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종류
4) 빈도
5) 진단, 치료
3.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일반적 사정
(2) 건강력
(3) 건강양상
(4) 신체검진
(5) 약물
(6) 진단검사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및 수행
4) 간호평가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종류
4) 빈도
5) 진단, 치료
3.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일반적 사정
(2) 건강력
(3) 건강양상
(4) 신체검진
(5) 약물
(6) 진단검사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및 수행
4) 간호평가
본문내용
칠어지고 탄력을 잃으며, 손상 받고 궤양을 형성한다.
그런 곳에는 collagen이 노출되어 있는데 이것이 혈소판에 접촉하여 혈소판 응집을 일으킨다. 이 응집된 혈소판은 때러는 떨어져 나가 색전원이 되기도 한다.
응집된 혈소판에서는 ADP와 그 밖의 물질이 방출되는데 그 방출된 물질이 다시 혈소판 응집을 일으키게 한다.
혈전 형성에는 혈액의 높은 점조도도 이바지 한다. 이런 경우 혈류가 느려지고 혈관 내피가 상하기 쉽게 되며 혈전 형성의 기회가 늘게 된다.
그밖에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이 있으면 혈류에 심한 난류가 일어나서, 혈관벽 장애와 더불어 혈소판과 적혈구 장애가 가해지기 쉽고 이것이 혈전 형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몸안의 콜레스테롤 뿐만 아니라 담배비만증운동부족스트레스 등도 뇌혈전을 촉진시킨다.
2)뇌전색
뇌혈관 밖에서 흘러들어온 전색이 뇌혈관을 막아서 생긴다. 이 전색의 출처는 주로 심장이다. 심내막염이나 판막증 등에서 유리도어 나온 작은 파편이 뇌동맥 안으로 들어와 흐르다가 그 직경이 바슷한 동맥을 막아서 뇌색전을 일으킨다. 그 박에서 경부동맥의 죽상경화의 경화소에서 그 일부가 떨어져나와 뇌전색을 일으키는 수도 있고, 뇌동맥의 혈전 형성부위에서 그일부 경화편이 떨어져 나와 더 가는 뇌동맥을 막을 수도 있다.
뇌혈전은 40대 이후 특히 잘생기는 데 반하여 니전색은 심장병이나, 외상, 그밖의 전색의 원인이 몸안에 있으면, 어떠한 연령에서나 생길 수 있다.
큰 전색은 중대뇌동맥과 같은 큰 동맥의 기시부를 잘막아서 급격한 중증의 신경증상을 일으키면서 출혈성 경색을 보이는 수가 많고, 작은 전색의 대뇌피질이나 피질하 또는 대뇌백질과 뇌간쪽에 경색증을 잘 일으킨다.
빈도
1993년 통계에 따르면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암 다음으로 흔한 사망원인이다. 암이 온몸에서 생기는 병임을 감안한다면 머리 한곳에만 생기는 뇌졸중은 장기별 사망원인으로는 가장 많다. 대부분의 환자가 노인이지만 젊은층의 비중도 적지 않아서 14.4%는 45세 이하이다.
뇌졸중 중에서 뇌경색이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에서는 반반으로 비슷하지만 점차로 서양과 같이 뇌출혈은 줄고 뇌경색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중대뇌 동맥 폐색
가장 빈도가 많은 뇌경색의 종류가 중대뇌동맥 폐색이다. 중대뇌동맥은 내경동맥이 뇌속에 들어가서 갈라지는 가장 큰 가지가 중대뇌 동맥이다.
내포라는 곳은 반대편 팔다리로가는 운동 신경과, 반대편 팔다리에서 오는 감각신경, 즉 손발의 운동과 감각 두가지를 다스리는 섬유속 모여 있는 중요한 부위인데, 여기에서 가장 뇌경색이일어나기 쉬운 부분이다.
중대뇌 동맥은 이러한 내포 뿐 아니라 뇌 표면을 중심으로 대뇌의 앞쪽부터 뒤의 2/3까지 넓은 범위에 혈액을 공급한다.
중대뇌동맥의 시작 부분이 막혀버리면 갖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반대편 팔다리의 운동마비 (편마비), 반대편인 반신의 감각장애 이외에 ‘동명반맹(同名半盲)’이라고 하여 좌우의 눈이 우측 반이라면 우측반, 좌측반이라면 좌츨반이 보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든가 주로 쓰는 손잡이 반대편 뇌 혈관(우성뇌반구)이 막히면 실어증이라 하여 생각한 것을 입밖으로 말하지 못하며, 혹은 상대편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증상, 실독, 실서증 등의 증상이 일어나게 된다.
<중대뇌 동맥이 막혔을 경우>
진단 및 치료
뇌출혈과 뇌경색의 감별은 중요하다. 특히 뇌색전에서는 심근경색등의 영향에 의한 것도 있기 때문에 심전도검사를 실시한다. 뇌컴퓨터단층 촬영이 감별에 많은 도움이 된다. 급성기의 환자는 절대 안정을 요하며 동시에 뇌졸중의 발병된 원인 및 기전을 정확히 규명하여 이에 대한 조취를 취하고 신경이학적 검사와 환자의 상태를 수시로 관찰하므로서 증세가 더욱 악화가 되는지 또는 합병증의 유무를 확인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일발적으로 환자의 혈압은 초기에는 상승되어 있는 것이 보통인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환자가 안정을 취하면 혈압이 서서히 정상으로 회복되고 만일 혈압을 인위적으로 갑자기 낮출 경우 뇌혈류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기 때문에 혈압 조절은 신중을 기하여야한다.
약물 요법 : 항응고제, 항혈소판 제제, 항부종제, 혈압 상승제 ( 신중하여 투여) 등을 사용한다.
뇌경색은 재발의 가능성이 많고, 반복될 경우 마비범위와 확장되며 치매상태가 되기도 하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재활치료도 뇌출혈에 준하여 시행한다.
식사요법
① 콜레스테롤이 풍부한 음식, 즉 비계가 많은 고기, 소세지, 동물의 내장 등을 피하고 버터, 크림, 치즈 등의 지방 유제품도 제한한다.
② 동물성 포화지방산보다 식물성 불포화 지방산이 더 풍부한 기름을 사용한다.
③탄수화물은 혈당을 직접 상승시키므로 당뇨병의 악화요인이 될 뿐 아니라, 혈중 탄수화물은 지방으로 전환 되므로 쨈, 초코렛, 케이크 사탕, 아이스크림 등의 단 음식물을 주의한다.
④섬유소가 많은 야채류의 음식 섬취를 많이 한다.
⑤과다한 염분은 동맥경화증과 고혈압에 연관되어 있으므로 지나친 섭취는 피한다.
⑥규칙적인 식습관을 갖는다.
⑦정상체중 유지를 위해 적절한 열량을 섭취한다.
운동요법
① 약물치료 중인 초기. 수동적 운동을 하지 않을 시 어깨, 무릎, 발목 등에 경직이 올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시행하여 수동적 운동을 하여 관절이 굳는 것을 방지한다.
② 환자 자신 스스로 앉아 간단한 행동을 하게 한다.
③ 따뜻한 물속에서 하는 운동은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데 효과와 부력으로 운동을 수 월케 한다.
④ 실내에서 부행운동을 하는 단계이다.
⑤ ④단계 까지 대삳자가 잘 회복하였다면 좀더 미세하고 복합적인 움직임을 연습하도록 한
다. 이 때 마비된 부분의 운동 리듬은 건강한 부분에 비해 매우 느리기 때문에 가능하면 건강한 팔 다리와 마비된 부위의 운동에 맞추어서 조절하는 것이 좋다.
1. 간호사정
1) 일반적 배경
이 름 권○○ 연 령 89세 성별 여자
진단명 Rt MCA Infarction 입원일 2005.11.19
정보 제공자 며느리 사정일 11월 23~11월 28일
2) 건강력
(1) 주호소
Lt side weakness, dyarthria 로 갑자기 ER 통해 입원 함
“왼쪽으로 마비가
그런 곳에는 collagen이 노출되어 있는데 이것이 혈소판에 접촉하여 혈소판 응집을 일으킨다. 이 응집된 혈소판은 때러는 떨어져 나가 색전원이 되기도 한다.
응집된 혈소판에서는 ADP와 그 밖의 물질이 방출되는데 그 방출된 물질이 다시 혈소판 응집을 일으키게 한다.
혈전 형성에는 혈액의 높은 점조도도 이바지 한다. 이런 경우 혈류가 느려지고 혈관 내피가 상하기 쉽게 되며 혈전 형성의 기회가 늘게 된다.
그밖에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이 있으면 혈류에 심한 난류가 일어나서, 혈관벽 장애와 더불어 혈소판과 적혈구 장애가 가해지기 쉽고 이것이 혈전 형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몸안의 콜레스테롤 뿐만 아니라 담배비만증운동부족스트레스 등도 뇌혈전을 촉진시킨다.
2)뇌전색
뇌혈관 밖에서 흘러들어온 전색이 뇌혈관을 막아서 생긴다. 이 전색의 출처는 주로 심장이다. 심내막염이나 판막증 등에서 유리도어 나온 작은 파편이 뇌동맥 안으로 들어와 흐르다가 그 직경이 바슷한 동맥을 막아서 뇌색전을 일으킨다. 그 박에서 경부동맥의 죽상경화의 경화소에서 그 일부가 떨어져나와 뇌전색을 일으키는 수도 있고, 뇌동맥의 혈전 형성부위에서 그일부 경화편이 떨어져 나와 더 가는 뇌동맥을 막을 수도 있다.
뇌혈전은 40대 이후 특히 잘생기는 데 반하여 니전색은 심장병이나, 외상, 그밖의 전색의 원인이 몸안에 있으면, 어떠한 연령에서나 생길 수 있다.
큰 전색은 중대뇌동맥과 같은 큰 동맥의 기시부를 잘막아서 급격한 중증의 신경증상을 일으키면서 출혈성 경색을 보이는 수가 많고, 작은 전색의 대뇌피질이나 피질하 또는 대뇌백질과 뇌간쪽에 경색증을 잘 일으킨다.
빈도
1993년 통계에 따르면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암 다음으로 흔한 사망원인이다. 암이 온몸에서 생기는 병임을 감안한다면 머리 한곳에만 생기는 뇌졸중은 장기별 사망원인으로는 가장 많다. 대부분의 환자가 노인이지만 젊은층의 비중도 적지 않아서 14.4%는 45세 이하이다.
뇌졸중 중에서 뇌경색이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에서는 반반으로 비슷하지만 점차로 서양과 같이 뇌출혈은 줄고 뇌경색은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중대뇌 동맥 폐색
가장 빈도가 많은 뇌경색의 종류가 중대뇌동맥 폐색이다. 중대뇌동맥은 내경동맥이 뇌속에 들어가서 갈라지는 가장 큰 가지가 중대뇌 동맥이다.
내포라는 곳은 반대편 팔다리로가는 운동 신경과, 반대편 팔다리에서 오는 감각신경, 즉 손발의 운동과 감각 두가지를 다스리는 섬유속 모여 있는 중요한 부위인데, 여기에서 가장 뇌경색이일어나기 쉬운 부분이다.
중대뇌 동맥은 이러한 내포 뿐 아니라 뇌 표면을 중심으로 대뇌의 앞쪽부터 뒤의 2/3까지 넓은 범위에 혈액을 공급한다.
중대뇌동맥의 시작 부분이 막혀버리면 갖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반대편 팔다리의 운동마비 (편마비), 반대편인 반신의 감각장애 이외에 ‘동명반맹(同名半盲)’이라고 하여 좌우의 눈이 우측 반이라면 우측반, 좌측반이라면 좌츨반이 보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든가 주로 쓰는 손잡이 반대편 뇌 혈관(우성뇌반구)이 막히면 실어증이라 하여 생각한 것을 입밖으로 말하지 못하며, 혹은 상대편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증상, 실독, 실서증 등의 증상이 일어나게 된다.
<중대뇌 동맥이 막혔을 경우>
진단 및 치료
뇌출혈과 뇌경색의 감별은 중요하다. 특히 뇌색전에서는 심근경색등의 영향에 의한 것도 있기 때문에 심전도검사를 실시한다. 뇌컴퓨터단층 촬영이 감별에 많은 도움이 된다. 급성기의 환자는 절대 안정을 요하며 동시에 뇌졸중의 발병된 원인 및 기전을 정확히 규명하여 이에 대한 조취를 취하고 신경이학적 검사와 환자의 상태를 수시로 관찰하므로서 증세가 더욱 악화가 되는지 또는 합병증의 유무를 확인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일발적으로 환자의 혈압은 초기에는 상승되어 있는 것이 보통인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환자가 안정을 취하면 혈압이 서서히 정상으로 회복되고 만일 혈압을 인위적으로 갑자기 낮출 경우 뇌혈류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기 때문에 혈압 조절은 신중을 기하여야한다.
약물 요법 : 항응고제, 항혈소판 제제, 항부종제, 혈압 상승제 ( 신중하여 투여) 등을 사용한다.
뇌경색은 재발의 가능성이 많고, 반복될 경우 마비범위와 확장되며 치매상태가 되기도 하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재활치료도 뇌출혈에 준하여 시행한다.
식사요법
① 콜레스테롤이 풍부한 음식, 즉 비계가 많은 고기, 소세지, 동물의 내장 등을 피하고 버터, 크림, 치즈 등의 지방 유제품도 제한한다.
② 동물성 포화지방산보다 식물성 불포화 지방산이 더 풍부한 기름을 사용한다.
③탄수화물은 혈당을 직접 상승시키므로 당뇨병의 악화요인이 될 뿐 아니라, 혈중 탄수화물은 지방으로 전환 되므로 쨈, 초코렛, 케이크 사탕, 아이스크림 등의 단 음식물을 주의한다.
④섬유소가 많은 야채류의 음식 섬취를 많이 한다.
⑤과다한 염분은 동맥경화증과 고혈압에 연관되어 있으므로 지나친 섭취는 피한다.
⑥규칙적인 식습관을 갖는다.
⑦정상체중 유지를 위해 적절한 열량을 섭취한다.
운동요법
① 약물치료 중인 초기. 수동적 운동을 하지 않을 시 어깨, 무릎, 발목 등에 경직이 올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시행하여 수동적 운동을 하여 관절이 굳는 것을 방지한다.
② 환자 자신 스스로 앉아 간단한 행동을 하게 한다.
③ 따뜻한 물속에서 하는 운동은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데 효과와 부력으로 운동을 수 월케 한다.
④ 실내에서 부행운동을 하는 단계이다.
⑤ ④단계 까지 대삳자가 잘 회복하였다면 좀더 미세하고 복합적인 움직임을 연습하도록 한
다. 이 때 마비된 부분의 운동 리듬은 건강한 부분에 비해 매우 느리기 때문에 가능하면 건강한 팔 다리와 마비된 부위의 운동에 맞추어서 조절하는 것이 좋다.
1. 간호사정
1) 일반적 배경
이 름 권○○ 연 령 89세 성별 여자
진단명 Rt MCA Infarction 입원일 2005.11.19
정보 제공자 며느리 사정일 11월 23~11월 28일
2) 건강력
(1) 주호소
Lt side weakness, dyarthria 로 갑자기 ER 통해 입원 함
“왼쪽으로 마비가
키워드
추천자료
레포트 충북대 중환자실 실습 뇌경색 케이스 최종
ER케이스 -abdomen pain
[성인간호학][협심증][Angina Pectoris][심근경색]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Vertigo] [어지럼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ICU case study-brain infarction (뇌경색)
[동서협진과 CASE] CB-Infarction으로 인한 편측 마비로 의심되는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Drowsy mentality를 주소로하는 급성기 뇌경색 환자 1례
[동서협진과 CASE] 뇌경색 재발로 인한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뇌경색 후의 우측 무력증으로 내원한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좌측 편측마비를 주소로 하는 Cerebral Infarction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폐렴을 동반한 Cb-infarction 환자 1례
[동서협진과 CASE]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Cb-inf 및 HTN 남환 1례
간호 실습 케이스 성인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