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비고급화
갤러리아 명품관 & 버그도프굿맨 (BERGDORF GOODMAN)
2. 프리미엄디자인
버커루진 (BUCKAROO JEAN) & 레스포색 (LeSportsac)
3. Hospitality
W Walkerhill Hotel & Four Seasons Hotel
4. 3S (e-sports)
Nexon '카트라이더' & Electronic Arts ‘피파(FIFA)시리즈’
5. Shoppotainment
반디앤루니스 & 반스앤노블
6. Edutainment
PBS-Sesame Street & JEI 재능방송
갤러리아 명품관 & 버그도프굿맨 (BERGDORF GOODMAN)
2. 프리미엄디자인
버커루진 (BUCKAROO JEAN) & 레스포색 (LeSportsac)
3. Hospitality
W Walkerhill Hotel & Four Seasons Hotel
4. 3S (e-sports)
Nexon '카트라이더' & Electronic Arts ‘피파(FIFA)시리즈’
5. Shoppotainment
반디앤루니스 & 반스앤노블
6. Edutainment
PBS-Sesame Street & JEI 재능방송
본문내용
제시된 상태에서 원하는 사물을 그림 속에 넣어 맘대로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들을 위한 내용뿐만 아니라, 부모들을 위한 자료들도 재미와 함께 교육적인 내용들 있어 매우 효과적인 학습을 돕고 있다.
3) 성과 및 시사점
1969년 처음 시작하여 36번째 시즌까지 방영되었으며, 올 8월에 37번째 시즌이 시작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어린이들의 학교 외 교육(out-of- school learning)센터이며, 어린이 교육방송의 정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파생적으로 캐릭터 상품들까지 전세계적으로 사랑 받고 있음은 물론이고, 2005년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세서미스트리트의 이익은 전년 대비 약 100억 달러(10.7%)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세서미스트리트가 오랫동안 전세계적으로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것이 단순히 재미를 주는 오락프로그램이라서가 아니라, 그와 함께 교육적인 서비스도 제공하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 그것으로부터 얻은 혜택을 기억하는 부모들이 자식에게도 보여주는 대를 이어가는 TV프로그램인 것이다. 따라서 위의 사례는 history(역사)와 quality(흥미와 교육), marketing(마케팅)의 삼박자가 고루 어우러진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다.
4) 출처
www.pbskids.org
www.sesameworkshop.com - 2005Annual report
www.muppetcentral.com
3. 트렌드 이슈 분석
1) 영어교육 프로그램
국내 정세를 볼 때, 영어 공부에 대한 열기가 뜨겁다. 그리고 사교육의 장에서도 영어교육의 치맛바람이 제일 거세다. 하지만, 이는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전세계적인 현상이다. 그에 따라 TV의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비중이 큰 것은 말할 것도 없다. JEI 잉글리쉬 TV의 '도로시의 라이프 앤 잉글리시', EBS의 '잉글리쉬 까페'는 이미 유명한 프로그램들이다. 잉글리쉬 까페의 경우, BBC의 어린이 교육 채널인 씨비비즈가 만든 '롤리 모 쇼'라는 3~6세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읽기능력향상 프로그램도 있다. 이 프로그램은 영국, 싱가폴에 이어 한국에까지 진출하였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와 함께 그러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주요 마케팅 변수이다. 덧붙여서 말하자면,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오프라인보다
인터넷이나 TV를 활용한 영어교육 시장은 상승세를 타는 구조이기 때문에 불경기인 요즘, 저렴하게 영어학습을 제공하는 교육방송국에게 호기(好機)이다. 따라서 교육방송국들은 외국어 방송 중에서도 영어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교수법을 접목시켜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가고 있다는 중이다.
2) DMB서비스 등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학습의 시대
DMB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약자로,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이다. 휴대폰이나 PDA등 Receiver를 통해 이동하면서 방송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DMB서비스의 확장으로 새로운 방식의 에듀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새로운 마케팅 방법의 일환으로 고찰되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DMB서비스로 공익성을 위한 프로그램 특히, 교육을 원하는 이용자들이 적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휴대가 가능하고 편리한 장점을 이용하여 어린이, 학생들의 교육에 DMB서비스가 도입이 되는 머지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DMB뿐만 아니라 Wibro, IPTV, PMP등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으로 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유통채널이 다양하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언제, 어디에서나 매체를 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통채널의 다양화에 맞추어 타겟 층과 최대한 만남이 이루어지는 채널을 공략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캐릭터의 힘
히트한 캐릭터 하나, 열 애니메이션 안 부럽다. 잘 개발된 문화 콘텐츠가 성공했을 경우에, 그 파급효과는 엄청나다. 캐릭터가 중심이 되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는 자체가 독립된 브랜드의 역할을 가진다. 때문에 판매용 비디오, DVD, 웹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로 파급되어 고수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면, 인기 어린이 프로그램 '방귀대장 뿡뿡이'는 비디오테이프 판매로 2000년부터 5년간 94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한다. 그리고 '뿡뿡이' 인형은 5만개 이상 팔렸다고 하니 그 경제적 효과는 말할 수 없다. 2005년 통계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는 세서미스트리트의 경우, 등장한 캐릭터들의 제품 라이센싱(Licensing)을 통해 약500억 달러에 이르는 수익을 얻었다. 에듀테인먼트 시장은 아직 성숙기에 접어들지 않은 잠재시장이라고 한다. 따라서 헤럴드 뉴스는 2006년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업체의 총 매출액을 2005년 대비 58.5%성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2010년에는 2005년 매출액의 약 6배에 달하는 4,262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덩달아 히트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같은 프로덕션의 다른 프로그램들까지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이제까지 보면, 한국의 어린이 TV프로그램에 등장한 캐릭터들은 반짝 떴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R&D과정에서 캐릭터 개발이 성공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창구효과(Window effect)가 큰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4) 출처
파이낸셜 2006년 5월 12일, “뉴스재미있는 방송이야기- 놀며 배우는 영어교육채널”
한경비지니스 2006년 6월 2일, “영어 열풍 타고 ‘훨훨’... 증권가 주목”
경향신문 2005년 3월 16일, "DMB 오락방송 홍수 우려"
2006 콘텐츠산업, 모바일에 승부건다
마이데일리 2005년 10월 10일, “EBS, '국정감사 문제제기, '짜잔형'권형준 유감스럽다'”
3) 성과 및 시사점
1969년 처음 시작하여 36번째 시즌까지 방영되었으며, 올 8월에 37번째 시즌이 시작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어린이들의 학교 외 교육(out-of- school learning)센터이며, 어린이 교육방송의 정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파생적으로 캐릭터 상품들까지 전세계적으로 사랑 받고 있음은 물론이고, 2005년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세서미스트리트의 이익은 전년 대비 약 100억 달러(10.7%)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세서미스트리트가 오랫동안 전세계적으로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것이 단순히 재미를 주는 오락프로그램이라서가 아니라, 그와 함께 교육적인 서비스도 제공하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 그것으로부터 얻은 혜택을 기억하는 부모들이 자식에게도 보여주는 대를 이어가는 TV프로그램인 것이다. 따라서 위의 사례는 history(역사)와 quality(흥미와 교육), marketing(마케팅)의 삼박자가 고루 어우러진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다.
4) 출처
www.pbskids.org
www.sesameworkshop.com - 2005Annual report
www.muppetcentral.com
3. 트렌드 이슈 분석
1) 영어교육 프로그램
국내 정세를 볼 때, 영어 공부에 대한 열기가 뜨겁다. 그리고 사교육의 장에서도 영어교육의 치맛바람이 제일 거세다. 하지만, 이는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전세계적인 현상이다. 그에 따라 TV의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비중이 큰 것은 말할 것도 없다. JEI 잉글리쉬 TV의 '도로시의 라이프 앤 잉글리시', EBS의 '잉글리쉬 까페'는 이미 유명한 프로그램들이다. 잉글리쉬 까페의 경우, BBC의 어린이 교육 채널인 씨비비즈가 만든 '롤리 모 쇼'라는 3~6세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읽기능력향상 프로그램도 있다. 이 프로그램은 영국, 싱가폴에 이어 한국에까지 진출하였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와 함께 그러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주요 마케팅 변수이다. 덧붙여서 말하자면, 경기가 좋지 않을 때, 오프라인보다
인터넷이나 TV를 활용한 영어교육 시장은 상승세를 타는 구조이기 때문에 불경기인 요즘, 저렴하게 영어학습을 제공하는 교육방송국에게 호기(好機)이다. 따라서 교육방송국들은 외국어 방송 중에서도 영어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교수법을 접목시켜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가고 있다는 중이다.
2) DMB서비스 등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학습의 시대
DMB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팅(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약자로,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이다. 휴대폰이나 PDA등 Receiver를 통해 이동하면서 방송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DMB서비스의 확장으로 새로운 방식의 에듀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새로운 마케팅 방법의 일환으로 고찰되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DMB서비스로 공익성을 위한 프로그램 특히, 교육을 원하는 이용자들이 적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휴대가 가능하고 편리한 장점을 이용하여 어린이, 학생들의 교육에 DMB서비스가 도입이 되는 머지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DMB뿐만 아니라 Wibro, IPTV, PMP등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으로 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유통채널이 다양하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이러한 서비스들의 장점은 무엇보다도 언제, 어디에서나 매체를 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통채널의 다양화에 맞추어 타겟 층과 최대한 만남이 이루어지는 채널을 공략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캐릭터의 힘
히트한 캐릭터 하나, 열 애니메이션 안 부럽다. 잘 개발된 문화 콘텐츠가 성공했을 경우에, 그 파급효과는 엄청나다. 캐릭터가 중심이 되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는 자체가 독립된 브랜드의 역할을 가진다. 때문에 판매용 비디오, DVD, 웹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로 파급되어 고수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면, 인기 어린이 프로그램 '방귀대장 뿡뿡이'는 비디오테이프 판매로 2000년부터 5년간 94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한다. 그리고 '뿡뿡이' 인형은 5만개 이상 팔렸다고 하니 그 경제적 효과는 말할 수 없다. 2005년 통계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는 세서미스트리트의 경우, 등장한 캐릭터들의 제품 라이센싱(Licensing)을 통해 약500억 달러에 이르는 수익을 얻었다. 에듀테인먼트 시장은 아직 성숙기에 접어들지 않은 잠재시장이라고 한다. 따라서 헤럴드 뉴스는 2006년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업체의 총 매출액을 2005년 대비 58.5%성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2010년에는 2005년 매출액의 약 6배에 달하는 4,262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덩달아 히트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같은 프로덕션의 다른 프로그램들까지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이제까지 보면, 한국의 어린이 TV프로그램에 등장한 캐릭터들은 반짝 떴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R&D과정에서 캐릭터 개발이 성공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창구효과(Window effect)가 큰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다.
4) 출처
파이낸셜 2006년 5월 12일, “뉴스재미있는 방송이야기- 놀며 배우는 영어교육채널”
한경비지니스 2006년 6월 2일, “영어 열풍 타고 ‘훨훨’... 증권가 주목”
경향신문 2005년 3월 16일, "DMB 오락방송 홍수 우려"
2006 콘텐츠산업, 모바일에 승부건다
마이데일리 2005년 10월 10일, “EBS, '국정감사 문제제기, '짜잔형'권형준 유감스럽다'”
추천자료
[인터넷마케팅]인터넷마케팅의 정의, 마케팅환경의 변화, 인터넷광고, 인터넷마케팅의 특성, ...
[마케팅][마케팅 성공사례][마케팅 실패사례][마케팅의 과제][마케팅의 역할][마케팅전략][마...
[마케팅성공사례][마케팅사례][마케팅][마케팅성공]스토리텔링마케팅 사례, 감성마케팅 사례,...
[이메일마케팅][E-mail마케팅][무선마케팅][모바일마케팅][마케팅][마케팅 사례][광고]이메일...
[데이터베이스마케팅][DBM]데이터베이스마케팅(DBM)의 개념, 이점, 절차와 국내외 데이터베이...
[문화마케팅]문화마케팅에 대한 정의와 이해, 문화마케팅의 효과와 필요성, 문화마케팅 성공...
[마케팅사례]마케팅 성공요소와 사례 분석, 국내외 마케팅성공사례 엄선 10가지(김연아, 꽃보...
[인터넷마케팅]인터넷마케팅 전략의 이해와 활용, 인터넷마케팅 주요 특징과 효과 및 종류, ...
[귀족마케팅]귀족 마케팅의 개념(정의, 효과, 장점, 특징 등) 귀족마케팅 시장 현황 및 관련 ...
[뉴로마케팅]뉴로 마케팅의 정의와 장점 및 효과 분석, 뉴로마케팅 성장 배경 및 응용 분야와...
[엔터테인먼트마케팅][마케팅]엔터테인먼트마케팅 - 광고, 엔터테인먼트마케팅 - 공동마케팅,...
[마케팅] VIP마케팅 (로얄마케팅/귀족마케팅/명품마케팅)이 소비문화 내에서 갖는 의미 분석
마케팅관리론-문화상품 마케팅의 마케팅 전략-문화상품 마케팅의 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
[마케팅의 이해] 키즈 마케팅 (키즈마케팅,키즈마케팅전략,키즈마케팅사례,부동산마케팅).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