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축율: (5266.114/5386.600)*100=97.76%
*실험 및 고찰
이번 콘크리트 배합 설계를 통해서 요구 강도에 준하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각각의 재료를 일정한 비율에 맞추어 배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에는 시멘트의 양만 가지고 요구강도에 맞는 콘크리트를 제작하는 줄 알았는데 경제성 및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여러 재료의 양을 달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차의 발생으로는 표면 건조 포화상태의 굵은 골재의 사용으로 되어있지만 실험시에는 건조한 굵은 골재 사용에 따른 물의 부족과 믹서기와 깔판에 묻어나는 시멘트 풀의 양의 감소로 인해서 각각 재료간의 비율이 안 맞는 것을 예상을 못했었다. 양생시에 물을 충분히 주긴 했지만 온도(4~40.c)와 습도에 따른 오차도 발생할 것 같다.
슬럼프 값이 정확하게 12cm이 나왔고 처음 몰드에서 떼어 낼 때 다른 조보다 재료분리의 가능성이 낮은 것이 강도 210kg/cm2에 가까이 나올 것 같다.
그리고 건조 수축에 대해서 콘크리트가 몰드에 담겨져 있어 자중에 의해 건조 수축이 높이에 대한 방향으로만 일어나는 줄 알았었는데, 폭에 대한 방향으로도 건조 수축이 일어난 것도 알게 되었다.
*실험 및 고찰
이번 콘크리트 배합 설계를 통해서 요구 강도에 준하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각각의 재료를 일정한 비율에 맞추어 배합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에는 시멘트의 양만 가지고 요구강도에 맞는 콘크리트를 제작하는 줄 알았는데 경제성 및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여러 재료의 양을 달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오차의 발생으로는 표면 건조 포화상태의 굵은 골재의 사용으로 되어있지만 실험시에는 건조한 굵은 골재 사용에 따른 물의 부족과 믹서기와 깔판에 묻어나는 시멘트 풀의 양의 감소로 인해서 각각 재료간의 비율이 안 맞는 것을 예상을 못했었다. 양생시에 물을 충분히 주긴 했지만 온도(4~40.c)와 습도에 따른 오차도 발생할 것 같다.
슬럼프 값이 정확하게 12cm이 나왔고 처음 몰드에서 떼어 낼 때 다른 조보다 재료분리의 가능성이 낮은 것이 강도 210kg/cm2에 가까이 나올 것 같다.
그리고 건조 수축에 대해서 콘크리트가 몰드에 담겨져 있어 자중에 의해 건조 수축이 높이에 대한 방향으로만 일어나는 줄 알았었는데, 폭에 대한 방향으로도 건조 수축이 일어난 것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