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결핍증
혈청내 칼륨의 감소는 조직의 분해, 혹은 설사, 구토, 위의 절제 등 위장관의 손실, 영양 실조와 더불어 지속되는 소모성 질환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계속적인 이뇨제의 복용 역시 칼륨의 배설을 증가시킵니다.
4)급원
칼륨은 자연식품에 널리 포함되어 있습니다, 콩류, 곡류, 오렌지, 바나나등의 과일과 녹색야채, 감자, 육퓨에 상당량이 들어 있습니다.
6.염소(Chloride, Cl)
1)체내 분포
염소는 신체 내 총 무기질량의 3%이며 세포외액의 중요한 음이온입니다. 정상적인 혈청에는 340~370mg/dl가 들어 있으며, 뇌척수액에는 많아서 440mg/dl가 들어있습니다. 비교적 많은 양이 위장의 분비물 중에 있으며, 특히 위내의 염산의 구성 성분으로 존재합니다.
2)기능
나트륨과 함께 세포외액에서 물의 균형과 삼투압의 조절을 도우며 체액의 pH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3)흡수 및 대사
염소는 작은 창자에서 거의 모두 흡수되며 배설은 주로 신장을 통해서 일어납니다. 염소 역시 오랜 설사, 구토에 의해서 비교적 많은 양이 손실됩니다.
7.황(Sulfur, S)
1)체내 분포
황은 모든 세포 내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세포단백질의 구성성분 입니다. 황은 체내에서 설프히드릴기(-SH)의 형태나 이 두 기가 결합해 이황화 결합(-S-S-)을 한 형태로 여러 물질을 구성하고 있습니다.아미노산인 메티오닌과 시스테인, 헤파린, 인슐린,티아민, 리포산, 비오틴, 조효소A의 성분이고 머리카락이나 피부를 이루는 케라틴 단백질의 성분 입니다.
2)기능
황은 조직의 호흡작용, 생물적 산화과정에 관여합니다. 또한 설프히드릴기는 고에너지황 결합을 형성하고, 독성물질이 활성화된 황산염과 결합하여 독성이 없는 물질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설시키므로 황은 해독작용에도 관여합니다.
3)급원
식사 내에서의 황의 부족 현상이 사람에게서는 나타나지않고 있으므로 황의 필요량은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황은 단백질 영양과 관계가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에게는 결핍증이 문제가 되지 않고, 주로 배아, 콩, 치즈, 살코기, 강남콩, 땅콩, 조개 등에 상당량이 있습니다.
@미량무기질-미량무기질은 신체 내에 체중 kg당 50mg이하로 존재하며 식사 속에 하루 100mg이하의 매우 적은 양이 필요합니다. 여러 종류의 미량무기질 주엥서 철, 요오드, 아연, 구리, 망간, 크롬, 셀레늄, 코발트, 몰리브덴과 불소 등 10가지가 일반적으로 인체에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5.유지 및 당류 - 지방질
지방질은 일반적으로 동물성과 식물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나,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고체와 액체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방질의 분류에 있어서 눈으로 보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가시지방질과 식품속에 포함되어 쉽게 보이거나 분리되지 않는 비가시지방질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가시지방질(visible fat) 식용유, 버터, 마가린, 쇼트닝, 라드 등
비 가시지방질(invisible fat) 육류, 어패류, 우유, 달걀, 빵류, 올리브, 채소 등
지방식품의 영양학적 측면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효과적인 열량원으로서의 기능이고, 둘째는 필수지방산으로서의 역할로 체내의 모든 막조직(membrane system)입니다. 따라서 고등동물은 식품으로서의 에너지 섭취가 제한되는 때를 대체하여 체내에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축하는 방안을 고안해 내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우리가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지방은 대게 중성지방인 TG인데, 인지질과 콜레스테롤도 포함되어 있으며, 지방섭취를 통해 지용성 비타민들도 공급됩니다.
지방질이 가장 효과적인 에너지원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겠죠? 첫째, 당질의 경우 한개의 수소원자와 한 개의 수산기가 탄소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한편, 지방질의 경우는 두 개의 수소원자가 탄소에 결합되어 있어, 산화되어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잠재 능력이 당질보다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둘째, 당질이 체내에서 글리코겐으로 저장 될 때 물이 함께 저장되며, 따라서 전해질의 보유도 함께 필요하게 되므로 조직 1g 당 1kcal의 에너지가 저장되는 한편, 지방질의 저장에는 다량의 물이 함께 보유되지 않아도 되므로 조직 1g당 8kcal의 에너지를 보유할 수 있어 이는 효과적인 에너지의 저축형이 되는 것입니다.
@지방의 기능
*농축된 에너지의 급원 -지방은 체내에서 농축된 에너지의 급원이 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체지방 에너지 축적-체지방이 축적되면 곧 에너지가 저장된 것이므로 에너지의 섭취가 부족할때 바로 쓰이게 됩니다.
*만복감-satiety value란 식사후에 느끼는 만복감을 말하는데 지방은 탄수화물이나 단백질보다 위장내에 오래 남아 있으므로 만복감을 충분히 느끼도록 해준다. 고 지방 식이는 오래 위에 머물기 때문에 쉽게 공복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맛과 향미의 제공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도움-비타민 A,D,E,K의 흡수를 위해서는 작은 창자에 지방이 있어야 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물질
*필수 지방산의 제공-식사로부터 지방을 꼭 먹어야 하는 이유는 바로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을 공급받기 위해서 입니다.
@지방의 소화와 흡수
*유화-지방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신체 내에서 소화, 흡수, 운반되려면 물과 친숙한 상태로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지방과 물 사이의 물리적 상반과정을 줄이는 길은 \'유화(emulsification)\'시키는 것뿐인데 지방의 소화작용을 위한 유화제로는 레시틴과, 간의 콜레스테롤로부터 생산되는 담즙산(bile acid)이 있습니다.
*소화-소화의 목표는 식사로부터 섭취한 흡수할 수 없는 큰 물질을 흡수 가능한 크기의 물질로 바꾸는 데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지방의 소화는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가수분해작용 뿐 아니라 유화작용의 물리적인 변화에도 의존하고 있습니다.
*흡수-소화기관으로 부터 혈액으로부터 지방이 흡수되려면 먼저 장 점막 세포를 지나 융모의 안쪽으로 가서 혈액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담즙의 미셀(micelles)을 소장 중 공장의 점막세포로 운반하며 이곳에서 주로 지방이 흡수됩니다.
혈청내 칼륨의 감소는 조직의 분해, 혹은 설사, 구토, 위의 절제 등 위장관의 손실, 영양 실조와 더불어 지속되는 소모성 질환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계속적인 이뇨제의 복용 역시 칼륨의 배설을 증가시킵니다.
4)급원
칼륨은 자연식품에 널리 포함되어 있습니다, 콩류, 곡류, 오렌지, 바나나등의 과일과 녹색야채, 감자, 육퓨에 상당량이 들어 있습니다.
6.염소(Chloride, Cl)
1)체내 분포
염소는 신체 내 총 무기질량의 3%이며 세포외액의 중요한 음이온입니다. 정상적인 혈청에는 340~370mg/dl가 들어 있으며, 뇌척수액에는 많아서 440mg/dl가 들어있습니다. 비교적 많은 양이 위장의 분비물 중에 있으며, 특히 위내의 염산의 구성 성분으로 존재합니다.
2)기능
나트륨과 함께 세포외액에서 물의 균형과 삼투압의 조절을 도우며 체액의 pH를 일정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3)흡수 및 대사
염소는 작은 창자에서 거의 모두 흡수되며 배설은 주로 신장을 통해서 일어납니다. 염소 역시 오랜 설사, 구토에 의해서 비교적 많은 양이 손실됩니다.
7.황(Sulfur, S)
1)체내 분포
황은 모든 세포 내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세포단백질의 구성성분 입니다. 황은 체내에서 설프히드릴기(-SH)의 형태나 이 두 기가 결합해 이황화 결합(-S-S-)을 한 형태로 여러 물질을 구성하고 있습니다.아미노산인 메티오닌과 시스테인, 헤파린, 인슐린,티아민, 리포산, 비오틴, 조효소A의 성분이고 머리카락이나 피부를 이루는 케라틴 단백질의 성분 입니다.
2)기능
황은 조직의 호흡작용, 생물적 산화과정에 관여합니다. 또한 설프히드릴기는 고에너지황 결합을 형성하고, 독성물질이 활성화된 황산염과 결합하여 독성이 없는 물질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설시키므로 황은 해독작용에도 관여합니다.
3)급원
식사 내에서의 황의 부족 현상이 사람에게서는 나타나지않고 있으므로 황의 필요량은 아직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황은 단백질 영양과 관계가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에게는 결핍증이 문제가 되지 않고, 주로 배아, 콩, 치즈, 살코기, 강남콩, 땅콩, 조개 등에 상당량이 있습니다.
@미량무기질-미량무기질은 신체 내에 체중 kg당 50mg이하로 존재하며 식사 속에 하루 100mg이하의 매우 적은 양이 필요합니다. 여러 종류의 미량무기질 주엥서 철, 요오드, 아연, 구리, 망간, 크롬, 셀레늄, 코발트, 몰리브덴과 불소 등 10가지가 일반적으로 인체에 필수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5.유지 및 당류 - 지방질
지방질은 일반적으로 동물성과 식물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나,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고체와 액체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방질의 분류에 있어서 눈으로 보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가시지방질과 식품속에 포함되어 쉽게 보이거나 분리되지 않는 비가시지방질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가시지방질(visible fat) 식용유, 버터, 마가린, 쇼트닝, 라드 등
비 가시지방질(invisible fat) 육류, 어패류, 우유, 달걀, 빵류, 올리브, 채소 등
지방식품의 영양학적 측면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효과적인 열량원으로서의 기능이고, 둘째는 필수지방산으로서의 역할로 체내의 모든 막조직(membrane system)입니다. 따라서 고등동물은 식품으로서의 에너지 섭취가 제한되는 때를 대체하여 체내에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축하는 방안을 고안해 내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우리가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지방은 대게 중성지방인 TG인데, 인지질과 콜레스테롤도 포함되어 있으며, 지방섭취를 통해 지용성 비타민들도 공급됩니다.
지방질이 가장 효과적인 에너지원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겠죠? 첫째, 당질의 경우 한개의 수소원자와 한 개의 수산기가 탄소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한편, 지방질의 경우는 두 개의 수소원자가 탄소에 결합되어 있어, 산화되어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잠재 능력이 당질보다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둘째, 당질이 체내에서 글리코겐으로 저장 될 때 물이 함께 저장되며, 따라서 전해질의 보유도 함께 필요하게 되므로 조직 1g 당 1kcal의 에너지가 저장되는 한편, 지방질의 저장에는 다량의 물이 함께 보유되지 않아도 되므로 조직 1g당 8kcal의 에너지를 보유할 수 있어 이는 효과적인 에너지의 저축형이 되는 것입니다.
@지방의 기능
*농축된 에너지의 급원 -지방은 체내에서 농축된 에너지의 급원이 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체지방 에너지 축적-체지방이 축적되면 곧 에너지가 저장된 것이므로 에너지의 섭취가 부족할때 바로 쓰이게 됩니다.
*만복감-satiety value란 식사후에 느끼는 만복감을 말하는데 지방은 탄수화물이나 단백질보다 위장내에 오래 남아 있으므로 만복감을 충분히 느끼도록 해준다. 고 지방 식이는 오래 위에 머물기 때문에 쉽게 공복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맛과 향미의 제공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도움-비타민 A,D,E,K의 흡수를 위해서는 작은 창자에 지방이 있어야 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물질
*필수 지방산의 제공-식사로부터 지방을 꼭 먹어야 하는 이유는 바로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을 공급받기 위해서 입니다.
@지방의 소화와 흡수
*유화-지방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신체 내에서 소화, 흡수, 운반되려면 물과 친숙한 상태로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지방과 물 사이의 물리적 상반과정을 줄이는 길은 \'유화(emulsification)\'시키는 것뿐인데 지방의 소화작용을 위한 유화제로는 레시틴과, 간의 콜레스테롤로부터 생산되는 담즙산(bile acid)이 있습니다.
*소화-소화의 목표는 식사로부터 섭취한 흡수할 수 없는 큰 물질을 흡수 가능한 크기의 물질로 바꾸는 데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지방의 소화는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하여 가수분해작용 뿐 아니라 유화작용의 물리적인 변화에도 의존하고 있습니다.
*흡수-소화기관으로 부터 혈액으로부터 지방이 흡수되려면 먼저 장 점막 세포를 지나 융모의 안쪽으로 가서 혈액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담즙의 미셀(micelles)을 소장 중 공장의 점막세포로 운반하며 이곳에서 주로 지방이 흡수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편의식품 섭취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식품속에 존재하는 수분에 대한 자료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역사적 배경. 분류
식품의 특수성분
식품의 정성분석 - 지방의 정성
효소식품(Enzyme product)
GMO식품에 대한 우리의 대응자세
식품, 영양, 건강에 관한 보고서
유전자재조합식품(GMO)의 정의와 품목, 안전성 및 국내외 개발동향
식품의 변질
[부정, 부정과 부정부패, 부정과 부정감정, 부정선거, 부정식품, 회계부정, 시험부정행위]부...
[농학과 공통] 1. 현재 유통되고 있는 가공식품을 선정하고 일괄표시면, 주표시면, 기타 표...
[농학과] [푸드마케팅 공통] 1. 현재 유통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
[푸드마케팅 공통] 1. 현재 유통되고 있는 가공식품 중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한 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