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게임의 개요
2. 의사소통에 기초한 E-fishery게임 분석
3. 의사소통과 관련된 협력의 사례
(1) 실패사례
(2) 성공사례
4. 결론
2. 의사소통에 기초한 E-fishery게임 분석
3. 의사소통과 관련된 협력의 사례
(1) 실패사례
(2) 성공사례
4. 결론
본문내용
경우가 완벽한 자발적 협동은 될 수 없지만, 어느정도 협력의 의지로 발생한 성공사례이기 때문에 사례에 추가하였다. 결국 양자간의 협동 노력을 통하여 본래 4사분면에 위치하게될 Nash 균형점은 2사분면에 위치, ‘사회적 최선’ 의 결과를 이끌어 냈다.
②확신게임의 경우
*보수:
-Reward: 공동 쓰레기 매립장 건설을 통하여 얻는 양자간 이익
-Temptaion: 공동쓰레기 매립장 설립을 포기하고 각자의 쓰레기 매립장을 설립하되 최대한 자기의 행정구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인접 도시에 가깝게 설립.
-Sucker: 쓰레기 매립장을 각자 설립할때에 입지상 피해를 모두 감소하고 최대한 인접도시에 피해를 주지 않고 건설.
-Punishment: 양자 모두 쓰레기 설립장을 건설하지 않음.
청주시
청원군
협력
배반
협력
Reward
Reward
Sucker
Temptaion
배반
Temptaion
Sucker
Punishment
Punishment
*보수의 상대적 크기: Reward > Temptaion > Punishment > Sucker
-확신게임에 있어서 Nash 균형점은 2사분면에 찍힌다. 확신게임은 양자가 서로 협동할 의지를 가지고 있을때 서로 협동이 이루어지며, 한쪽이 협력을 하고 한쪽이 배반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양자중 어느 한쪽이라도 협력을 거부하면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경우는 사회적으로 최선의 결과가 서로 협동하는 경우라는 것을 미리 알고 있고, 이에 따라 양자는 서로 협동을 하여 공동 쓰레기 매립장을 설립하는 경우 또는 양자 모두 공동 쓰레기매립장 설립과 각 단체 자체의 쓰레기 매립장 설립을 모두 포기하는 두 가지 경우가 발생한다. 확신게임의 경우, 공동 쓰레기 매립장 설립의 의지가 뚜렷하고, 이에 따라 입지적 조건에 따른 갈등 해결 의지 또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자 모두 공동 쓰레기 매립장 건설에 수긍하고 협동을 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최선의 결과를 끌어냈다고 본다.
3)공유재로서의 쓰레기 매립장
-앞의 게임 이론에서와 같이 ‘사회적 딜레마’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쓰레기 매립장 자체가 공유재이기 때문이다. 흔히 ‘편익감소성’과 ‘배제 가능성’ 의 조건으로 공유재, 공공재, 사적재, 요금재를 구분한다. 다음과 같다.
편익감소
편익비감소
배제가능
사적재
(private good)
요금재
(toll good)
배제불가능
공유재
(common pool resource)
공공재
(public good)
편익이 감소하면서 배제가 불가능 한 것이 바로 공유재이다. 공동 쓰레기 매립장의 경우, 쓰레기가 매립될 땅만 고려하였을 때는 그 땅 자체는 편익도 비감소하고 배제도 불가능한 ‘공공재’의 성격을 보인다. 그러나 이는 언제든지 변할수 있다. 공동 쓰레기 매립장을 건설하면서, 쓰레기 매립장으로 인한 주변의 지가하락, 악취, 소음 등의 여러문제가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주거 지역 옆에 쓰레기 매립장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한다. 따라서 쓰레기 매립장은 이 모든 조건을 피해갈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립되어야하며, 일단 쓰레기 매립장을 설립한 다음부터 쓰레기 매립장이 건설된 그 땅은 더 이상 공공재가 아닌 ‘공유재’가 된다. 즉, 쓰레기 매립장을 설립함으로써 공공의 이익을 위할수 있게된 반면에, 쓰레기 매립을 할수 있는 부지는 쓰레기 매립장으로 한정되며, 이것을 설립하는 위치도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할수 있는 입지최적지에 설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쓰레기 매립장 설립은 편익 감소성을 가진다. 따라서 쓰레기 매립장은 공유재 이며, 이에 따라 공유재 상황에서의 PD 게임 같은 상황이 발생하며, 이것을 잘 해결하는 것이 협동을 자발적으로 이끌어 낼수 있는 해결책이 된다.
4)반복 게임으로 서의 PD 게임
- ‘반복게임’ 이론은 양자간의 PD 게임 형식은 위의 사례가 어떻게 자발적 협력을 하게 되었는지의 과정을 설명할수 있다. 즉, 사람들은 미래에 대한 기대를 하며 현재의 상황을 해결하려 한다. 왜냐하면, 청주시와 청원군 사이에서의 쓰레기 매립장 설립은 한번의 의견으로 모든 상황이 앞으로도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 매립장 공동 설립에 대한 끊임없는 의견을 앞으로도 나눌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사례의 경우 ‘반복게임’의 형태를 보인다. 반복게임의 경우 미래를 봄에 있어서 초전략을 전략적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략이 초전략으로써의 TFT 전략이다. 즉, 쓰레기 매립장을 공동으로 건설하게
②확신게임의 경우
*보수:
-Reward: 공동 쓰레기 매립장 건설을 통하여 얻는 양자간 이익
-Temptaion: 공동쓰레기 매립장 설립을 포기하고 각자의 쓰레기 매립장을 설립하되 최대한 자기의 행정구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인접 도시에 가깝게 설립.
-Sucker: 쓰레기 매립장을 각자 설립할때에 입지상 피해를 모두 감소하고 최대한 인접도시에 피해를 주지 않고 건설.
-Punishment: 양자 모두 쓰레기 설립장을 건설하지 않음.
청주시
청원군
협력
배반
협력
Reward
Reward
Sucker
Temptaion
배반
Temptaion
Sucker
Punishment
Punishment
*보수의 상대적 크기: Reward > Temptaion > Punishment > Sucker
-확신게임에 있어서 Nash 균형점은 2사분면에 찍힌다. 확신게임은 양자가 서로 협동할 의지를 가지고 있을때 서로 협동이 이루어지며, 한쪽이 협력을 하고 한쪽이 배반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양자중 어느 한쪽이라도 협력을 거부하면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경우는 사회적으로 최선의 결과가 서로 협동하는 경우라는 것을 미리 알고 있고, 이에 따라 양자는 서로 협동을 하여 공동 쓰레기 매립장을 설립하는 경우 또는 양자 모두 공동 쓰레기매립장 설립과 각 단체 자체의 쓰레기 매립장 설립을 모두 포기하는 두 가지 경우가 발생한다. 확신게임의 경우, 공동 쓰레기 매립장 설립의 의지가 뚜렷하고, 이에 따라 입지적 조건에 따른 갈등 해결 의지 또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자 모두 공동 쓰레기 매립장 건설에 수긍하고 협동을 함으로써 사회적으로 최선의 결과를 끌어냈다고 본다.
3)공유재로서의 쓰레기 매립장
-앞의 게임 이론에서와 같이 ‘사회적 딜레마’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쓰레기 매립장 자체가 공유재이기 때문이다. 흔히 ‘편익감소성’과 ‘배제 가능성’ 의 조건으로 공유재, 공공재, 사적재, 요금재를 구분한다. 다음과 같다.
편익감소
편익비감소
배제가능
사적재
(private good)
요금재
(toll good)
배제불가능
공유재
(common pool resource)
공공재
(public good)
편익이 감소하면서 배제가 불가능 한 것이 바로 공유재이다. 공동 쓰레기 매립장의 경우, 쓰레기가 매립될 땅만 고려하였을 때는 그 땅 자체는 편익도 비감소하고 배제도 불가능한 ‘공공재’의 성격을 보인다. 그러나 이는 언제든지 변할수 있다. 공동 쓰레기 매립장을 건설하면서, 쓰레기 매립장으로 인한 주변의 지가하락, 악취, 소음 등의 여러문제가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주거 지역 옆에 쓰레기 매립장이 들어서는 것을 반대한다. 따라서 쓰레기 매립장은 이 모든 조건을 피해갈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설립되어야하며, 일단 쓰레기 매립장을 설립한 다음부터 쓰레기 매립장이 건설된 그 땅은 더 이상 공공재가 아닌 ‘공유재’가 된다. 즉, 쓰레기 매립장을 설립함으로써 공공의 이익을 위할수 있게된 반면에, 쓰레기 매립을 할수 있는 부지는 쓰레기 매립장으로 한정되며, 이것을 설립하는 위치도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 할수 있는 입지최적지에 설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면에서 쓰레기 매립장 설립은 편익 감소성을 가진다. 따라서 쓰레기 매립장은 공유재 이며, 이에 따라 공유재 상황에서의 PD 게임 같은 상황이 발생하며, 이것을 잘 해결하는 것이 협동을 자발적으로 이끌어 낼수 있는 해결책이 된다.
4)반복 게임으로 서의 PD 게임
- ‘반복게임’ 이론은 양자간의 PD 게임 형식은 위의 사례가 어떻게 자발적 협력을 하게 되었는지의 과정을 설명할수 있다. 즉, 사람들은 미래에 대한 기대를 하며 현재의 상황을 해결하려 한다. 왜냐하면, 청주시와 청원군 사이에서의 쓰레기 매립장 설립은 한번의 의견으로 모든 상황이 앞으로도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쓰레기 매립장 공동 설립에 대한 끊임없는 의견을 앞으로도 나눌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사례의 경우 ‘반복게임’의 형태를 보인다. 반복게임의 경우 미래를 봄에 있어서 초전략을 전략적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략이 초전략으로써의 TFT 전략이다. 즉, 쓰레기 매립장을 공동으로 건설하게
추천자료
온라인 게임 시장의 전망 및 분석
게임 속의 전쟁과 폭력에 관한 분석 보고
온 게임넷의 국제 마케팅 사례 분석
동남아 지역 온라인게임 시장의 개괄적 분석
게임시장의 현황과 넥슨의 마케팅 전략 분석 (고급 파워포인트 자료)
[온라인게임산업]엔씨소프트의 기업분석
[e비즈니스] 모바일게임 '컴투스' 성공요인 분석(리포트)
[넥슨 분석][온라인 게임 넥슨]Play your imagination. NEXON(넥슨에 대해서)
게임을 몰입할 수 있게 하는 요인들 분석 조사
[우수평가독후감]이기는 사람들의 게임의 법칙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분석과 느...
NHN 온라인 게임시장 진출 성공 사례분석`
[NHN기업분석] NHN 모바일게임시장 진출전략 보고서
[NHN기업분석] NHN 모바일게임시장 진출전략 PPT자료
국내 온라인 게임산업 및 아이템시장의 현황 분석과 아이템베이의 사업방식 및 성공요인과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