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과 사형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과 사형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1. 공지영의 사상적 흐름
2. 천주교로의 귀의-'공지영의 수도원 기행'을 참고하여

나. 송해성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1. 감독, 송해성
2.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3.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의 한계

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과 사형제도 폐지논란

본문내용

사형제도 폐지 논란에 대해서 아직은 사형제도가 필요하다는 것이 시민들의 중론이다. 2007년 04월14일 YTN뉴스 보도에 따르면, 실제로 최근 한 여론조사 기관이 네티즌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사형제도 폐지는 시기상조라는 대답이 폐지해야 한다는 응답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이러한 분위기는, 실제적으로 사형제도의 폐지를 추진할 입법부로 고스란히 전해진다. 사형제도 폐지를 위한 법안은 지난 1999년에 처음으로 발의됐다. 하지만 15대와 16대 국회를 거쳐 지금까지 8년 동안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 또 지난 2004년에는 국회의원 175명이 사형을 종신형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법안을 냈지만 역시 국회에 계류돼 있다. 다른 방법으로 벌을 주고 사형제도는 없앴으면 좋겠다는 분위기가 사회에 팽배하게 되면 국회에서 통과하기 쉽겠지만 아직은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이렇게 열세에 놓인 사형제도 폐지 주장은 최근에 새롭게 힘을 받고 있다. 사형제도를 폐지하자는 주장은 늘 있었지만, 지금처럼 사회 전반과 일반 시민들에게까지 공론화 된 적은 없었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대중매체의 힘이 컸다. 공지영 작가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과, 이것을 원작으로 영화화 한 송해성 감독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 공전의 히트를 치면서, 이것을 본 사람들은 압도적으로 사형제도 폐지에 대한 의견이 많았다. 실제로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사형제도’에 대한 네티즌들의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해 설문조사에서 2007년 5월 31일 현재까지 총 2618명이 참여한 가운데, 사형제도 반대의견이 2111명(80.6%)으로, 507명(19.4%)명이 선택한 찬성의견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견해의 이유를 개진하는 게시판에는 다양한 의견도 속속 올라오고 있다. 다음은 사형제도가 폐지되어야 한다는 네티즌들의 의견이다.
“살아있어야 용서도 하고 참회도 하고 변화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사형도 일종의 살인이며, 뒤늦게라도 진심으로 후회하는 죄수에게는 너무 가혹한 벌”,
“사람에게는 사람을 죽일 권리가 없다.”
“평생 복역이 더 큰 벌”,
“살인을 한 사람도 살인을 당한 사람도 모두 우리가 만든 피해자들”,
“그들을 무관심하게 방치해둔 가족과 사회의 탓도 크다.”
사형제도 폐지를 주장하는 세계적인 인권단체, 국제 앰네스티(AI)가 최근 ‘전세계 사형제도 폐지현황’ 보고서를 발표하고 “한국이 올 12월29일까지 사형을 집행하지 않으면 ‘실질적 사형폐지국(Abolitionist in practice)’으로 분류된다.”고 밝히면서 사형제도 폐지가 다시금 이슈화 되고 있다. 실질적 사형폐지국은 살인과 같은 일반범죄에 대해 사형제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10년간 형을 집행하지 않은 국가 등을 이르는 말로 러시아, 알제리 등 29개국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는 1997년 12월30일 사형수 23명의 형을 집행한 이후 사형을 집행하지 않았다.
매년 10월 10일은 세계 50여개 국가가 정한 ‘세계 사형 반대의 날(the world day against death penalty)’이다. 소설과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통해 ‘용서와 사랑, 화해’의 의미에 뜨겁게 공감한 독자와 관객들이 많았던 것으로 미루어볼 때, 이제 사형제도 존폐에 관한 문제를 본격적으로 이야기할 때가 온 것으로 보인다.
*목차
가.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1. 공지영의 사상적 흐름
2. 천주교로의 귀의-\'공지영의 수도원 기행\'을 참고하여
나. 송해성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1. 감독, 송해성
2.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3.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의 한계
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과 사형제도 폐지논란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0.3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