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전자출판의 정의
2.출판환경의 변화요인
2-1. 자본적인 요인
2-2. 기술적인 요인
2-3. 사회 문화적 요인
2-4. 기술적인 요인
3.전자출판의 종류와 특성
3-1 종이책 전자출판
3-2.비종이책 전자출판
4.E-Book
4-1. E-book의 정의
4-2. 전자책의 특성
4-3. 전자책의 대중화 전망
4-4. 전자책의 시장현황
4-5. 전자출판&전자책의 산업 육성 지원
4-6. 전자책 이용
4-7. 전자책의 장 단점
4-8. 전자책의 발전전망 및 조건
5.세계의 전자출판
5-1. 미국 사례
5-2. 유럽 사례
5-3. 일본 사례
Ⅲ.결론
Ⅱ. 본론
1.전자출판의 정의
2.출판환경의 변화요인
2-1. 자본적인 요인
2-2. 기술적인 요인
2-3. 사회 문화적 요인
2-4. 기술적인 요인
3.전자출판의 종류와 특성
3-1 종이책 전자출판
3-2.비종이책 전자출판
4.E-Book
4-1. E-book의 정의
4-2. 전자책의 특성
4-3. 전자책의 대중화 전망
4-4. 전자책의 시장현황
4-5. 전자출판&전자책의 산업 육성 지원
4-6. 전자책 이용
4-7. 전자책의 장 단점
4-8. 전자책의 발전전망 및 조건
5.세계의 전자출판
5-1. 미국 사례
5-2. 유럽 사례
5-3. 일본 사례
Ⅲ.결론
본문내용
타 정보산업과 출판산업의 쟁책적 결합
5. 전자출판의 정보 독점화 현상
6. 음란 및 불량 출판물의 범람
7. 기술발전으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
4. 전자책 E-BOOK
4.1 전자책이란?
Open e-book Forum(OEBF)는 전자책을 “문자 저작물이 포함되어 디지털 형태로 출판되어 열람되는 콘텐츠로서 하나 이상의 고유한 식별자, 메타데이터, 콘텐츠 본문으로 구성된 것, 또는 그 e-book을 읽기 위해 개발된 하드웨어 디바이스 그 자체”라고 정의한다. 전자책 표준안 1.0 1999 미국 OEBF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e-book 기술 개발 기획 연구]는 전자책을 “기존 종이 재료 대신 인터넷의 표준 언어인 HTML 또는 XML 등을 응용, 규격화된 기술표준에 의거하여 제작된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화된 지식 정보 콘텐츠로 탁상용 PC또는 유무선 개인 단말기(PDA)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지식정보 콘텐츠를 획득하여 읽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제반 기술”로서 정의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book 기술개발 기획연구] 2001.7.30
한편 Jay Bolter는 “Writing Space\"라는 그의 저서에서 컴퓨터가 파피우스, 중세의 사본(Codex) 그리고 종이책 이후의 제 4의 문서매체라고 말했다. Kenton O\'hara &Abigail Sellen \"A comparison of Reading Paper and Online Documents\" P1
그러나 종이 책의 대체매체로서의 e-북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그 개념정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PC를 통해 보는 CD롬 타이틀도 넓게 보면 e-book으로 볼 수 있고, 개인 휴대단말기(PPA Personal Portable Assistant)도 e-book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협의로 보았을 때 E-book은 인터넷언어인 HTML과 XML을 응용하여 만든책과 같은 고안물로서 기존의 전자출판기술의 발전과 함께 매체의 융합과 새로운 매체의 개발과정에서 등장한 뉴미디어인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통일된 것은 없다. E-book의 컨텐츠를 e-book 으로 부르고, e-book 컨텐츠를 보는 소프트웨어를 전용 뷰어(Viewer), 하드웨어는 이북 단말기(e-book
Device)로 불리어지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합쳐 e-book이라 일컫기도 한다. 즉 e-book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를 받는 것은 물론 전용 뷰어를 통해 PC나 단말기로 볼 수 있는 디지털 출판영역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e-book은 단순히 읽기 장치나 소프트웨어 패키지만을 의미해왔다. 그러나 단순히 e-book을 하드웨어 플랫폼(Platform)으로만 보아서는 안되며 매체로 확대하여 보아야만 한다. 컴퓨터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시스템이다. 라디오와 방송은 음악, 뉴스 등과 같은 것을 전달하는 채널이기 때문에 명백히 전자매체이지만,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와 같은 것은 플랫폼이다. Online available http // jmc kent edu, Len Kawell
E-BOOK은 콘텐츠를 전달하는 채널로서 플랫폼이 아니라 새로운 매체로 이해 되어져야만 한다.
4.2 전자책의 특성
1. 테크놀러지 차원에서 볼 때, 전자책은 bit, 즉 디지털을 근거로 한다. 네그로폰테(N.Negroponte)는 디지털이라는 테크놀러지가 갖는 네 가지 중요한 특성을 지적하였다.
① 디지털은 정보를 정확히 복제한다. ② 신호의 압축과 에러의 수정이 용이하다. ③ 다양한 종류의 호환성을 지니고 있다. ④정보의 이동능력을 극대화시킨다. Nicholas Negoroponte, Being Digital, A, Knopf Inc., N.Y. 1995, 백욱인 옮김 <디지털이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5
네그로폰테가 지적한 이 네가지 특성들 가운데 ‘다양한 종류의 정보 호환성’은 각종 정보 형태의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특성이다. 즉, 이전까지는 아날로그를 기반으로 정보가 처리되었기 때문에 각기 다른 채널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지만, 디지털 테크놀러지를 기반으로 하는 오늘날의 미디어들은 그 호환성으로 인하여 각종 정보가 호환되거나 혼합이 가능해진 것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멀티미디어이다. 멀티미디어는 디지털 기술에 의해 모든 매체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시간과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시청각적인 효과를 거의 완벽하게 지원하는 개념으로서 전통적인 책과 같은 평면적인 매체가 지원해 주지 못하는 정보들을 지원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2. 구조적인 차원에서 보았을 때 전자책은 비선형적 하이퍼텍스트로 구성된 미디어로서 양방향적 상호작용 미디어로 작용한다. 부시(Vannevar Bush)에 의해 미멕스(Memory extender)라는 용어가 제안되고 넬슨 (Theodor Hoim Nelson)에 의해 명명된 하이퍼텍스트는 “비순차적 글쓰기이며 가지를 치고 독자들에게 선택을 허용하는 텍스트이자 상호작용적 화면에서 가장 잘 읽히는 것인 동시에 끈들에 의해 연결된 일련의 텍스트 덩어리들로서 독자에게 다른 경로 제공하는 것 T.Nelson, Literary Macvhines, Swarthmore, 1981, P.2
이다. 전자책은 하이퍼텍스트로 구성됨으로써 비선형적 읽기와 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매체로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다.
3. 전자책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인식체계를 바탕으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한다. 컴퓨터 그래픽에 의해 재현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는 실물이 아닌 ‘묘사되었거나’ ‘ 만들어진’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는 세계이고 그 이미지들은 실재를 디지털 정보로 재현한 다음 프로그램적 처리에 의해 재생시킨 이미지이다. 정기도, <나, 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책세상, 2000, P.45.
컴퓨터는 전자화면의 미세한 점들(Pixel)은 하나하나의 색채와 빛의 명암을 정확히 하나의 이미지를 나타내 보일 수 있는데, 이 픽셀들이 나타내는 색채와 빛의 명암이 체계적인 모양새로 배열되어 있을
5. 전자출판의 정보 독점화 현상
6. 음란 및 불량 출판물의 범람
7. 기술발전으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
4. 전자책 E-BOOK
4.1 전자책이란?
Open e-book Forum(OEBF)는 전자책을 “문자 저작물이 포함되어 디지털 형태로 출판되어 열람되는 콘텐츠로서 하나 이상의 고유한 식별자, 메타데이터, 콘텐츠 본문으로 구성된 것, 또는 그 e-book을 읽기 위해 개발된 하드웨어 디바이스 그 자체”라고 정의한다. 전자책 표준안 1.0 1999 미국 OEBF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e-book 기술 개발 기획 연구]는 전자책을 “기존 종이 재료 대신 인터넷의 표준 언어인 HTML 또는 XML 등을 응용, 규격화된 기술표준에 의거하여 제작된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화된 지식 정보 콘텐츠로 탁상용 PC또는 유무선 개인 단말기(PDA)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지식정보 콘텐츠를 획득하여 읽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제반 기술”로서 정의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book 기술개발 기획연구] 2001.7.30
한편 Jay Bolter는 “Writing Space\"라는 그의 저서에서 컴퓨터가 파피우스, 중세의 사본(Codex) 그리고 종이책 이후의 제 4의 문서매체라고 말했다. Kenton O\'hara &Abigail Sellen \"A comparison of Reading Paper and Online Documents\" P1
그러나 종이 책의 대체매체로서의 e-북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그 개념정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PC를 통해 보는 CD롬 타이틀도 넓게 보면 e-book으로 볼 수 있고, 개인 휴대단말기(PPA Personal Portable Assistant)도 e-book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협의로 보았을 때 E-book은 인터넷언어인 HTML과 XML을 응용하여 만든책과 같은 고안물로서 기존의 전자출판기술의 발전과 함께 매체의 융합과 새로운 매체의 개발과정에서 등장한 뉴미디어인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통일된 것은 없다. E-book의 컨텐츠를 e-book 으로 부르고, e-book 컨텐츠를 보는 소프트웨어를 전용 뷰어(Viewer), 하드웨어는 이북 단말기(e-book
Device)로 불리어지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합쳐 e-book이라 일컫기도 한다. 즉 e-book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를 받는 것은 물론 전용 뷰어를 통해 PC나 단말기로 볼 수 있는 디지털 출판영역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e-book은 단순히 읽기 장치나 소프트웨어 패키지만을 의미해왔다. 그러나 단순히 e-book을 하드웨어 플랫폼(Platform)으로만 보아서는 안되며 매체로 확대하여 보아야만 한다. 컴퓨터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시스템이다. 라디오와 방송은 음악, 뉴스 등과 같은 것을 전달하는 채널이기 때문에 명백히 전자매체이지만,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와 같은 것은 플랫폼이다.
E-BOOK은 콘텐츠를 전달하는 채널로서 플랫폼이 아니라 새로운 매체로 이해 되어져야만 한다.
4.2 전자책의 특성
1. 테크놀러지 차원에서 볼 때, 전자책은 bit, 즉 디지털을 근거로 한다. 네그로폰테(N.Negroponte)는 디지털이라는 테크놀러지가 갖는 네 가지 중요한 특성을 지적하였다.
① 디지털은 정보를 정확히 복제한다. ② 신호의 압축과 에러의 수정이 용이하다. ③ 다양한 종류의 호환성을 지니고 있다. ④정보의 이동능력을 극대화시킨다. Nicholas Negoroponte, Being Digital, A, Knopf Inc., N.Y. 1995, 백욱인 옮김 <디지털이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5
네그로폰테가 지적한 이 네가지 특성들 가운데 ‘다양한 종류의 정보 호환성’은 각종 정보 형태의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특성이다. 즉, 이전까지는 아날로그를 기반으로 정보가 처리되었기 때문에 각기 다른 채널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지만, 디지털 테크놀러지를 기반으로 하는 오늘날의 미디어들은 그 호환성으로 인하여 각종 정보가 호환되거나 혼합이 가능해진 것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멀티미디어이다. 멀티미디어는 디지털 기술에 의해 모든 매체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시간과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시청각적인 효과를 거의 완벽하게 지원하는 개념으로서 전통적인 책과 같은 평면적인 매체가 지원해 주지 못하는 정보들을 지원할 수 있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2. 구조적인 차원에서 보았을 때 전자책은 비선형적 하이퍼텍스트로 구성된 미디어로서 양방향적 상호작용 미디어로 작용한다. 부시(Vannevar Bush)에 의해 미멕스(Memory extender)라는 용어가 제안되고 넬슨 (Theodor Hoim Nelson)에 의해 명명된 하이퍼텍스트는 “비순차적 글쓰기이며 가지를 치고 독자들에게 선택을 허용하는 텍스트이자 상호작용적 화면에서 가장 잘 읽히는 것인 동시에 끈들에 의해 연결된 일련의 텍스트 덩어리들로서 독자에게 다른 경로 제공하는 것 T.Nelson, Literary Macvhines, Swarthmore, 1981, P.2
이다. 전자책은 하이퍼텍스트로 구성됨으로써 비선형적 읽기와 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매체로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다.
3. 전자책은 사이버스페이스의 인식체계를 바탕으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한다. 컴퓨터 그래픽에 의해 재현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버스페이스는 실물이 아닌 ‘묘사되었거나’ ‘ 만들어진’ 이미지들로 가득 차 있는 세계이고 그 이미지들은 실재를 디지털 정보로 재현한 다음 프로그램적 처리에 의해 재생시킨 이미지이다. 정기도, <나, 아바타 그리고 가상세계> 책세상, 2000, P.45.
컴퓨터는 전자화면의 미세한 점들(Pixel)은 하나하나의 색채와 빛의 명암을 정확히 하나의 이미지를 나타내 보일 수 있는데, 이 픽셀들이 나타내는 색채와 빛의 명암이 체계적인 모양새로 배열되어 있을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실버산업의 현황과 앞으로의 육성방안
전시 컨벤션 산업의 현황 및 육성방안
[디지털컨텐츠산업][디지털컨텐츠보호]디지털컨텐츠산업 동향과 디지털컨텐츠산업 육성 및 디...
[테크노필][하우리][디지털 컨텐츠산업]테크노필과 하우리의 성공사례를 통해 본 디지털 컨텐...
[환경벤처]폐기물 자원화증진을 위한 환경벤처산업의 육성 및 활성화 방안
[디지털][디지털시대][디지털문화][디지털경제][디지털컨텐츠][디지털산업]디지털시대의 디지...
애니메이션(만화) 정의, 애니메이션(만화) 기원, 애니메이션(만화) 종류, 애니메이션(만화) ...
[관광경영] 크루즈 산업의 실태와 전망
[e비즈니스] 국내 모바일콘텐츠 산업분석
스마트폰과소비문화,스마트폰기능적특징,스마트폰시장전망,소비문화와스마트폰
[벤처기업][사업계획서][창업][벤처기업 육성][벤처기업 자금지원][벤처기업 성장효과]벤처기...
「텐센트 (Tencent / &#33150;&#35759;) 기업분석 보고서」 - 텐센트 기업분석과 사...
(A+ 레포트,시험대비) [현대노인복지론] 고령친화산업의 과제와 육성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