육에 익숙해 자기보다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휘하며 살기를 바란다.공부를 잘하는 것은 여러 장점 중 하나일 뿐이라고 믿고 있다.
운동하는 시간은 사색의 시간이자 성찰의 시간이다. 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점점 더 큰 것을생각해야 할 때가 많다.
작은 것을 보다 보면 큰 것을 놓칠 때가 있다. 이때 도움이 되는 것이운동과 스트레칭이다. 머리를 자꾸 비워야만 큰 것을 볼 수 있는 법이다.
투자란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알고\'투자해야 한다. 즉 조사하고 분석하는 시간이 많아야 한다.
여유자금을 장기적으로 펀드에 넣어두고 자신의 생업에 전념해야 한다.투자의 세계에서 중요한 것은 높은 수익이 아니다.
치명적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저자는 결코 돈을 보고 일하지 않았다. 투자를 할 때도 돈을 좇지 않았다.
저자가 좇은 것은 바로 성취감이었다. 투자와 비즈니스의 성공을 통해 느낀 성취의 희열감이 저자를 지금의 자리까지 이끈 것이다. 저자는 투자와 비즈니스에서 성공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얘기해주고 싶다.
\"돈을 좇지 말고 일을 좇아라. 그리고 성취를 통한 희열감을 맛보기 위해 원칙을 지키며 자신을 절제하라. 그러면 돈은 저절로 따라온 것이다.\"
기회란 늘 위기의 얼굴로 찾아온다고 한다.
저자에게 첫 지점장 발령은 위기이자 기회였다. 그때 지점장을 맡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미래에셋은 없었을 것이다.
중앙지점의 지점훈은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바람개비를 돌리는 방법은 앞으로 달려가는 것이다\'였다.
어려움에 닥쳤을 때 굴하지 않는 방법은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바람개비를 돌리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처럼,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돈이 아름다운 꽃이 되기 위해서는 \'바르게 벌어 바르게 쓴다\'는 두 가지 전제가 있어야 한다. 버는 것도 쓰는 것도 모두 반듯해야 하는 것이다.
\'바르게 번다\'는 것은 사회적 가치를 높이면서 이익을 창출한다는 의미이다.
인간의 본성상 소수의 시각을 지키는 일은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인간은 다수 속에 존재할 때 비로소 편안함을 얻기 때문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따라서 고독하게 살아가기에는 커다란 압력이 존재한다.소수의 시각이란 다수와 다르게 사물을 바라보고 어두울 때는 밝은 쪽의 입장에서, 반대로 밝을 때는 어두운 곳에서 보는 것을 말한다.
장기적으로 모든 가치는 내재가치로 수렴된다. 가치에 비해 지나치게 오른 것은 내려오고, 반대로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은 다시 오른다.
균형을 찾아가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고 가격의 원리이다.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현주는 버핏에게 많은 영향을 받은 듯 하다. 버핏의 철학이 아는 것에만 투자한다는 것, 그리고 자신의 원칙이 두 개 있는 데 하나는 원금보존이고 둘 째는 첫째 원칙을 지키는 것이라고 했다. 어딘가 모르게 비슷하다.
저자가 살아온 우리 시대의 방식이 우리 아이들의 시대에는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아이들이 집단 교육에 익숙해 자기보다는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휘하며 살기를 바란다.공부를 잘하는 것은 여러 장점 중 하나일 뿐이라고 믿고 있다.
운동하는 시간은 사색의 시간이자 성찰의 시간이다. 회사가 성장함에 따라 점점 더 큰 것을생각해야 할 때가 많다.
작은 것을 보다 보면 큰 것을 놓칠 때가 있다. 이때 도움이 되는 것이운동과 스트레칭이다. 머리를 자꾸 비워야만 큰 것을 볼 수 있는 법이다.
투자란 미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알고\'투자해야 한다. 즉 조사하고 분석하는 시간이 많아야 한다.
여유자금을 장기적으로 펀드에 넣어두고 자신의 생업에 전념해야 한다.투자의 세계에서 중요한 것은 높은 수익이 아니다.
치명적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저자는 결코 돈을 보고 일하지 않았다. 투자를 할 때도 돈을 좇지 않았다.
저자가 좇은 것은 바로 성취감이었다. 투자와 비즈니스의 성공을 통해 느낀 성취의 희열감이 저자를 지금의 자리까지 이끈 것이다. 저자는 투자와 비즈니스에서 성공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얘기해주고 싶다.
\"돈을 좇지 말고 일을 좇아라. 그리고 성취를 통한 희열감을 맛보기 위해 원칙을 지키며 자신을 절제하라. 그러면 돈은 저절로 따라온 것이다.\"
기회란 늘 위기의 얼굴로 찾아온다고 한다.
저자에게 첫 지점장 발령은 위기이자 기회였다. 그때 지점장을 맡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미래에셋은 없었을 것이다.
중앙지점의 지점훈은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바람개비를 돌리는 방법은 앞으로 달려가는 것이다\'였다.
어려움에 닥쳤을 때 굴하지 않는 방법은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바람개비를 돌리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처럼,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돈이 아름다운 꽃이 되기 위해서는 \'바르게 벌어 바르게 쓴다\'는 두 가지 전제가 있어야 한다. 버는 것도 쓰는 것도 모두 반듯해야 하는 것이다.
\'바르게 번다\'는 것은 사회적 가치를 높이면서 이익을 창출한다는 의미이다.
인간의 본성상 소수의 시각을 지키는 일은 말처럼 쉬운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인간은 다수 속에 존재할 때 비로소 편안함을 얻기 때문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따라서 고독하게 살아가기에는 커다란 압력이 존재한다.소수의 시각이란 다수와 다르게 사물을 바라보고 어두울 때는 밝은 쪽의 입장에서, 반대로 밝을 때는 어두운 곳에서 보는 것을 말한다.
장기적으로 모든 가치는 내재가치로 수렴된다. 가치에 비해 지나치게 오른 것은 내려오고, 반대로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은 다시 오른다.
균형을 찾아가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고 가격의 원리이다.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꽃'에 대한 연구
[독서작품분석] 꽃들에게 희망을/트리나 파울로스
10명의 시인의 시각으로 바라본 '꽃'
프랑스의 중세 시인 롱사드의 “내 손이 활짝 핀 이 꽃으로…” 와 근대 시인 보들레르의 시 “너...
친구가 되어 주실래요 서평[친구가 되어 주실래요 독서감상문][친구가되어주실래요 독후감]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과 ‘나비의 이미지
부자들은 왜 장지갑을 쓸까 독후감 감상문 서평 요약 줄거리 카메다 준이치로!!!!
[독후감, 감상문, 서평, 요약] 무조건 성공하는 작은 식당 _ 백종원 저
하성란 ‘곰팡이 꽃’
한시 보고서 (기생에게, 패랭이꽃)
평가인증 만4세 4월 프로젝트/꽃 보육일지 (보육실습일지)
리조트 사업 분석 : 인도양의 푸른 꽃 몰디브 ‘몰디브 리조트’ [레크리에이션 경영전략 제시 ...
[독후감] 루스 베네딕트의 국화와 꽃 『국화와 칼 - 일본문화의 틀』 _ 루스 베네딕트 (Ruth ...
여행자 실무론 - 라오스, 비엔티안 ( 꽃보다 배낭, 일정, 요금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