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와 정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스포츠와 정치

본문내용

해서 경기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됐었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광의의 정치적 측면에서 스포츠는 사회운동의 수단이 된다. 그 예로, 멕시코올림픽대회(1968년)에서 미국의 단거리 선수인 Tom Smith와 John Carlos가 시상대에서 고개를 숙인 채 검은 장갑을 낀 손을 높이 들며, 인종차별에 대한 무언의 시위를 벌인 사건(블랙사인)이 유명하다. 이와 같이 인종문제나 이데올로기, 성차별 등에 관한 정치적 문제를 스포츠와 연관시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었다.
2002 한일 월드컵에서 거리응원 블랙 사인 사건
다음으로 스포츠의 정치적 역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째, 대립 국가들간의 대결의 장으로 이용되어 국제적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 예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과 1984년 LA 올림픽은 각각 공산주의와 민주주의의 이념적 대립으로 인해 주변 국가들 간의 갈등을 조장한 경우이다.
둘째, 권력의 형성과 유지를 정당화하기 위해 피지배자 감정에 호소하여 지배의 정당성을 구하고자 한다. 그 예로 우리나라에서 제 5공화국 출범과 함께 우민정책의 일환으로 국민들의 정치적 무관심을 조장하기 위해 스포츠를 활성화했다고 평하는 사람들도 있다.
셋째, 국수주의적 국민의식을 조장한다. 그 예로, 국제 스포츠경기에서의 승리는 자국의 정치체계의 우월성이나 이데올로기, 경제, 사회 및 민족의 우수성 과시의 장이 된다.
1982년 프로야구 개막식 전두환 대통령의 시구
2002년 한일 월드컵 당시 축구에 대한 열기로 한국정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실종되었었다. 6.13 지방선거 때 지역의 대표를 뽑는 일에도 국민들의 무관심은 계속 됐다. 각종 언론에 보도되는 선거 유세 현장의 사진을 봐도 너무 썰렁해 보는 사람이 오히려 민망할 정도였다 한다. 이것은 여와 야로 나누어 편을 가르는 정치인들과 남을 비방하고 욕을 해야 하며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이 되는 선거에 염증을 느꼈다고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포츠 즉, 월드컵이라는 행사를 통해 국민의 정치(선거)에 대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한 정치인들의 의도일수도 있다.
이렇게 스포츠는 정치랑 맞물려서 오랜 역사를 같이 공생해 왔던 것이다. 앞으로도 정치와 스포츠의 관계는 장단점을 지니면서 유지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정치와 스포츠의 관계에 대해서 바르게 인식하고, 이 둘이 올바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 주시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0.30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