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 13 주 차 』
운동 일시
2007년 5월 29일 화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운동 일시
2007년 5월 31일 목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운동 일시
2007년 6월 4일 월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 14 주 차 』
운동 일시
2007년 6월 5일 화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운동 일시
2007년 6월 7일 목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 15 주 차 』
운동 일시
2007년 6월 11일 월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한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 달리기의 운동효과 ♥
근력과 지구력 향상을 통해 신체활동 능력을 배가시키고 평균수명을 높여주며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 질병의 감소란 일석삼조의 효과를 발휘한다.
당장 눈에 띄게 달라지는 신체의 변화는 심장 펌프기능의 강화에서 비롯된 심박수의 감소다. 성균관대의대 삼성서울병원 박원하 교수(운동의학)는 "특히 심장이 약해 분당 85회 이상 맥박이 자주 뛰는 사람은 4주만 규칙적으로 달려도 분당 맥박수가 80회 이하로 떨어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고 설명했다.
달리게 되면 맥박수는 감소하지만 심장이 한번 펌프질하는 혈액량은 증가해 혈액순환을 돕는기 때문이다. 달리기 등 규칙적인 운동을 하게 되면 평균수명이 서너살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달리기로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는 질병은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 달리기로 심장과 폐가 튼튼해지므로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혈압의 변동이 적다. 열량소비를 촉진함으로써 당뇨나 비만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골다공증에도 좋다.
♥ 느 낌 점 ♥
평소 운동을 하지 않는 나, 매주 운동을 하고 운동일지는 쓰는 것이 운동과 웰빙 리포트라는 생각을 하니 처음에는 막막한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번기회를 계기로 운동을 통해 약하고 힘없는 나의 건강을 챙겨보기로 했다.
처음 운동을 시작한 주에는 준비운동도 하고, 마무리 운동도 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리가 너무 아파 계단을 제대로 다닐 수도 없었다. 제대로 걷지 못하는 나를 바라보는 주위 친구들의 반응은 운동이 작심삼일로 끝날 것이라면서 언제까지 가려나하는 냉담한 반응들 이였다. 그런 친구들의 반응을 보니, 기분이 상하기도 하고, 해보일 것이라는 오기도 생겼다.
그렇게 해서 오기라도 꾸준히 하게 된 운동, 하지만 지금에 생각해 보니 달리기라는 것이 참 좋은 운동이라는 생각이 든다. 별다른 운동 기구 없이 달리는 것만으로 나의 건강을 챙길 수 있고, 맑은 공기를 마시며 학교 대 운동장을 뛰는 기분은 정말 최고이고, 계속 달리다 보면 러너스하이의 기분을 충분히 이해한다고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독적인 운동이다.
운동일지를 처음 기록하는 주에는 안정시심박수를 재는 것이 너무 생소해서 한번 재보고, 내가 잘 잰 것이 맞나 싶어 한 번 더 재보고, 그래도 의심이 들어 또 재보고 총 3번 정도 심박수를 재보고 동일한 심박수가 나오자 만족하면서 기록했다.
안정시 심박수는 몇 주 동안에는 비슷했는데 4주정도가 지나자 조금 낮아졌고, 8주, 12주가 되니 조금씩 낮아졌다.
운동을 처음 시작한 주에 너무 몸이 피곤해서 정말 운동을 하면 정말 우리 몸이 좋아지는 걸까? 라 는 의심이 들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몸에서 정말 반응이 왔다.
안정시 심박수가 줄어서, 수치적으로 폐활량이 늘어나고, 몸이 건강해졌구나가 아니라 몸으로 느끼는 건강해진 느낌, 예를 들면 운동을 하기 전에는 수업을 듣기위해 기숙사에서 사회과학대 건물로 가는 것이 무척이나 힘겨웠는데 운동을 꾸준히 하는 지금의 경우는 기숙사에서 사회과학대 건물 가는 것은 식은 죽 먹기만큼 거뜬해 졌다.
운동을 통해 운동이 건강해진 나를 발견한 지금,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꾸준히 운동을 하여 더더욱 건강한 삶을 영유하겠다.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 13 주 차 』
운동 일시
2007년 5월 29일 화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운동 일시
2007년 5월 31일 목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운동 일시
2007년 6월 4일 월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 14 주 차 』
운동 일시
2007년 6월 5일 화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운동 일시
2007년 6월 7일 목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세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 15 주 차 』
운동 일시
2007년 6월 11일 월요일
운동 종목
조깅
운동 시간
1시간
운동 빈도
일주일에 한 번
운동 기간
15 주
운동 강도
♠ 안정시 심박수: 67 , 운동 후 심박수: 146 , 운동 강도: 약59 % ♠
목표심박수 = [(최대심박수-안정시심박수)×운동강도]+ 안정시심박수
=[(199-67)×0.6]+67= 146.2
※최대운동심박수 = 220-21=199, 운동강도=60%
♥ 달리기의 운동효과 ♥
근력과 지구력 향상을 통해 신체활동 능력을 배가시키고 평균수명을 높여주며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 질병의 감소란 일석삼조의 효과를 발휘한다.
당장 눈에 띄게 달라지는 신체의 변화는 심장 펌프기능의 강화에서 비롯된 심박수의 감소다. 성균관대의대 삼성서울병원 박원하 교수(운동의학)는 "특히 심장이 약해 분당 85회 이상 맥박이 자주 뛰는 사람은 4주만 규칙적으로 달려도 분당 맥박수가 80회 이하로 떨어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고 설명했다.
달리게 되면 맥박수는 감소하지만 심장이 한번 펌프질하는 혈액량은 증가해 혈액순환을 돕는기 때문이다. 달리기 등 규칙적인 운동을 하게 되면 평균수명이 서너살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달리기로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는 질병은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 달리기로 심장과 폐가 튼튼해지므로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혈압의 변동이 적다. 열량소비를 촉진함으로써 당뇨나 비만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골다공증에도 좋다.
♥ 느 낌 점 ♥
평소 운동을 하지 않는 나, 매주 운동을 하고 운동일지는 쓰는 것이 운동과 웰빙 리포트라는 생각을 하니 처음에는 막막한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번기회를 계기로 운동을 통해 약하고 힘없는 나의 건강을 챙겨보기로 했다.
처음 운동을 시작한 주에는 준비운동도 하고, 마무리 운동도 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리가 너무 아파 계단을 제대로 다닐 수도 없었다. 제대로 걷지 못하는 나를 바라보는 주위 친구들의 반응은 운동이 작심삼일로 끝날 것이라면서 언제까지 가려나하는 냉담한 반응들 이였다. 그런 친구들의 반응을 보니, 기분이 상하기도 하고, 해보일 것이라는 오기도 생겼다.
그렇게 해서 오기라도 꾸준히 하게 된 운동, 하지만 지금에 생각해 보니 달리기라는 것이 참 좋은 운동이라는 생각이 든다. 별다른 운동 기구 없이 달리는 것만으로 나의 건강을 챙길 수 있고, 맑은 공기를 마시며 학교 대 운동장을 뛰는 기분은 정말 최고이고, 계속 달리다 보면 러너스하이의 기분을 충분히 이해한다고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중독적인 운동이다.
운동일지를 처음 기록하는 주에는 안정시심박수를 재는 것이 너무 생소해서 한번 재보고, 내가 잘 잰 것이 맞나 싶어 한 번 더 재보고, 그래도 의심이 들어 또 재보고 총 3번 정도 심박수를 재보고 동일한 심박수가 나오자 만족하면서 기록했다.
안정시 심박수는 몇 주 동안에는 비슷했는데 4주정도가 지나자 조금 낮아졌고, 8주, 12주가 되니 조금씩 낮아졌다.
운동을 처음 시작한 주에 너무 몸이 피곤해서 정말 운동을 하면 정말 우리 몸이 좋아지는 걸까? 라 는 의심이 들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몸에서 정말 반응이 왔다.
안정시 심박수가 줄어서, 수치적으로 폐활량이 늘어나고, 몸이 건강해졌구나가 아니라 몸으로 느끼는 건강해진 느낌, 예를 들면 운동을 하기 전에는 수업을 듣기위해 기숙사에서 사회과학대 건물로 가는 것이 무척이나 힘겨웠는데 운동을 꾸준히 하는 지금의 경우는 기숙사에서 사회과학대 건물 가는 것은 식은 죽 먹기만큼 거뜬해 졌다.
운동을 통해 운동이 건강해진 나를 발견한 지금,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꾸준히 운동을 하여 더더욱 건강한 삶을 영유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