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1) 유년기
(1) 소설 <남자의 탄생> 전인권
(2) 소설 <앞집에 살던 친구 베렐레> 에프라임 세벨라
(3) 시 <성탄제> 김종길
2)청소년기
(1) 시 <아버지의 자리>
(2) 아버지와 나 - 신해철
(3) 소설 <아버지> - 김정현
(4) 영화 <우아한 세계> 한재림
3)청년기
(1) 연극 <경숙이, 경숙아버지> 박근형
(2) 소설 <아버지> 김정현
(3) 뮤직비디오 <아버지> 싸이
3. 나가며
2. 본론
1) 유년기
(1) 소설 <남자의 탄생> 전인권
(2) 소설 <앞집에 살던 친구 베렐레> 에프라임 세벨라
(3) 시 <성탄제> 김종길
2)청소년기
(1) 시 <아버지의 자리>
(2) 아버지와 나 - 신해철
(3) 소설 <아버지> - 김정현
(4) 영화 <우아한 세계> 한재림
3)청년기
(1) 연극 <경숙이, 경숙아버지> 박근형
(2) 소설 <아버지> 김정현
(3) 뮤직비디오 <아버지> 싸이
3. 나가며
본문내용
백번을, 만번을 무릎 꿇고 머리 조아려 빌어도 용서받을 길이 없습니다.
⇒ 아버지인 정수가 병이 들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야, 자신이 아버지에 대해 얼마나 냉정했는지 깨닫고 반성하는 딸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 딸은 그제 서야 아버지도 아버지이기 전에 외롭고 쓸쓸한 한 인간이라는 것을 자각하게 되고, 그런 아버지를 연민의 눈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3) 뮤직비디오 <아버지> 싸이
3절까지 있는 이 노래는 아버지가 자식이 태어나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 즉 아버지의 일생을 가사로 담고 있다. 특히,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는 이런 아버지의 삶을 애니메이션화 하여 간단한 일화들을 통해 자식이 커가는 시기에 따른 아버지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중간마다 나오는 후렴구는 이제야 아버지의 고단함과 희생을 깨달은 자식의, 아버지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담겨 있다. 가사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너무 앞만 보며 살아 오셨네 어느새 자식들 머리 커서 말도 안듣네 한평생 제 자식 밥그릇에 청춘 걸고 새끼들 사진 보며 한푼이라도 더 벌고 눈물 먹고 목숨 걸고 힘들어도 털고 일어나 이러다 쓰러지면 어쩌나 아빠는 슈퍼맨이야 얘들아 걱정마 위에서 짓눌러도 티낼 수도 없고 아래에서 치고 올라와도 피할수 없네 무섭네 세상 도망가고 싶네 젠장 그래도 참고 있네 맨날 아무것도 모른채 내 품에서 뒹굴거리는 새끼들의 장난 때문에 나는 산다 힘들어도 간다 여보 얘들아 얘들아 아빠 출근한다
⇒ 1절은 자식이 유아기일 때에 해당하는 아버지로,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는 ‘슈퍼맨’의 이미지를 갖춘 아버지이다. 1절의 노래가사는 이런 아버지에 대해서 자식이 뒤늦게나마 연민의 모습을 보이는 형태를 띤다. 1절에 해당하는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자식을 위해 운동회에서 2인 3각을 하는 모습, 눈사람을 만들고 사진을 찍기 위해 달려가다 넘어지는 모습 등을 통해 아버지의 자식을 위한 희생을 잘 상징하고 있다.
어느새 학생이 된 아이들에게 아빠는 바라는 것 딱 하나 정직하고 건강한 착한 아이 바른 아이 다른 아빠보단 잘 할테니 학교 외에 학원 과외에 다른 아빠들과에 경쟁에서 이기고자 무엇이든지 다 해줘야 해고로 많이 벌어야해 니네 아빠한테 잘해 이들은 친구들을 사귀고 많은 얘기 나누고 보고 듣고 더 많은 것을 해주는 남의 아빠와 비교 더 좋은 것을 사주는 남의 아빠와 나를 비교 갈수록 싸가지 없어지는 아이들과 바가지만 긁는 안사람의 등쌀에
외로워도 간다 여보 얘들아 아빠 출근한다
⇒ 2절에서는 청소년기에 다다른 자식이 남의 아빠와 자기 아버지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유아기와는 다른 아버지와 자식 간의 갈등을 드러내고 있다. 뮤직비디오는 자식의 기타를 부러뜨리는 아버지의 모습을 통해 자식과의 단절을 보여준다. 또한, 회사에서 점점 뒤쳐지는 모습, 아내와의 갈등 등으로 힘든 모습이 드러난다. 특히, 집을 이끌고 끙끙거리며 밧줄로 집을 끌고 있는 모습은 아버지의 고단함을 단적으로 시사한다.
여보 어느새 세월이 많이 흘렀소 첫째는 사회로 둘째 놈은 대학으로 이젠 온 가족이 함께 하고 싶지만 아버지기 때문에 얘기하기 어렵구만 세월의 무상함에 눈물이 고이고 아이들은 바뻐 보이고 아이고 산책이나 가야겠소 여보 함께 가주시오
⇒ 3절의 뮤직비디오를 살펴보면, 성년이 된 아이들을 뒤로하고 코피를 흘리며 일하며, 쓸쓸히 담배에 불을 붙이는데 이 때 나타난 성년이 된 아들은 아버지의 담뱃불을 붙여드린다. 자식이 성인이 되어 아버지를 진정으로 이해하며 아버지에 대한 연민과 함께 아버지를 포용하는 모습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3. 나가며
지금까지 여러 자료를 통해서 우리 시대의 아버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3단계로 나누어 시대와 그 시대 속에서 변화해온 아버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때로는 강인하게 우리를 지켜주는 성벽처럼 든든한 아버지였다가 나와는 상관없는 타인처럼 멀게만 느껴졌던 아버지였다가 나이가 들어서는 모진 삶 속에서 너무 작고 초라해져버린 가슴 아픈 아버지의 모습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아버지의 모습은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아버지도 자신의 가족과 자신의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은 사람이 없고 우리는 그런 아버지들을 이해하려고 할 뿐이다.
오랜 시간동안 아버지의 역할과 모습이 변화해온 것처럼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린 또 다시 새로운 아버지의 모습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아버지 밑에서 자란 아들들은 더욱 새로운 아버지가 되어서 우리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모습으로 사회에 나타날 지도 모른다. 시대는 빠르게 변화해가고 사회는 좀 더 대단한 아버지를 요구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그야말로 모든 것을 갖춘 슈퍼맨이라면 우리 곁에 있는 아버지는 하나의 인격체로써 지칠 때도 있고 힘들 때도 있는 인간적인 아버지이다. 지금 우리의 옆에 있는 아버지를 돌아보자. 아버지와 너무 멀어졌다면, 아버지의 어깨가 너무 쳐져버렸다면, 아버지의 머리가 어느새 하얗게 되었다면 그동안의 아버지의 고생을 생각하며 다시 한 번 가족의 이름으로 아버지를 안아줄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정현, 『아버지』, 문이당, 1996
여성한국사회연구회,『남성과 한국사회』, 사회문화연구소, 1997
전인권,『남자의 탄생』,푸른숲, 2003
정화진,『쇳물처럼』,북토피아, 2003
에프라임 세벨라,『앞집에 살던친구 베렐레』,거름, 1999
변화순, "청소년 자녀를 둔 가족을 중심으로"「부성 계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1995
이숙현, " 장년기 아버지들의 일과 가족생활"「가족복지 세미나 논문집」, 한국가족학연구회, 1995
*목 차
1. 들어가며
2. 본론
1) 유년기
(1) 소설 <남자의 탄생> 전인권
(2) 소설 <앞집에 살던 친구 베렐레> 에프라임 세벨라
(3) 시 <성탄제> 김종길
2)청소년기
(1) 시 <아버지의 자리>
(2) 아버지와 나 - 신해철
(3) 소설 <아버지> - 김정현
(4) 영화 <우아한 세계> 한재림
3)청년기
(1) 연극 <경숙이, 경숙아버지> 박근형
(2) 소설 <아버지> 김정현
(3) 뮤직비디오 <아버지> 싸이
3. 나가며
*참고문헌
⇒ 아버지인 정수가 병이 들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야, 자신이 아버지에 대해 얼마나 냉정했는지 깨닫고 반성하는 딸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 딸은 그제 서야 아버지도 아버지이기 전에 외롭고 쓸쓸한 한 인간이라는 것을 자각하게 되고, 그런 아버지를 연민의 눈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3) 뮤직비디오 <아버지> 싸이
3절까지 있는 이 노래는 아버지가 자식이 태어나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 즉 아버지의 일생을 가사로 담고 있다. 특히,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는 이런 아버지의 삶을 애니메이션화 하여 간단한 일화들을 통해 자식이 커가는 시기에 따른 아버지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중간마다 나오는 후렴구는 이제야 아버지의 고단함과 희생을 깨달은 자식의, 아버지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담겨 있다. 가사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너무 앞만 보며 살아 오셨네 어느새 자식들 머리 커서 말도 안듣네 한평생 제 자식 밥그릇에 청춘 걸고 새끼들 사진 보며 한푼이라도 더 벌고 눈물 먹고 목숨 걸고 힘들어도 털고 일어나 이러다 쓰러지면 어쩌나 아빠는 슈퍼맨이야 얘들아 걱정마 위에서 짓눌러도 티낼 수도 없고 아래에서 치고 올라와도 피할수 없네 무섭네 세상 도망가고 싶네 젠장 그래도 참고 있네 맨날 아무것도 모른채 내 품에서 뒹굴거리는 새끼들의 장난 때문에 나는 산다 힘들어도 간다 여보 얘들아 얘들아 아빠 출근한다
⇒ 1절은 자식이 유아기일 때에 해당하는 아버지로,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는 ‘슈퍼맨’의 이미지를 갖춘 아버지이다. 1절의 노래가사는 이런 아버지에 대해서 자식이 뒤늦게나마 연민의 모습을 보이는 형태를 띤다. 1절에 해당하는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자식을 위해 운동회에서 2인 3각을 하는 모습, 눈사람을 만들고 사진을 찍기 위해 달려가다 넘어지는 모습 등을 통해 아버지의 자식을 위한 희생을 잘 상징하고 있다.
어느새 학생이 된 아이들에게 아빠는 바라는 것 딱 하나 정직하고 건강한 착한 아이 바른 아이 다른 아빠보단 잘 할테니 학교 외에 학원 과외에 다른 아빠들과에 경쟁에서 이기고자 무엇이든지 다 해줘야 해고로 많이 벌어야해 니네 아빠한테 잘해 이들은 친구들을 사귀고 많은 얘기 나누고 보고 듣고 더 많은 것을 해주는 남의 아빠와 비교 더 좋은 것을 사주는 남의 아빠와 나를 비교 갈수록 싸가지 없어지는 아이들과 바가지만 긁는 안사람의 등쌀에
외로워도 간다 여보 얘들아 아빠 출근한다
⇒ 2절에서는 청소년기에 다다른 자식이 남의 아빠와 자기 아버지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유아기와는 다른 아버지와 자식 간의 갈등을 드러내고 있다. 뮤직비디오는 자식의 기타를 부러뜨리는 아버지의 모습을 통해 자식과의 단절을 보여준다. 또한, 회사에서 점점 뒤쳐지는 모습, 아내와의 갈등 등으로 힘든 모습이 드러난다. 특히, 집을 이끌고 끙끙거리며 밧줄로 집을 끌고 있는 모습은 아버지의 고단함을 단적으로 시사한다.
여보 어느새 세월이 많이 흘렀소 첫째는 사회로 둘째 놈은 대학으로 이젠 온 가족이 함께 하고 싶지만 아버지기 때문에 얘기하기 어렵구만 세월의 무상함에 눈물이 고이고 아이들은 바뻐 보이고 아이고 산책이나 가야겠소 여보 함께 가주시오
⇒ 3절의 뮤직비디오를 살펴보면, 성년이 된 아이들을 뒤로하고 코피를 흘리며 일하며, 쓸쓸히 담배에 불을 붙이는데 이 때 나타난 성년이 된 아들은 아버지의 담뱃불을 붙여드린다. 자식이 성인이 되어 아버지를 진정으로 이해하며 아버지에 대한 연민과 함께 아버지를 포용하는 모습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3. 나가며
지금까지 여러 자료를 통해서 우리 시대의 아버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3단계로 나누어 시대와 그 시대 속에서 변화해온 아버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때로는 강인하게 우리를 지켜주는 성벽처럼 든든한 아버지였다가 나와는 상관없는 타인처럼 멀게만 느껴졌던 아버지였다가 나이가 들어서는 모진 삶 속에서 너무 작고 초라해져버린 가슴 아픈 아버지의 모습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아버지의 모습은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아버지도 자신의 가족과 자신의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 않은 사람이 없고 우리는 그런 아버지들을 이해하려고 할 뿐이다.
오랜 시간동안 아버지의 역할과 모습이 변화해온 것처럼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린 또 다시 새로운 아버지의 모습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아버지 밑에서 자란 아들들은 더욱 새로운 아버지가 되어서 우리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모습으로 사회에 나타날 지도 모른다. 시대는 빠르게 변화해가고 사회는 좀 더 대단한 아버지를 요구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그야말로 모든 것을 갖춘 슈퍼맨이라면 우리 곁에 있는 아버지는 하나의 인격체로써 지칠 때도 있고 힘들 때도 있는 인간적인 아버지이다. 지금 우리의 옆에 있는 아버지를 돌아보자. 아버지와 너무 멀어졌다면, 아버지의 어깨가 너무 쳐져버렸다면, 아버지의 머리가 어느새 하얗게 되었다면 그동안의 아버지의 고생을 생각하며 다시 한 번 가족의 이름으로 아버지를 안아줄 수 있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김정현, 『아버지』, 문이당, 1996
여성한국사회연구회,『남성과 한국사회』, 사회문화연구소, 1997
전인권,『남자의 탄생』,푸른숲, 2003
정화진,『쇳물처럼』,북토피아, 2003
에프라임 세벨라,『앞집에 살던친구 베렐레』,거름, 1999
변화순, "청소년 자녀를 둔 가족을 중심으로"「부성 계발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1995
이숙현, " 장년기 아버지들의 일과 가족생활"「가족복지 세미나 논문집」, 한국가족학연구회, 1995
*목 차
1. 들어가며
2. 본론
1) 유년기
(1) 소설 <남자의 탄생> 전인권
(2) 소설 <앞집에 살던 친구 베렐레> 에프라임 세벨라
(3) 시 <성탄제> 김종길
2)청소년기
(1) 시 <아버지의 자리>
(2) 아버지와 나 - 신해철
(3) 소설 <아버지> - 김정현
(4) 영화 <우아한 세계> 한재림
3)청년기
(1) 연극 <경숙이, 경숙아버지> 박근형
(2) 소설 <아버지> 김정현
(3) 뮤직비디오 <아버지> 싸이
3.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도쿄타워 -독후감-
'냉정과 열정사이'에 대한 내용분석, 줄거리요약 및 나의독후감(A+독후감)
김남천의 생애와 작품소개 - '경영'과 '맥'의 전향논리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영화(칼라퍼플, The Piano, 델마와 루이스)
우리 시대 가족의 의미
도스트예프스키의 죄와벌
나목의 작품소개와 서평
뿌쉬킨 - 역참지기
영화 철도원과 소설 철도원이 비교 (PPT자료)
이생규장전에 대한 심층 고찰
광장 & 소문의 벽 -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인한 지식인의 고뇌 (최인훈 & 이청준, ...
사실(事實)과 소설 속 허구를 통해 살펴본 임경업전(林慶業傳)
환상소설의 교육
김영하 소설의 형식미학적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