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서 사본과 정경- 헬라어에서 한글까지]를 읽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약성서 사본과 정경- 헬라어에서 한글까지]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신약성서 사본학
제 2장
신약성서의 사본들
제 3장
신약성서 본문의 전달 역사
제 4장
신약 본문비평의 방법론과 실제
제5장
신약성서의 정경( I ):
정경의 개념, 정경화의 원인과 역사
제 6 장
신약성서의 정경(II):
정경의 기준, 외경 그리고 남은 과제
제7장
헬라어에서 한글까지

본문내용

페를 알기 위하여 우리는 헬라어 글자체의 변천 모습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문자간의 결합 형태와 줄의 끝에서 사용하는 형태, 그리고 약자들을 알야야 사본들을 읽을 수가 있다.
2) 신약 사본에 나타나는 기타 특징들: 신약성서 사본들을 직접 읽을 때, 헬라어 문자, 문자결합이나 약자 이외에도 부딪히는 문제들이 많다. 그 중에서 중요한 것들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성한 이름들 : 신약성서의 사본에는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성령, 아버지, 구주, 다윗, 이스라엘, 예루살렘 등과 같은 어휘들을 줄여서 셨다.
(2) 줄 계산
(3) 책제목과 후기
(4) 장 나누기와 장 제목 : 이전에슨ㄴ 이와 동이한 장과 절의 나눔이 없었다. 그러나 전혀 없었던 것이 아니라, 이와는 다른 형태의 장이나 문단 구분이 있었다. 또한 그 장이나 문단에 대한 제목도 붙였다.
(5) 유세비우스 캐논
제 2장
신약성서의 사본들
신약성서의 원문을 복원하는데 중요한 6대 자료는 파피루스 사본, 대문자 사본 , 소문자 사본, 성구집, 교부들의 인용문, 그리고 고대 번역본들이다. 이중에서 처음 다섯 종류는 책 재료, 굴씨체, 용도, 등에 따라 분류된 것인데, 모두 헬라어로 기록되었다. 마지막 것은 팔레스타인을 벗어나 기독교 선교가 이루어지면서 발생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여러언어로 번역된 고대 번역본들이다.
2.1 사본 명명법
성구집 등의 표기도 동일한 체계를 따른다. 그래서 이 사본명명체계를 흔히 그레고리- 알란트번호체계라고 부른다.
2.2 헬라어 사본
2.2.1. 파피루스 사본
1) 체스터 베티 파피루스 사본
2) 보드머 파피루스 사본
3) 파피루스 사본
4)20세기 말에 새로 알려진 피피루스 사본들
2.2.2. 대문자 사본
1) 시내 사본
2) 알렉산드리아 사본
3)바티칸 사본
4) 에프라임 사본
5) 베자 사본
6) 클라로몬트 사본
7) 워싱턴 사본
8) 코리데티 사본
2.2.3. 소문자 사본
1) 사본 1
2) 사본 13
3) 사본 33
4) 사본 69
5) 사본 81
6) 사본 565
7) 사본 579
8) 사본 1424
9) 사본 1739
10) 사본 2053
2.3. 성구집
성구집이란 교회 예배에서 낭송하기 위하여 성서 본문을 나누고, 순서를 바꾸고, 도입문구를 삽입하여 만든 매일 읽기 성경을 말한다. 성구집 사본들은 지나치게 비잔틴 본문 유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신약성서 원문 복원에 치명적으로 중요한 역할은 못한다.
2.4. 교부 인용문
2.5. 번역본
원문에서 바로 번역한 일차번역 - 제롬의 불가타는 히브리어 본문에서 구약을, 헬라어 본문에서 신약을 직접 번역하였기 때문에 일차 번역에 속한다- 일 경우가 가장 도움이 된다.
2.5.1. 동방교회의 번역본
1) 시리아어 번역본
2) 콥트어 번역본
3) 아르메니아어 번역본
4) 그루지아어 번역본
5) 에디오피아어 번역본
6) 아라비아어 번역본
2.5.2. 서방교회의 번역본
1) 라틴어 번역본
2) 코트어 번역본
3) 고 슬라브어 번역본
제 3장
신약성서 본문의 전달 역사
3.1. 사본의 시대
이 사본의 시대는 대략적으로 사본의 분산기(2-3세기), 사본의 집합기(4-8세기), 표준본문기(9-16세기)로 세분할 수 있다. 그러면 이 기간에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이 시대에 이문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1)비의도적인 변화에는 (1) 눈의 실수 (2) 귀의 실수 (3) 기억의 실수 (4) 판단의 실수
2) 의도적인 변화 (1) 문법과 언어적 변화 (2) 예배용으로 바꾸기 (3) 불일치를 바꾸기 (4) 조화시키기 (5) 이문 융합 (6) 교리적인 변화
3.2. 인쇄 본문의 시대
신약성서의 인쇄 본문의 시대는 다음과 같이 크게 ‘수용본문’의 시기(1516-1881)와 비평본문의 시기(1881-현재)로 나눌 수 있다.
3.2.1. 수용본문의 시기
헬라어 신약성서의 인쇄와 더불어 펼쳐진 전반부 400년 가까운 시기는 소위 수용본문의 출현과 군림, 그리고 그를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시기를 세분해 본다면, 수용본문의 형성기(1516-1633), 본문증거들의 축적기(1633-1830), 그리고 비평본문을 향한 고투기(1830-1881)등으로 더 세분된다.
3.2.2. 비평본문의 시기
1) 웨스트코트 - 호르트 두 신약성서 본문비평 학자
2) 폰 조덴
3) 네스틀레 - 알란트
4) UBS판
5) 방법론의 발전
6) 신약성서 본문연구의 최근 동향
신약성서 본문연구의 현재 동향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07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