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박카스의 성공
1. 동아제약 박카스 소개
2.'박카스 신화‘를 이룬 동아 제약
3. 박카스의 성공요인 분석
Ⅱ. 마케팅 조사
1. 마케팅 조사의 5단계
1) 문제의 정의
2) 조사 계획 작성
3) 조사 실시
4) 조사결과의 분석 및 해석
5) 의사결정
Ⅲ. 박카스의 위기와 극복 방안
1. 박카스의 위기
1) 웰빙 트렌드
2. 극복 방향과 향후 대책
1) 박카스의 노력
2) 우리가 제시하는 방향
1. 동아제약 박카스 소개
2.'박카스 신화‘를 이룬 동아 제약
3. 박카스의 성공요인 분석
Ⅱ. 마케팅 조사
1. 마케팅 조사의 5단계
1) 문제의 정의
2) 조사 계획 작성
3) 조사 실시
4) 조사결과의 분석 및 해석
5) 의사결정
Ⅲ. 박카스의 위기와 극복 방안
1. 박카스의 위기
1) 웰빙 트렌드
2. 극복 방향과 향후 대책
1) 박카스의 노력
2) 우리가 제시하는 방향
본문내용
값이 내려갈 전망이다.
동아제약은 「박카스」의 출하가격이 275원, 판매가격이 300원 안팎에 불과해 특소세가 폐지되더라도 가격을 낮출 수는 없다는 설명이다. 동아제약은 『지난 68년 박카스가 선보인 이래 정부가 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으로 규정해 가격을 통제하는 바람에 사실상 이윤없이 팔아왔다』며 『따라서 특소세 폐지를 가격에 반영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원비디」의 일양약품, 「자황」의 종근당, 「영진구론산」의 영진약품 등도 가격인하 여부를 검토중이긴 하지만 1위업체인 동아제약과 보조를 맞춘다는 계획이어서 가격인하는 없거나, 있더라도 소폭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인상으로 인한 순이익증대
동아제약은 박카스 가격인상으로 올 200억원의 매출이 추가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관계자는 \"연간 7억병의 박카스를 판매해 매출에서 박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달한다”며 \"4월부터 박카스 가격을 240원에서 280원(16.7%)으로 인상할 예정으로 올 200억원 정도의 매출증대를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김지현 동원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박카스가 다른 의약품과 달리 현금결제로 이뤄져 가격인상은 현금흐름 개선에 긍정적”이라며 \"박카스의 원부재료비 등을 고려해도 최소 100억원이상의 순이익 증대효과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시장확장, 외국으로 진출
한, 중 수교가 이루어진 92년 이후 중국시장에 동아제약과 일양약품이 들어가 자양강장제드링크시장을 놓고 제2의 박카스-원비 전쟁을 재연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95년에 총540만불을 투자하여 중국 상해근교에 분사를 설립하여 지난 96년 하반기에 박카스에프 생산공장을 완공, 금년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갔다.
연간 3천 만병의 박카스 생산시설을 갖춘 현지공장을 지난해 10월 중국 강소성 오강시에 완공, 중국 및 동남아시장 공략에 나섰다.
④ 위협
▷드링크제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우리가 흔히 유용하게 쓰는 약 중에는 카페인이 들어 있는 약이 몇 가지 있다. 대표적인 것이 일부의 드링크류와 일부의 해열진통제(두통약)이다. 드링크제에 들어 있는 카페인은 정신을 맑게 하고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하는 각성작용을 한다. 그러나 카페인이 함유된 해열진통제를 카페인이 들어 있는 드링크제와 함께 복용하면 카페인이 과량 섭취되어 초조감, 불면, 가슴두근거림, 손떨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일시적으로 정신을 맑게 하고 잠을 쫓는 효과는 있을지라도 습관성이 문제가 되며, 장기적으로는 수면주기가 방해되고 피로감이 가중되어 학습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중 사고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의약분업으로 인한 위협
의약분업에 따른 의료계 폐업 등의 여파로 제약사들이 자금경색 등을 겪는 등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방의약품 전문기업인 조선무약이 부도 처리된데 이어 드링크제등 일반약품의 매출 비중이 80%에 달하는 K사 D사 M사 등 10여개 중하위사의 자금경색이 두드러지고 있다. 제약업계는 당초 의사처방과 상관없는 일반의약품에 주력하는 제약사의 경우 의약분업과 상관없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의약분업 시행 직전부터 전문의약품은 가수요가 일어나는 등 시장상황이 좋았던 반면 일반의약품은 수요가 평년대비 30-50%가량 줄었다. 서울 종로5가 대형약국의 한 약사는 \"드링크 소화제도 처방이 있어야 사는 걸로 아는 사람이 적잖다\"며 의약분업으로 인한 사람들의 오해로 매출이 감소가 우려된다.
▷실직 돈가뭄 등으로 스트레스성 질환 증가 -> 드링크제 소비 감소
IMF이후 두통약. 소화제. 위장약 판매는 늘어난 반면 자양강장제. 감기약 소비는 크게 줄었다. 실직과 경제난으로 머리를 싸매고 속을 끓여 소화제 등의 수요는 늘어난 반면돈 가뭄으로 인해 자양강장제 등의 소비는 줄어든 것으로 제약업계는 분석했다.
비타 500의 SWOT분석
강점
- 기존의 정제나 분제 비타민에 비해 먹기 쉽고, 간편함
- 비타민C의 이미지상 구매자들 복용의 당위성을 줌
약점
- 음료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유통상의 취약점
기회
- 업계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 출시
위협
- 우후죽순적인 후발 경쟁 업체의 추종
- 기존 드링크시장에서의 박카스의 강한 브랜드력
①강점
▷ 제품의 차별화
국내 최초의 마시는 비타민C라는 컨셉트로 마케팅에 성공하였다.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C로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다. 비타500은 소비자들의 호응과 광고 판촉 강화로 지난달에는 누적 생산량이 1억개를 돌파했다. 이 제품은 2001년 처음 선보여 지난해 97억원어치 판매됐고 올해 1분기에는 29억원어치 나가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비타500 1병에는 레몬20개, 오렌지15개, 사과 60개, 귤 15개를 먹어야 얻을 수 있는 비타민C가 700㎎ 들어있다. 현재 출시된 마시는 비타민C 제품 중 시장점유율이 70%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단순한 식사로만 채울 수 없는 영양소가 바로 비타민이지만 일부러 비타민을 섭취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이 제품을 즐겨 찾는 것 같다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비타500은 쉽게 마실 수 있다는 드링크류의 장점과 기존의 드링크류와는 달리 카페인을 빼고 필수영양소인 비타민을 강조하였다는 점을 부각시킨 점이 강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오랜 연구 끝에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맛과 향을 가졌으며, 알약과 과립으로 된 기존의 비타민제와는 달리 액체로 돼 있어 체내 흡수가 빠르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을 수 있다.
②약점
▷ 유통상의 취약점
비타500은 광동제약의 사업다각화를 위해 내놓은 제품으로 음료회사가 아닌 까닭에 유통상의 취약점을 약점으로 꼽을 수 있다. 비타500은 기존의 드링크 시장에 진입하였지만 카페인이 없는 음료수로서의 차별화를 강화한 제품으로 약국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서의 유통을 시도하고 있지만 다소 어려움이 있다.
③기회
▷ 업계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을 출시
드링크 시장에서 비타민 음료시장은 지난해에는 전년 보다 1백%이상 급팽창하여, 7백 30억원대로 성장하였다. 국내 비타민 음료시장을 개척한 데는 비타500의 힘이 컸다고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
④위협
▷ 드링크 시장에서의 경쟁업체
짭은 시간에 폭
동아제약은 「박카스」의 출하가격이 275원, 판매가격이 300원 안팎에 불과해 특소세가 폐지되더라도 가격을 낮출 수는 없다는 설명이다. 동아제약은 『지난 68년 박카스가 선보인 이래 정부가 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품목으로 규정해 가격을 통제하는 바람에 사실상 이윤없이 팔아왔다』며 『따라서 특소세 폐지를 가격에 반영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원비디」의 일양약품, 「자황」의 종근당, 「영진구론산」의 영진약품 등도 가격인하 여부를 검토중이긴 하지만 1위업체인 동아제약과 보조를 맞춘다는 계획이어서 가격인하는 없거나, 있더라도 소폭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인상으로 인한 순이익증대
동아제약은 박카스 가격인상으로 올 200억원의 매출이 추가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관계자는 \"연간 7억병의 박카스를 판매해 매출에서 박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달한다”며 \"4월부터 박카스 가격을 240원에서 280원(16.7%)으로 인상할 예정으로 올 200억원 정도의 매출증대를 기대한다”고 분석했다.
김지현 동원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박카스가 다른 의약품과 달리 현금결제로 이뤄져 가격인상은 현금흐름 개선에 긍정적”이라며 \"박카스의 원부재료비 등을 고려해도 최소 100억원이상의 순이익 증대효과가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시장확장, 외국으로 진출
한, 중 수교가 이루어진 92년 이후 중국시장에 동아제약과 일양약품이 들어가 자양강장제드링크시장을 놓고 제2의 박카스-원비 전쟁을 재연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95년에 총540만불을 투자하여 중국 상해근교에 분사를 설립하여 지난 96년 하반기에 박카스에프 생산공장을 완공, 금년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갔다.
연간 3천 만병의 박카스 생산시설을 갖춘 현지공장을 지난해 10월 중국 강소성 오강시에 완공, 중국 및 동남아시장 공략에 나섰다.
④ 위협
▷드링크제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우리가 흔히 유용하게 쓰는 약 중에는 카페인이 들어 있는 약이 몇 가지 있다. 대표적인 것이 일부의 드링크류와 일부의 해열진통제(두통약)이다. 드링크제에 들어 있는 카페인은 정신을 맑게 하고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하는 각성작용을 한다. 그러나 카페인이 함유된 해열진통제를 카페인이 들어 있는 드링크제와 함께 복용하면 카페인이 과량 섭취되어 초조감, 불면, 가슴두근거림, 손떨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일시적으로 정신을 맑게 하고 잠을 쫓는 효과는 있을지라도 습관성이 문제가 되며, 장기적으로는 수면주기가 방해되고 피로감이 가중되어 학습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중 사고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의약분업으로 인한 위협
의약분업에 따른 의료계 폐업 등의 여파로 제약사들이 자금경색 등을 겪는 등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방의약품 전문기업인 조선무약이 부도 처리된데 이어 드링크제등 일반약품의 매출 비중이 80%에 달하는 K사 D사 M사 등 10여개 중하위사의 자금경색이 두드러지고 있다. 제약업계는 당초 의사처방과 상관없는 일반의약품에 주력하는 제약사의 경우 의약분업과 상관없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의약분업 시행 직전부터 전문의약품은 가수요가 일어나는 등 시장상황이 좋았던 반면 일반의약품은 수요가 평년대비 30-50%가량 줄었다. 서울 종로5가 대형약국의 한 약사는 \"드링크 소화제도 처방이 있어야 사는 걸로 아는 사람이 적잖다\"며 의약분업으로 인한 사람들의 오해로 매출이 감소가 우려된다.
▷실직 돈가뭄 등으로 스트레스성 질환 증가 -> 드링크제 소비 감소
IMF이후 두통약. 소화제. 위장약 판매는 늘어난 반면 자양강장제. 감기약 소비는 크게 줄었다. 실직과 경제난으로 머리를 싸매고 속을 끓여 소화제 등의 수요는 늘어난 반면돈 가뭄으로 인해 자양강장제 등의 소비는 줄어든 것으로 제약업계는 분석했다.
비타 500의 SWOT분석
강점
- 기존의 정제나 분제 비타민에 비해 먹기 쉽고, 간편함
- 비타민C의 이미지상 구매자들 복용의 당위성을 줌
약점
- 음료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유통상의 취약점
기회
- 업계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 출시
위협
- 우후죽순적인 후발 경쟁 업체의 추종
- 기존 드링크시장에서의 박카스의 강한 브랜드력
①강점
▷ 제품의 차별화
국내 최초의 마시는 비타민C라는 컨셉트로 마케팅에 성공하였다.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비타민C로 소비자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다. 비타500은 소비자들의 호응과 광고 판촉 강화로 지난달에는 누적 생산량이 1억개를 돌파했다. 이 제품은 2001년 처음 선보여 지난해 97억원어치 판매됐고 올해 1분기에는 29억원어치 나가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비타500 1병에는 레몬20개, 오렌지15개, 사과 60개, 귤 15개를 먹어야 얻을 수 있는 비타민C가 700㎎ 들어있다. 현재 출시된 마시는 비타민C 제품 중 시장점유율이 70%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단순한 식사로만 채울 수 없는 영양소가 바로 비타민이지만 일부러 비타민을 섭취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이 제품을 즐겨 찾는 것 같다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비타500은 쉽게 마실 수 있다는 드링크류의 장점과 기존의 드링크류와는 달리 카페인을 빼고 필수영양소인 비타민을 강조하였다는 점을 부각시킨 점이 강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오랜 연구 끝에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맛과 향을 가졌으며, 알약과 과립으로 된 기존의 비타민제와는 달리 액체로 돼 있어 체내 흡수가 빠르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을 수 있다.
②약점
▷ 유통상의 취약점
비타500은 광동제약의 사업다각화를 위해 내놓은 제품으로 음료회사가 아닌 까닭에 유통상의 취약점을 약점으로 꼽을 수 있다. 비타500은 기존의 드링크 시장에 진입하였지만 카페인이 없는 음료수로서의 차별화를 강화한 제품으로 약국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 편의점 등에서의 유통을 시도하고 있지만 다소 어려움이 있다.
③기회
▷ 업계 최초로 마시는 비타민을 출시
드링크 시장에서 비타민 음료시장은 지난해에는 전년 보다 1백%이상 급팽창하여, 7백 30억원대로 성장하였다. 국내 비타민 음료시장을 개척한 데는 비타500의 힘이 컸다고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
.
④위협
▷ 드링크 시장에서의 경쟁업체
짭은 시간에 폭
키워드
추천자료
유니클로 마케팅 성공요인분석및 zara,H&M과의 비교분석
_패션브랜드분석_ZARA 브랜드마케팅전략, 성공요인분석, 6C, 4P, STP, SWOT 분석
이니스프리(INNISFREE)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 및 브랜드분석과 성공요인분석
코스트코(COSTCO) 기업분석과 코스트코 마케팅전략분석 및 코스트코 한국시장성공요인분석과 ...
봉대박 스파게티 창업성공사례분석과 성공요인분석
H&M 마케팅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과, 미래향후전략
노스페이스 성공요인분석과 노스페이스 마케팅전략분석및 노스페이스 재도약위한 향후전략 제안
기아자동차(KIA) 해외직접투자(FDI) 사례분석(슬로바키아)과 기아자동차 해외직접투자 성공요...
유한킴벌리 하기스 마케팅전략분석및 하기스 중국시장진출 성공요인분석과 유한킴벌리 국내시...
해브앤비 기업전략분석및 해외진출 성공요인분석과 문제점 극복전략제안
Airasia 에어아시아 성공요인분석과 에어아시아 마케팅,경영전략분석및 에어아시아 마케팅조...
이베이 ebay 글로벌전략분석과 이베이 SWOT분석 및 이베이 성공요인분석 레포트
DAISO(다이소) 기업분석과 다이소 성공요인분석및 SWOT분석.PPT자료
CJ오쇼핑(CJ O Shopping) 중국진출 경영,마케팅전략 분석과 SWOT분석및 CJ오쇼핑 중국진출 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