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실습목적)
본론
1.대상자 profile
2.문헌고찰
3.전반적인 대상자 설명
4.I&O check & V/S check
5.혈액(화학, 응급)검사
6.그 외 검사
7.투약
8.문제점 & 간호진단
9.간호과정
결론(실습을 마치며)
본론
1.대상자 profile
2.문헌고찰
3.전반적인 대상자 설명
4.I&O check & V/S check
5.혈액(화학, 응급)검사
6.그 외 검사
7.투약
8.문제점 & 간호진단
9.간호과정
결론(실습을 마치며)
본문내용
. 무의식 또는 위중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응급간호술을 익힌다.
본론
1.대상자 profile
①이름: 김○○
②나이: 84세
③성별: 남
④입원 날짜: 2006.5.15
⑤과거력: 5년 전부터 DM(당뇨) 앓아 오심
⑥입원 동기: 15일 새벽 0시 30분경 노래방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다 넘어지심.
⑦진단명: T-ICH Lt.T-P(외상성 두개내출혈 왼쪽 측두-두정), Multiple hemorrhagic contusion(다발성 출혈성 타박상), T-SAH(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 Acute SDH both(급성 뇌경막하 출혈), FCCD Lt.T-P(복잡분쇄함몰골절 왼쪽 측두-두정)
2.문헌고찰
①SDH(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 경막하 혈종이란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서 정맥 출혈로 발생한 혈종을 의미한다. 대뇌반구 내 연결정맥이나 뇌 조직이 찢어져서 발생한다. 손상부위의 출혈은 경막상 혈종보다 느리게 진행된다. 경막하 혈종은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한다. 급성은 손상 후 48시간 이내, 아급성은 48시간에서 2주사이, 만성은 손상 후 2주에서 몇 달 후에 혈종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이 혈종은 대부분 심한 두부 외상 후에 발생하나 두부 외상과 관계 없이 혈액질환, 수두증 치료를 위한 단락술 후에도 올 수 있다. 급성 경막하 혈종은 경막상 혈종 보다 뇌 손상이 심하고 광범위하여 혈종을 제거해도 심한 뇌 부종 때문에 예후가 나쁘다.
②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Ⅱ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 Ⅱ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과 인슐린 분비장애로 오는 당뇨병이다. 인슐린 저항은 인슐린에 대한 조직의 감수성이 저하된 것이다. 정상적으로 인슐린은 세포표면에 있는 특수한 감수기와 결합하여 세포내에서 포도당 대사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응을 일으킨다.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은 이러한 세포 내 반응이 저하되어 조직에서 효과적으로 포도당을 흡수하지 못하는 것이다. 인슐린 저항을 극복하고 혈중 포도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 분비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포도당 내인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인슐린을 다량으로 분비하여 정상이거나 약간 상승된 상태로 혈당치를 유지한다. 그러나 베타세포에서 요구량만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면 혈당치가 증가하고 Ⅱ형 당뇨병이 발생한다. Ⅱ형 당뇨병은 포도당 내인이 몇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어 수년 동안 발견되지 않으므로 30세 이상의 비만한 사람에게 흔하다.
③두개내압 상승증상
: 의식수준 저하 (기면에서 혼수), 행동변화(불안정, 혼동), 두통, 오심, 구토, 언어양상의 변화(실어증, 어눌한 말), 감각 운동 상태 변화, 대광반사나 동공 크기 변화(동공확대와 무반응 혹은 동공 수축과 무반응), 뇌신경 기능장애, 실행증, 경련, 쿠싱 3대 징후(고혈압, 서맥, 맥압상승), 비정상자세(제뇌자세, 피질박리 자세), 두개내압이 15mmHg 이상으로 15~30초 이상 지속, 뇌확산압이 70mmHg이하, glasgow coma scale 2점이상 감소, 평균 동맥압이 80mmHg 이하, 수축기압이 100mmHg 이하 또는 150mmHg이상, 호흡양상의 변화(중추신경성 과호흡, 지속성 흡기, 운동 실조성 호흡), 통증에 대한 자극방응 상실, 체온상승
④함몰골절
: 적어도 두개골 두께 정도로 뇌 조직 안쪽으로 두개골이 함몰된 상태이며, 흔히 뇌열상과 감염을 초래한다. 압력으로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서지면 분쇄성 함몰골절이라고 한다. 폐쇄성 함몰골절은 성인에서 5mm이상 함몰된 경우 수술을 시행하며, 개방성 함몰골절은 뇌경막의 파열로 인해 골수염이나 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술해야 한다.
⑤뇌의 수막
: 신경계는 두개골과 척주에 의해 보호받는다. 신체 구조는 외상으로부터 신경계의 손상을 줄이고 적절한 신경기능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수막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부분으로 3개의 층을 형성되어 있으며, 외층은 경막, 중간층은 지주막, 내층은 연막이라고 한다. 경막은 혈관이 많은 외층과 중추신경의 피막인 내층으로 이루어진 2개의 막이다. 경막외층은 두개골과 척주에 내골막선을 형성한다. 두개골 내에서 경막의 내층은 거의 모든 부분과 융합되어 있으며, 두개골 손상 시 뇌를 안전하게 보호해준다. 경막 내층은 종열사이, 대뇌반구 사이, 대뇌와 소뇌 사이에도 깊숙이 분포하고 있으며, 터키 안장에 놓인 뇌하수체도 덮여있다. 경막 외층과 내층은 분리되어 경막 정맥동을 형성하고, 좌우 대뇌반구 사이에 격벽으로 들어가 대뇌겸을 형성한다. 지주막은 얇은 섬유성 막으로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에는 아주 좁은 경막하강이 있다. 연막은 뇌의 열과 구에 밀접하게 붙어있다. 연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을 소주라고 하는데 지주막의 거미집 같은 시상체와 연결되어있다. 연막의 풍부한 혈관 그물은 뇌 속으로 확장되어 맥락총을 만들고 뇌척수액을 분비한다. 지주막과 연막 사이의 넓은 공간을 지주막 하강 이라 부른다. 이곳에 동맥, 정맥, 지주막하 소주, 뇌척수액이 있다.
3.전반적인 대상자 설명
: 사지 억제대를 하고 있으며 거의 하루 대부분 “악~악~”이라고 소리 지르고 다른 말은 못하신다. 장기간 부동으로 가래가 심하며 단순마스크로 O2 6L를 공급받고 있다. 자꾸 일어나려고 하셔서 겨드랑이 사이에 시트를 넣어 묶어 억압 시키는 바람에 겨드랑이 사이에 찰과상이 있다. 알부민 수치 저하로 팔부분에 부종이 심하셨으며 L-tube를 잡아 빼시는 행동을 보이시고 23일은 feeding을 하고 전부 구토 하셨다. 그 뒤로는 feeding후 구토하는 일은 없었으나 자꾸 L-tube를 잡아 빼신다. 원래 병전 성격이 소리를 잘 지르고 화를 잘 내시는 편이었다 한다. 그래서 그런지 사람이 다가오면 가만히 쳐다보시다가 자신에게 손대려고 하면 또 “악~악~”하고 소리 지르시며 화내시고 팔을 들려고 하면 팔을 못 들게 힘을 쓰시는 등 치료에 협조를 안 하신다. intubation으로 인해 폐 상태가 안 좋아서 빼셨다. suction이나 oral care를 하려고 하면 입에 힘을 주고 못하게 하며 그러다가 오랫동안 방치 되었던
본론
1.대상자 profile
①이름: 김○○
②나이: 84세
③성별: 남
④입원 날짜: 2006.5.15
⑤과거력: 5년 전부터 DM(당뇨) 앓아 오심
⑥입원 동기: 15일 새벽 0시 30분경 노래방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다 넘어지심.
⑦진단명: T-ICH Lt.T-P(외상성 두개내출혈 왼쪽 측두-두정), Multiple hemorrhagic contusion(다발성 출혈성 타박상), T-SAH(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 Acute SDH both(급성 뇌경막하 출혈), FCCD Lt.T-P(복잡분쇄함몰골절 왼쪽 측두-두정)
2.문헌고찰
①SDH(subdural hematoma) 경막하 혈종
: 경막하 혈종이란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서 정맥 출혈로 발생한 혈종을 의미한다. 대뇌반구 내 연결정맥이나 뇌 조직이 찢어져서 발생한다. 손상부위의 출혈은 경막상 혈종보다 느리게 진행된다. 경막하 혈종은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한다. 급성은 손상 후 48시간 이내, 아급성은 48시간에서 2주사이, 만성은 손상 후 2주에서 몇 달 후에 혈종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이 혈종은 대부분 심한 두부 외상 후에 발생하나 두부 외상과 관계 없이 혈액질환, 수두증 치료를 위한 단락술 후에도 올 수 있다. 급성 경막하 혈종은 경막상 혈종 보다 뇌 손상이 심하고 광범위하여 혈종을 제거해도 심한 뇌 부종 때문에 예후가 나쁘다.
②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Ⅱ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 Ⅱ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과 인슐린 분비장애로 오는 당뇨병이다. 인슐린 저항은 인슐린에 대한 조직의 감수성이 저하된 것이다. 정상적으로 인슐린은 세포표면에 있는 특수한 감수기와 결합하여 세포내에서 포도당 대사를 포함하는 일련의 반응을 일으킨다.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은 이러한 세포 내 반응이 저하되어 조직에서 효과적으로 포도당을 흡수하지 못하는 것이다. 인슐린 저항을 극복하고 혈중 포도당을 낮추기 위해 인슐린 분비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포도당 내인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인슐린을 다량으로 분비하여 정상이거나 약간 상승된 상태로 혈당치를 유지한다. 그러나 베타세포에서 요구량만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면 혈당치가 증가하고 Ⅱ형 당뇨병이 발생한다. Ⅱ형 당뇨병은 포도당 내인이 몇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어 수년 동안 발견되지 않으므로 30세 이상의 비만한 사람에게 흔하다.
③두개내압 상승증상
: 의식수준 저하 (기면에서 혼수), 행동변화(불안정, 혼동), 두통, 오심, 구토, 언어양상의 변화(실어증, 어눌한 말), 감각 운동 상태 변화, 대광반사나 동공 크기 변화(동공확대와 무반응 혹은 동공 수축과 무반응), 뇌신경 기능장애, 실행증, 경련, 쿠싱 3대 징후(고혈압, 서맥, 맥압상승), 비정상자세(제뇌자세, 피질박리 자세), 두개내압이 15mmHg 이상으로 15~30초 이상 지속, 뇌확산압이 70mmHg이하, glasgow coma scale 2점이상 감소, 평균 동맥압이 80mmHg 이하, 수축기압이 100mmHg 이하 또는 150mmHg이상, 호흡양상의 변화(중추신경성 과호흡, 지속성 흡기, 운동 실조성 호흡), 통증에 대한 자극방응 상실, 체온상승
④함몰골절
: 적어도 두개골 두께 정도로 뇌 조직 안쪽으로 두개골이 함몰된 상태이며, 흔히 뇌열상과 감염을 초래한다. 압력으로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서지면 분쇄성 함몰골절이라고 한다. 폐쇄성 함몰골절은 성인에서 5mm이상 함몰된 경우 수술을 시행하며, 개방성 함몰골절은 뇌경막의 파열로 인해 골수염이나 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술해야 한다.
⑤뇌의 수막
: 신경계는 두개골과 척주에 의해 보호받는다. 신체 구조는 외상으로부터 신경계의 손상을 줄이고 적절한 신경기능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수막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부분으로 3개의 층을 형성되어 있으며, 외층은 경막, 중간층은 지주막, 내층은 연막이라고 한다. 경막은 혈관이 많은 외층과 중추신경의 피막인 내층으로 이루어진 2개의 막이다. 경막외층은 두개골과 척주에 내골막선을 형성한다. 두개골 내에서 경막의 내층은 거의 모든 부분과 융합되어 있으며, 두개골 손상 시 뇌를 안전하게 보호해준다. 경막 내층은 종열사이, 대뇌반구 사이, 대뇌와 소뇌 사이에도 깊숙이 분포하고 있으며, 터키 안장에 놓인 뇌하수체도 덮여있다. 경막 외층과 내층은 분리되어 경막 정맥동을 형성하고, 좌우 대뇌반구 사이에 격벽으로 들어가 대뇌겸을 형성한다. 지주막은 얇은 섬유성 막으로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에는 아주 좁은 경막하강이 있다. 연막은 뇌의 열과 구에 밀접하게 붙어있다. 연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을 소주라고 하는데 지주막의 거미집 같은 시상체와 연결되어있다. 연막의 풍부한 혈관 그물은 뇌 속으로 확장되어 맥락총을 만들고 뇌척수액을 분비한다. 지주막과 연막 사이의 넓은 공간을 지주막 하강 이라 부른다. 이곳에 동맥, 정맥, 지주막하 소주, 뇌척수액이 있다.
3.전반적인 대상자 설명
: 사지 억제대를 하고 있으며 거의 하루 대부분 “악~악~”이라고 소리 지르고 다른 말은 못하신다. 장기간 부동으로 가래가 심하며 단순마스크로 O2 6L를 공급받고 있다. 자꾸 일어나려고 하셔서 겨드랑이 사이에 시트를 넣어 묶어 억압 시키는 바람에 겨드랑이 사이에 찰과상이 있다. 알부민 수치 저하로 팔부분에 부종이 심하셨으며 L-tube를 잡아 빼시는 행동을 보이시고 23일은 feeding을 하고 전부 구토 하셨다. 그 뒤로는 feeding후 구토하는 일은 없었으나 자꾸 L-tube를 잡아 빼신다. 원래 병전 성격이 소리를 잘 지르고 화를 잘 내시는 편이었다 한다. 그래서 그런지 사람이 다가오면 가만히 쳐다보시다가 자신에게 손대려고 하면 또 “악~악~”하고 소리 지르시며 화내시고 팔을 들려고 하면 팔을 못 들게 힘을 쓰시는 등 치료에 협조를 안 하신다. intubation으로 인해 폐 상태가 안 좋아서 빼셨다. suction이나 oral care를 하려고 하면 입에 힘을 주고 못하게 하며 그러다가 오랫동안 방치 되었던
추천자료
지주막하 출혈환자에 관한 간호과정
지주막하 출혈의 전반적인 내용
지주막하 출혈 SAH
[신경외과중환자케이스] 지주막하 출혈(SAH) & Meningitis 사례 간호과정
지주막하 출혈
지주막하 출혈 - Sub Arachnoidal Hemorrhage (SAH)
지주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SAH) :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
지주막하 출혈 SAH(Subarachnoid Hemorrhage) 간호케이스
미세혈관 감압술, 경추 추간판 탈출증, 뇌내출혈, 지주막하 출혈
[출혈][장출혈성대장균][상부 위장관 출혈][고혈압성 뇌내출혈][지주막하 출혈][유행성출혈열...
뇌졸중 지주막하 출혈 A+ 받은 케이스입니다.
SAH 케이스(지주막하 출혈)
뇌출혈 케이스, ICH 케이스
강력추천) SAH(지주막하 출혈)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