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춤을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명의 춤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면 모노크로닉한 시간 문화는 인간의 생물학적 리듬이나 창조적인 욕구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이에 반해 폴리크로닉한 시간 문화는 사람 지향적이다. 하지만 지금의 세계는 일, 스케줄, 절차를 중요시하고, 여성을 소외시키는 모노크로닉한 시간을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취급한다. 호피족 인디언의 시간과 백인들의 시간개념이 다르고 미국인과 일본인(동서양) 또한 상이한 시간관념을 갖고 있으므로 절대적 시간관념으로 문화의 우열을 평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에드워드 홀은 인류학의 영역에 처음으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끌어들인 인류학자이다. 그는 시간과 공간이 인간을 지배하는 문화적 기제이며, 의사소통의 수단이라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이미 번역 출간된 <침묵의 언어>와 <문화를 넘어서>가 홀의 문화개념을 읽기 위한 입문서라면, 이 책은 그의 문화개념을 심화 확장하여 사례와 함께 그 적용범위를 기술하였다.
에드워드 홀 문화인류학 4부작 중 <침묵의 언어>와 <문화를 넘어서>에 이은 3번째 저서. 문화에 관한 다층적이고 통합적인 논의를 전개한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책은 문화로서의 시간, 즉 문화에 따라 어떻게 시간이 규정되고 이용되며 패턴화되는지를 다루고 있다.

키워드

인문,   신화,   독후감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0.0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