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막하 출혈 - Sub Arachnoidal Hemorrhage (SAH)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주막하 출혈 - Sub Arachnoidal Hemorrhage (SAH)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정의

▣ 원인

▣ 발생빈도

▣ 증상

▣ 분류

▣ 진단

▣ 치료

▣ 합병증

▣ 간호

▣ 예후

본문내용

두가지가 모두 관찰될 때를 뇌혈관연축(symptomatic vasospasm)이라고 한다. 방사선학적 연축의 경우 출혈 후 7일째 약 30-70%정도가 관찰되는데 반해, 뇌혈관 연축의 경우는 20-30%정도가 관찰된다. 이런 뇌혈관연축은 직접적인 뇌동맥류 파열에 의하거나, 재출혈에 의한 경우보다 장애가 남거나, 사망하는 경우의 원인 중 더 심각한 것으로, 뇌혈관 연축에 의해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가 남는 경우가 7%, 사망하는 경우가 7%정도로 알려져 있다. 뇌혈관연축의 시간경과를 보면 대개 지주막하출혈 후 3일 이후에 시작하여 6-8일째 가장 많이 관찰되며, 약 14-17일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며, 임상적 연축의 경우는 출혈 후 12일까지도 지속된다. 그 원인이나 병태생리는 지주막 밑에 있는 출혈에서 나온 혈관수축성 물질이 혈관을 직접 수축시키거나, 뇌척수액에 섞여 들어가 출혈부위이외의 혈관을 수축시키는데 이런 수축이 장기화될 때, 혈관 벽 자체에 변성이 생겨 연축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간호
간호사정
의식수준, 통증, 뇌막자극 증상, 시력장애, 뇌신경 증상, 운동기능, 두개내압 상승증상, 혈관 경련 및 자율신경계 증상을 사정한다.
간호진단과 중재
- 뇌관류 장애 :
1시간마다 신경학적 상태와 두개내압 상승정도를 평가한다.
뇌탈출 증상인 의식수준 변화, 편마비, 통증에 대한 반응 감소, 동공 크기와 모양, 맥압 증가 및 호흡 변화를 감시한다.
혈압과 맥박을 주의깊게 측정한다.
침대의 머리를 30~45° 높이고 머리와 목은 중립자세를 유지한다.
둔부 굴곡을 피하고 등척성 운동을 시행하지 않는다.
흡인 전 과산소화를 시키고 과도환기를 도모한다. 흡인시간은 15초 이내로 한다.
두개내압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발작 여부를 관찰한다.
항혈전제를 투여하고 심부정맥 혈전, 호흡기계 혈전 및 허혈이 있는지 감시한다.
Ca 차단제를 투여한다.
동맥류 파열 예방법을 준수한다.
- 수액량 과다
혈압과 맥박을 감시한다.
처방대로 수액을 주입한다.
수분섭취와 배설량의 균형을 엄격히 유지한다.
폐음과 흉부 X-ray를 감시한다.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경정맥 팽만, 말초부종, S 심음)의 증상을 감시한다.
전해질을 측정한다.
지속적으로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하고 변화가 있으면 주치의에게 알린다.
▣ 예후
10~15%의 경우 출혈 후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 처음 2-3일 사이의 사망률이 10%,50-60%가 처음 30일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50%정도의 환자에서 신경학적 후유증이 남으며, 약 30%정도에서 출혈이전과 같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원인은 재출혈, 뇌혈관연축, 수두증 등의 여러 가지 합병증 때문이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下(현문사 - 전시자외..)
-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buzz2009?Redirect=Log&logNo=20047871806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0.30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