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정의
▣ 원인
▣ 발생빈도
▣ 증상
▣ 분류
▣ 진단
▣ 치료
▣ 합병증
▣ 간호
▣ 예후
▣ 원인
▣ 발생빈도
▣ 증상
▣ 분류
▣ 진단
▣ 치료
▣ 합병증
▣ 간호
▣ 예후
본문내용
두가지가 모두 관찰될 때를 뇌혈관연축(symptomatic vasospasm)이라고 한다. 방사선학적 연축의 경우 출혈 후 7일째 약 30-70%정도가 관찰되는데 반해, 뇌혈관 연축의 경우는 20-30%정도가 관찰된다. 이런 뇌혈관연축은 직접적인 뇌동맥류 파열에 의하거나, 재출혈에 의한 경우보다 장애가 남거나, 사망하는 경우의 원인 중 더 심각한 것으로, 뇌혈관 연축에 의해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가 남는 경우가 7%, 사망하는 경우가 7%정도로 알려져 있다. 뇌혈관연축의 시간경과를 보면 대개 지주막하출혈 후 3일 이후에 시작하여 6-8일째 가장 많이 관찰되며, 약 14-17일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며, 임상적 연축의 경우는 출혈 후 12일까지도 지속된다. 그 원인이나 병태생리는 지주막 밑에 있는 출혈에서 나온 혈관수축성 물질이 혈관을 직접 수축시키거나, 뇌척수액에 섞여 들어가 출혈부위이외의 혈관을 수축시키는데 이런 수축이 장기화될 때, 혈관 벽 자체에 변성이 생겨 연축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간호
간호사정
의식수준, 통증, 뇌막자극 증상, 시력장애, 뇌신경 증상, 운동기능, 두개내압 상승증상, 혈관 경련 및 자율신경계 증상을 사정한다.
간호진단과 중재
- 뇌관류 장애 :
1시간마다 신경학적 상태와 두개내압 상승정도를 평가한다.
뇌탈출 증상인 의식수준 변화, 편마비, 통증에 대한 반응 감소, 동공 크기와 모양, 맥압 증가 및 호흡 변화를 감시한다.
혈압과 맥박을 주의깊게 측정한다.
침대의 머리를 30~45° 높이고 머리와 목은 중립자세를 유지한다.
둔부 굴곡을 피하고 등척성 운동을 시행하지 않는다.
흡인 전 과산소화를 시키고 과도환기를 도모한다. 흡인시간은 15초 이내로 한다.
두개내압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발작 여부를 관찰한다.
항혈전제를 투여하고 심부정맥 혈전, 호흡기계 혈전 및 허혈이 있는지 감시한다.
Ca 차단제를 투여한다.
동맥류 파열 예방법을 준수한다.
- 수액량 과다
혈압과 맥박을 감시한다.
처방대로 수액을 주입한다.
수분섭취와 배설량의 균형을 엄격히 유지한다.
폐음과 흉부 X-ray를 감시한다.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경정맥 팽만, 말초부종, S 심음)의 증상을 감시한다.
전해질을 측정한다.
지속적으로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하고 변화가 있으면 주치의에게 알린다.
▣ 예후
10~15%의 경우 출혈 후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 처음 2-3일 사이의 사망률이 10%,50-60%가 처음 30일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50%정도의 환자에서 신경학적 후유증이 남으며, 약 30%정도에서 출혈이전과 같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원인은 재출혈, 뇌혈관연축, 수두증 등의 여러 가지 합병증 때문이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下(현문사 - 전시자외..)
-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buzz2009?Redirect=Log&logNo=20047871806
▣ 간호
간호사정
의식수준, 통증, 뇌막자극 증상, 시력장애, 뇌신경 증상, 운동기능, 두개내압 상승증상, 혈관 경련 및 자율신경계 증상을 사정한다.
간호진단과 중재
- 뇌관류 장애 :
1시간마다 신경학적 상태와 두개내압 상승정도를 평가한다.
뇌탈출 증상인 의식수준 변화, 편마비, 통증에 대한 반응 감소, 동공 크기와 모양, 맥압 증가 및 호흡 변화를 감시한다.
혈압과 맥박을 주의깊게 측정한다.
침대의 머리를 30~45° 높이고 머리와 목은 중립자세를 유지한다.
둔부 굴곡을 피하고 등척성 운동을 시행하지 않는다.
흡인 전 과산소화를 시키고 과도환기를 도모한다. 흡인시간은 15초 이내로 한다.
두개내압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발작 여부를 관찰한다.
항혈전제를 투여하고 심부정맥 혈전, 호흡기계 혈전 및 허혈이 있는지 감시한다.
Ca 차단제를 투여한다.
동맥류 파열 예방법을 준수한다.
- 수액량 과다
혈압과 맥박을 감시한다.
처방대로 수액을 주입한다.
수분섭취와 배설량의 균형을 엄격히 유지한다.
폐음과 흉부 X-ray를 감시한다.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경정맥 팽만, 말초부종, S 심음)의 증상을 감시한다.
전해질을 측정한다.
지속적으로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하고 변화가 있으면 주치의에게 알린다.
▣ 예후
10~15%의 경우 출혈 후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 처음 2-3일 사이의 사망률이 10%,50-60%가 처음 30일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50%정도의 환자에서 신경학적 후유증이 남으며, 약 30%정도에서 출혈이전과 같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원인은 재출혈, 뇌혈관연축, 수두증 등의 여러 가지 합병증 때문이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下(현문사 - 전시자외..)
-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buzz2009?Redirect=Log&logNo=20047871806
추천자료
Intracerebral hemorrhage(뇌내출혈)환자에 대한 간호사례 연구
중환자실 케이스 뇌내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SICU CASE STUDY(뇌출혈 대상자)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case study
경막하출혈 CASE STUDY (응급실)
ICH케이스(두개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경막하출혈 문헌고찰
뇌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의학 - 뇌출혈에 모든것
intracerebral hemorrhage
기본간호 실습레포트이며 뇌내출혈에 관한 간호과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뇌출혈 케이스
[성인간호학 실습] Aneurysm & SA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