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테마파크의 개념과 특징
1. 테마파크의 개념
2. 테마파크 산업의 특징
3. 테마파크의 기능 및 역할
4. 테마파크의 산업의 동향
5. 테마파크 개발방향과 시사점
Ⅱ. 국내외 개발사례 연구
1. 국내 사례분석
2. 해외 사례분석
1. 테마파크의 개념
2. 테마파크 산업의 특징
3. 테마파크의 기능 및 역할
4. 테마파크의 산업의 동향
5. 테마파크 개발방향과 시사점
Ⅱ. 국내외 개발사례 연구
1. 국내 사례분석
2. 해외 사례분석
본문내용
의 정원이라는 편안함을 줌
허브공원 조성시 지나친 화려함에 치우치지 말고(4계절 꽃을 피우려고 지나친 시설투자를 배제) 테마별 나만의 허브공원이라는 concept으로 조성
새로운 휴식 공간 제공은 물론 식물. 원예에 관한 다양한 전시회 및 교육 강좌를 통하여 자원으로서의 새로운 인식 부여
토종식물과 종자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산 교육장으로 조성
원내 자원봉사자 가이드 제도는 새로운 운영방식으로 도입가능
노래하는 나무는 자연과 과학의 접목을 통한 결정체로서 청소년들을 자극하기위한 새로운 계기 부여
2.4 북해도 라벤다(팜도미타)
가. 일반 현황
일본 훗가이도 니카후라노쵸는 하계 최고기온 30도이상, 동계 최저기온 -25도 이하인 내륙성 지역임
전형적인 농업지역으로써 30여년전 민간농원인 Farm Tomita에 의해 본격적으로 라벤더가 재배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이와 관련된 다양한 관광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1958년부터 향료용 라벤더 재배시작, 전체 면적 35ha, 식재 면적 12ha(36,000평)중 절반이 라벤더, 연간 입장객 120만명으로 7월에 70만명, 6, 8월에 30만명, 기타 20만명, 정식 직원 25만명, 7월에는 임시직원까지 100여명, 매출은 방문객 1인당 만원추정
팜도미타는 향료용으로 라벤더 재배를 시작한 이래 12ha에 걸쳐 재배하고 있으며, 라벤더 꽃과 향기를 이용한 그린투어리즘을 전개중임
- 또한, 라벤더를 소재로 한 오리지널 향수, Pot-pourri 등 가공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주요시설로는 ‘화인의 집(Welcome House로써 라벤터 상품을 진열한 Shop과 팜도미타의 역사코너, 향의 체험교실)’, ‘드라이플라워의 집(일본 최대)’, ‘Pot-pourr의 집(팜도미타의 오리지널 상품을 진열한 shop과 카페)’, ‘향수의 집’으로 구성
나. 시사점
1) 민간과 지자체의 유기적 협조
하부(농가)에서 시작하여 상부(지자체 등)의 유기적 협조관계로 연간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라벤더와 경관을 감상하기 위하여 방문하고 있음
2) 토탈 관광지
라벤더 농원뿐만 아니라 인근에 숙박시설, 휴게시설, 리조트, 레스토랑 등 일체의 시설이 갖춰져 있는 토탈 관광지임
3) 유휴시설 활용
원래 스키장으로써 동계에는 스키장으로써 활용되고 여름철에는 라벤더 농원으로 이용
4) 농원의 마케팅 전략
팜도미타는 라벤더 재배 전경을 활용한 깔끔한 농원 소개용 팜플렛의 발행으로 관광객의 방문 욕구 유도
라벤더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과 디자인이 뛰어난 통신판매용 카달록이 제작으로 관광객의 구매욕구 자극과 함께 시각적 효과 극대화로 판매 증대를 이루고 있음
5) 지자체의 관광협회 운영
관광협회의 운영을 통해 각종 팜플렛 제작, 7월에 협회주최 ‘라벤더 마을축제’를 개최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화성시에서는 향후 지자체가 출현하는 관광협회(가칭)의 신설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2.5 하코네 고라공원
화산과 온천산업의 주산지인 하코네현 고라공원
최초조성연도 : 1914년
부지면적 : 36,300㎡(10,980평)
연방문객 : 약 30만명
주요시설
- 하쿠운도다원(일본식 전통다원)
- 로즈가든(장미정원)
- 열대식물관(약 70여종의 열대식물군)
- 부켄빌레아관(남국의 이국적인 꽃 관상실)
- 크래프트 하우스(체험공예관)
- 찻집 핫테이크아웃, 상품숍 외
2.6 부차드 가든 개발사례
가. 일반현황
위 치 : 캐나다 브리티쉬 콜롬비아주 토드하구
면 적 : 22만평 (사유지)
조성년도 : 1904년 (현재 개장 102주년)
방 문 객 : 약 200만명/년
근무인력 : 약 200여명 (자체 연구개발 인력포함)
주요시설
- 테마 정원 (썬큰가든, 로즈가든, 이탈리아가든, 별연못, 일본정원등)
- 식물정보안내소, 꽃씨기념품가게, 레스토랑, 커피숍
- 기타편익시설 : 방문객안내소, 의무실, 사진관, 스케이트장(동절기) 등
건립연혁: 빅토리아로부터 약 20km떨어진 토드만에 위치한 정원으로 본래는 석회석 채석장임
나. 시사점
밴쿠버는 스탠리 공원, 퀸엘리자베스 공원 등 아름다운 도시공원을 갖추고 있어 도시계획(조경분야)에 많은 벤치마킹이 이뤄지고 있으나 그중 화성시에 도입이 가능한 형태는 부차드 가든으로 판단됨
부차드 가든 조성모델은 화성시 폐광산 또는 각종개발로 황폐해진 공간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친 환경적인 치유 사례임
- 새로운 휴식레저 공간뿐만 아니라 침체된 지역경제의 대안으로서 검토해야함
자연환경(기후여건)을 극복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 개발 및 품종개량 연구
- 여름철 : 야간 조명 및 불꽃놀이, 뮤지컬 및 콘서트 등 관광 프로그램 도입
- 겨울철 : 크리스마스 트리축제, 스케이트장개장 등
- 식물 생육환경 및 종자에 대한 품종개량 연구로 다양한 품종개발을 통한 종의 다양성 확보
역사/ 테마/ 스토리 창조 - 고유한 전통으로 계승
- 설립자의 신념과 전통 테마 및 스토리창조, 독특한 전통으로 계승
ex) ○ 모든 꽃에 이름을 명명하지 않는다.
○ 아름다움에 대한 편견 경계
- 국제적인 관광명소화 이탈리아, 일본정원등 이국적인 관심유발
2.7 외국 사례에 의한 시사점 및 적용방안 도출
외국 사례 분석에 의하여 본 시설 도입시에 적용될 시사점 및 적용방안을 제시함
시설명
규모(평)
주요 시설
시사점 도출 및 적용방안
치바허브
아일랜드
20,000
허브온실, 상품숍, 허브식당, 허브호텔, 허브상품제조장, 허브농원 등
주식회사 Sun Farm, 생산/가공 : 농업생산법인 Sun농원
회원제 운영자체 생산된 재료로 식당운영, 체험교실, 계절별 이벤트 개최
시사점 적용방안 : 본 시설 중심역할 + 농가의 허브농원 조성시 적극 지원으로 연계강화
약왕원
78,650
약왕관, 허브원, 약선 레스토랑, 재배단지, 약초다실, 오행광장, 공예 체험장, 약초 가공 공장, 한방약국, 특산물판매장 외
허브산업의 분업화
-재원/조성/유통 : 농협 , 생산 : 농가
시사점 적용방안 : 본 시설-농협-허브농원-농업단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제3섹터) 검토
팜도미타
105,874
라벤다
허브공원 조성시 지나친 화려함에 치우치지 말고(4계절 꽃을 피우려고 지나친 시설투자를 배제) 테마별 나만의 허브공원이라는 concept으로 조성
새로운 휴식 공간 제공은 물론 식물. 원예에 관한 다양한 전시회 및 교육 강좌를 통하여 자원으로서의 새로운 인식 부여
토종식물과 종자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산 교육장으로 조성
원내 자원봉사자 가이드 제도는 새로운 운영방식으로 도입가능
노래하는 나무는 자연과 과학의 접목을 통한 결정체로서 청소년들을 자극하기위한 새로운 계기 부여
2.4 북해도 라벤다(팜도미타)
가. 일반 현황
일본 훗가이도 니카후라노쵸는 하계 최고기온 30도이상, 동계 최저기온 -25도 이하인 내륙성 지역임
전형적인 농업지역으로써 30여년전 민간농원인 Farm Tomita에 의해 본격적으로 라벤더가 재배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이와 관련된 다양한 관광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1958년부터 향료용 라벤더 재배시작, 전체 면적 35ha, 식재 면적 12ha(36,000평)중 절반이 라벤더, 연간 입장객 120만명으로 7월에 70만명, 6, 8월에 30만명, 기타 20만명, 정식 직원 25만명, 7월에는 임시직원까지 100여명, 매출은 방문객 1인당 만원추정
팜도미타는 향료용으로 라벤더 재배를 시작한 이래 12ha에 걸쳐 재배하고 있으며, 라벤더 꽃과 향기를 이용한 그린투어리즘을 전개중임
- 또한, 라벤더를 소재로 한 오리지널 향수, Pot-pourri 등 가공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주요시설로는 ‘화인의 집(Welcome House로써 라벤터 상품을 진열한 Shop과 팜도미타의 역사코너, 향의 체험교실)’, ‘드라이플라워의 집(일본 최대)’, ‘Pot-pourr의 집(팜도미타의 오리지널 상품을 진열한 shop과 카페)’, ‘향수의 집’으로 구성
나. 시사점
1) 민간과 지자체의 유기적 협조
하부(농가)에서 시작하여 상부(지자체 등)의 유기적 협조관계로 연간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라벤더와 경관을 감상하기 위하여 방문하고 있음
2) 토탈 관광지
라벤더 농원뿐만 아니라 인근에 숙박시설, 휴게시설, 리조트, 레스토랑 등 일체의 시설이 갖춰져 있는 토탈 관광지임
3) 유휴시설 활용
원래 스키장으로써 동계에는 스키장으로써 활용되고 여름철에는 라벤더 농원으로 이용
4) 농원의 마케팅 전략
팜도미타는 라벤더 재배 전경을 활용한 깔끔한 농원 소개용 팜플렛의 발행으로 관광객의 방문 욕구 유도
라벤더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과 디자인이 뛰어난 통신판매용 카달록이 제작으로 관광객의 구매욕구 자극과 함께 시각적 효과 극대화로 판매 증대를 이루고 있음
5) 지자체의 관광협회 운영
관광협회의 운영을 통해 각종 팜플렛 제작, 7월에 협회주최 ‘라벤더 마을축제’를 개최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화성시에서는 향후 지자체가 출현하는 관광협회(가칭)의 신설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2.5 하코네 고라공원
화산과 온천산업의 주산지인 하코네현 고라공원
최초조성연도 : 1914년
부지면적 : 36,300㎡(10,980평)
연방문객 : 약 30만명
주요시설
- 하쿠운도다원(일본식 전통다원)
- 로즈가든(장미정원)
- 열대식물관(약 70여종의 열대식물군)
- 부켄빌레아관(남국의 이국적인 꽃 관상실)
- 크래프트 하우스(체험공예관)
- 찻집 핫테이크아웃, 상품숍 외
2.6 부차드 가든 개발사례
가. 일반현황
위 치 : 캐나다 브리티쉬 콜롬비아주 토드하구
면 적 : 22만평 (사유지)
조성년도 : 1904년 (현재 개장 102주년)
방 문 객 : 약 200만명/년
근무인력 : 약 200여명 (자체 연구개발 인력포함)
주요시설
- 테마 정원 (썬큰가든, 로즈가든, 이탈리아가든, 별연못, 일본정원등)
- 식물정보안내소, 꽃씨기념품가게, 레스토랑, 커피숍
- 기타편익시설 : 방문객안내소, 의무실, 사진관, 스케이트장(동절기) 등
건립연혁: 빅토리아로부터 약 20km떨어진 토드만에 위치한 정원으로 본래는 석회석 채석장임
나. 시사점
밴쿠버는 스탠리 공원, 퀸엘리자베스 공원 등 아름다운 도시공원을 갖추고 있어 도시계획(조경분야)에 많은 벤치마킹이 이뤄지고 있으나 그중 화성시에 도입이 가능한 형태는 부차드 가든으로 판단됨
부차드 가든 조성모델은 화성시 폐광산 또는 각종개발로 황폐해진 공간에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친 환경적인 치유 사례임
- 새로운 휴식레저 공간뿐만 아니라 침체된 지역경제의 대안으로서 검토해야함
자연환경(기후여건)을 극복하기 위한 운영프로그램 개발 및 품종개량 연구
- 여름철 : 야간 조명 및 불꽃놀이, 뮤지컬 및 콘서트 등 관광 프로그램 도입
- 겨울철 : 크리스마스 트리축제, 스케이트장개장 등
- 식물 생육환경 및 종자에 대한 품종개량 연구로 다양한 품종개발을 통한 종의 다양성 확보
역사/ 테마/ 스토리 창조 - 고유한 전통으로 계승
- 설립자의 신념과 전통 테마 및 스토리창조, 독특한 전통으로 계승
ex) ○ 모든 꽃에 이름을 명명하지 않는다.
○ 아름다움에 대한 편견 경계
- 국제적인 관광명소화 이탈리아, 일본정원등 이국적인 관심유발
2.7 외국 사례에 의한 시사점 및 적용방안 도출
외국 사례 분석에 의하여 본 시설 도입시에 적용될 시사점 및 적용방안을 제시함
시설명
규모(평)
주요 시설
시사점 도출 및 적용방안
치바허브
아일랜드
20,000
허브온실, 상품숍, 허브식당, 허브호텔, 허브상품제조장, 허브농원 등
주식회사 Sun Farm, 생산/가공 : 농업생산법인 Sun농원
회원제 운영자체 생산된 재료로 식당운영, 체험교실, 계절별 이벤트 개최
시사점 적용방안 : 본 시설 중심역할 + 농가의 허브농원 조성시 적극 지원으로 연계강화
약왕원
78,650
약왕관, 허브원, 약선 레스토랑, 재배단지, 약초다실, 오행광장, 공예 체험장, 약초 가공 공장, 한방약국, 특산물판매장 외
허브산업의 분업화
-재원/조성/유통 : 농협 , 생산 : 농가
시사점 적용방안 : 본 시설-농협-허브농원-농업단체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제3섹터) 검토
팜도미타
105,874
라벤다
추천자료
유럽 테마여행 계획서 및 소감문
[사회과학] 한국의 테크노파크 사업실태와 기대효과 및 추진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의 테크노파크 사업실태와 기대효과 및 추진방향에 관한 고찰
레포츠 파크 사업 계획서
파크 하얏트 호텔
테크노 파크와 테크노폴리스의 공통점과 차이점
관광개발 - 인천 서해안 테마 구역 개발
-센트럴파크-조경사 레포트
워터파크 조사 (오션월드, 캐리비안베이)
포항워터파크 사업 제안서
국내 리조트의 발전역사 및 분포 특성 용평리조트 강원랜드 리솜리조트 디오션리조트 우리나...
이색호텔 - 스웨덴, 트리호텔 (Tree Hotel) & 핀란드, 까따야녹까 호텔 (Hotel Katajanok...
[테마관광] 테마관광의 개념(정의)과 개발가능유형
서비스기업의 성공사례,오션월드 vs 케리비안베이,국내 워터파크,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