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방법과 한계
Ⅱ. 민주 시민성 교육
1. 민주 시민성 교육
Ⅳ. 사회적 실천 중심 사회과교육의 구성
1. 사회적 실천 중심의 사회과 교육의 성격
2. 사회적 실천중심 사회과 교육의 목표
3. 사회적 실천 중심의 사회과 교수학습방법
4. 사회적 실천중심 사회과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Ⅴ. 결론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방법과 한계
Ⅱ. 민주 시민성 교육
1. 민주 시민성 교육
Ⅳ. 사회적 실천 중심 사회과교육의 구성
1. 사회적 실천 중심의 사회과 교육의 성격
2. 사회적 실천중심 사회과 교육의 목표
3. 사회적 실천 중심의 사회과 교수학습방법
4. 사회적 실천중심 사회과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체득하고 이들을 연결지움으로써 실천능력을 체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에게 합리적 소비성향을 길러주고자 할 때 교사는 학습자로 하여금 합리적 소비에의 관심과 목적의식을 갖도록 하여줌으로써 그리고 구입할 상품의 필요성을 항상 검토하도록 하고, 소득 한도 내에서 계획적으로 소비하도록 하고, 상품의 품질과 가격을 고려하도록 하고, 용돈기입장을 쓰도록 함으로써 합리적 소비성향을 길러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교육에 이용할 수 있는 사회과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는 사회참여프로그램, 프로젝트 수업, 전문가와의 팀티칭, 현장학습 및 실습, 지역학습 등이 있다.
4. 사회적 실천중심 사회과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사회적 실천중심 사회과 교육에서는 교사는 두가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첫째, 교사는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 참여하여 그 자신의 삶을 바르게 영위하는 실천적 지식인이어야 하며, 두 번째는 서로 다른 사회적 실천들에 참여하여 살아가는 사람들간의 대화 또는 담론을 안내할 수 있는 매개자 또는 담론의 중재자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역할은 언 듯 보기에는 문제가 될 것 같지 않지만 매우 양립하기 힘든 역할들이다. 왜냐하면 특정한 한 사회적 실천에 헌신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다른 사회적 실천의 가치관이나 행위방식 등을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자신과 다른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여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견해를 이해하고 조정하는 일은 매우 힘든 일이다.
Ⅴ. 결론
민주주의의 제도는 한국 사회의 일반적인 원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원칙이 얼마나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가질 수 있다. 점차 하강하는 투표율과 정치적 무관심은 민주주의가 절차와 제도만으로 완성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참여의 확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민주주의 체계 자체가 시민들의 참여를 전제로 성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참여는 단지 선언적인 의미로 작동하는 가치가 아니다. 참여는 시민들의 자발성을 전제로 한다.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와 절차가 완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자발적 참여가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민주주의는 다시 절차와 제도라는 형식적 차원으로 환원되고 만다. 즉 미주주의를 운영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민주적인 시민의 존재가 필수적인 것이다.
이를 위해 민주주의와 참여의 가치를 가르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사회과 교육에 있어 더욱 강조되는데, 인간의 사회적인 삶을 다루는 교과의 특성상 민주 시민성을 구성하는 지식, 가치, 기능, 태도의 기본 요소를 체계화 하고, 학과의 교육 내용과 일상 생활의 경험을 종합하여 사회문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실제적인 참여활동을 통해 그 해결과정을 체험토록 하는 것은 사회과 교육이 담당해야 할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실천 중심 사회과교육은 현재의 사회과교육에 몇가지 함의를 갖는다.
첫째, 사회과 교육은 근본적으로 시민의 일상적 삶, 즉 사회적 실천에 그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사회과교육은 많은 부분 국가, 사회적 요청이나 교육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아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시민의 삶과 유리되어 왔다. 이제 사회과교육은 거대주체인 시민이 아닌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사회적 실천들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구성, 유지, 발전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실천에 대한 사회이론을 살펴볼 때 사회과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 참여하여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 능력과 더불어 서로 다른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고 있는 이들과 소통하고 불합리한 사회적 실천들을 성찰할 수 있는 담론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과교육에서 전자만을 강조하는 것은 규범성의 부재라는 문제를, 후자만을 강조하는 것은 과잉정치화라는 문제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조화가 중요하다.
셋째, 사회과교육은 그 교육내용이 되는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 대한 역사, 해석학적 연구와 철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이 형성, 유지, 발전 되어온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철학적 연구는 이들 속에 담지된 합리성을 명료화하고 재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사회과교육내용이 되어야하며 이로서 사회과교육은 시민의 일상적 삶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될 것이다.
넷재, 사회과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사고능력은 형식적 사고가 아닌 일상적 삶에서 요구되는 실천적 지혜라고 할 수 있다. 사회과교육에서 형식적 사고가 큰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은 사회적 삶의 중요한 부분이 사회적 행위자의 의미해석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실천적 지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식의 지평을 가진 사람들과의 이상적인 담론, 담론을 통한 지평융합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회과교사에게는 실천적 지식인과 담론안내자의 역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교사는 사회적 삶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의 이론적 지식의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리고 학습자에게 모범이 되기 위해서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 참여하여 살아가는 바람직한 실천인이어야 한다. 그는 또한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게서 제기되는 타당성 주장들을 담론 속에서 해겨할 수 있도록 하는 담론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그는 이상적인 담론규칙을 담지하고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왕근(1993) “시민교육을 위한 덕목주의의 새 지평”, 사회과교육 Vol.17
박상준(2002)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차경수(1996) “현대의사회과교육”, 서울: 학문사
허영식(1997) “사회윤리, 이데올로기, 의사소통” 서울: 평민사
손동빈, 시민사회단체를 통한 학교 시민윤리교육 활성화와 그 실천사례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Vol.30
이영식(1997) "민주시민 교육의 방법“ 서울: 학문사
4. 사회적 실천중심 사회과교육에서의 교사의 역할
사회적 실천중심 사회과 교육에서는 교사는 두가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첫째, 교사는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 참여하여 그 자신의 삶을 바르게 영위하는 실천적 지식인이어야 하며, 두 번째는 서로 다른 사회적 실천들에 참여하여 살아가는 사람들간의 대화 또는 담론을 안내할 수 있는 매개자 또는 담론의 중재자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역할은 언 듯 보기에는 문제가 될 것 같지 않지만 매우 양립하기 힘든 역할들이다. 왜냐하면 특정한 한 사회적 실천에 헌신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다른 사회적 실천의 가치관이나 행위방식 등을 받아들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자신과 다른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여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견해를 이해하고 조정하는 일은 매우 힘든 일이다.
Ⅴ. 결론
민주주의의 제도는 한국 사회의 일반적인 원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원칙이 얼마나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가질 수 있다. 점차 하강하는 투표율과 정치적 무관심은 민주주의가 절차와 제도만으로 완성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참여의 확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민주주의 체계 자체가 시민들의 참여를 전제로 성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참여는 단지 선언적인 의미로 작동하는 가치가 아니다. 참여는 시민들의 자발성을 전제로 한다.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와 절차가 완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에 상응하는 자발적 참여가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민주주의는 다시 절차와 제도라는 형식적 차원으로 환원되고 만다. 즉 미주주의를 운영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민주적인 시민의 존재가 필수적인 것이다.
이를 위해 민주주의와 참여의 가치를 가르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는 사회과 교육에 있어 더욱 강조되는데, 인간의 사회적인 삶을 다루는 교과의 특성상 민주 시민성을 구성하는 지식, 가치, 기능, 태도의 기본 요소를 체계화 하고, 학과의 교육 내용과 일상 생활의 경험을 종합하여 사회문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실제적인 참여활동을 통해 그 해결과정을 체험토록 하는 것은 사회과 교육이 담당해야 할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실천 중심 사회과교육은 현재의 사회과교육에 몇가지 함의를 갖는다.
첫째, 사회과 교육은 근본적으로 시민의 일상적 삶, 즉 사회적 실천에 그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사회과교육은 많은 부분 국가, 사회적 요청이나 교육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아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시민의 삶과 유리되어 왔다. 이제 사회과교육은 거대주체인 시민이 아닌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사회적 실천들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구성, 유지, 발전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실천에 대한 사회이론을 살펴볼 때 사회과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 참여하여 살아갈 수 있는 사회적 능력과 더불어 서로 다른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고 있는 이들과 소통하고 불합리한 사회적 실천들을 성찰할 수 있는 담론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과교육에서 전자만을 강조하는 것은 규범성의 부재라는 문제를, 후자만을 강조하는 것은 과잉정치화라는 문제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조화가 중요하다.
셋째, 사회과교육은 그 교육내용이 되는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 대한 역사, 해석학적 연구와 철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이 형성, 유지, 발전 되어온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철학적 연구는 이들 속에 담지된 합리성을 명료화하고 재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사회과교육내용이 되어야하며 이로서 사회과교육은 시민의 일상적 삶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될 것이다.
넷재, 사회과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사고능력은 형식적 사고가 아닌 일상적 삶에서 요구되는 실천적 지혜라고 할 수 있다. 사회과교육에서 형식적 사고가 큰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은 사회적 삶의 중요한 부분이 사회적 행위자의 의미해석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실천적 지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식의 지평을 가진 사람들과의 이상적인 담론, 담론을 통한 지평융합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회과교사에게는 실천적 지식인과 담론안내자의 역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교사는 사회적 삶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의 이론적 지식의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리고 학습자에게 모범이 되기 위해서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 참여하여 살아가는 바람직한 실천인이어야 한다. 그는 또한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에게서 제기되는 타당성 주장들을 담론 속에서 해겨할 수 있도록 하는 담론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그는 이상적인 담론규칙을 담지하고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왕근(1993) “시민교육을 위한 덕목주의의 새 지평”, 사회과교육 Vol.17
박상준(2002) “행위성향 중심의 시민교육”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차경수(1996) “현대의사회과교육”, 서울: 학문사
허영식(1997) “사회윤리, 이데올로기, 의사소통” 서울: 평민사
손동빈, 시민사회단체를 통한 학교 시민윤리교육 활성화와 그 실천사례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Vol.30
이영식(1997) "민주시민 교육의 방법“ 서울: 학문사
추천자료
- [일반사회교육론] 스트랜드 중심의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의,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편...
-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교수...
- 사회과(사회교육) 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중학교(중등) 사회과(사회교육)의 교육실태, 중학...
- 초등사회과 법, 정치교육에서의 문제점과 개선, 학습지도안
- 중학교(중등) 사회과(사회교육)의 성격과 교육목표, 중학교(중등) 사회과(사회교육)의 기본내...
-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 개념과 특징,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 교수학...
- 사회과(교육, 학습)의 목표, 사회과(교육, 학습)의 특징, 사회과(교육, 학습)의 성격, 사회과...
- 사회과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 의미와 이론적 배경, 사회과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
-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교육)의 정의, 사회과(사회수업, 사회교육)의 성격, 사회과(사회수업, ...
- 사회과(사회학습, 사회교육)의 목적, 사회과(사회학습, 사회교육)의 주제별 학습내용, 사회과...
- [국어교육평가][사회교육평가][미술교육평가][체육교육평가][바른생활교육평가][음악교육평가...
- 사회과(학습, 교육)의 목표, 사회과(학습, 교육)의 원리, 사회과(학습, 교육) 교육체계, 사회...
- 사회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의의, 사회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필요성,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