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데이비스 - 무어 이론
2. 튜민의 비판
3. 튜민의 비판에 대한 데이비스의 반론
4. 종합적 고찰
2. 튜민의 비판
3. 튜민의 비판에 대한 데이비스의 반론
4. 종합적 고찰
본문내용
을 기동시키는 차등적 보수에는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좋은 평판, 타인의 기대 , 자기만족 등도 포함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그는 말한다. 존경을 받고 싶어 하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어느 사회에서나 그런 것들은 지위에 따라서 보수를 주는 그런 기제에 대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라기보다는 차라리 거기에 대하여 보완적인 성질의 것이다.
제 5 명제에 대한 반론
튜민은 이른바 계층의 역기능을 논함에 있어서 계층을 지위의 세습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고있고 반론하였다. 여기 그가 주장하는 계층의 역기능성이 사실이라면 그 원천은 지위에 따르는 차등적 보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가족에 있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튜민은 좋지 않은 자아상이 역기능적이라고 비판 하지만 그것 또한 분명치가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경쟁적 행위를 자아내게 하는 강한 자극으로 작용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Ⅵ. 종합적 고찰
데이비스- 무어와 그 비판자들 사이에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 에 대해서 정리해 보자. 전자가 계층의 순기능으로 보는 것을 후자는 이른바 역기능으로 보는 데에 있다. 데이비스- 무어는 계층을 지위의 경쟁적 취득으로 특정 지운다. 즉 그들은 능력 지위의 기능적 중요도와 보수 간에는 긴밀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하여 사회의 기능 영위와 존속에 대한 계층의 기능적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하여 비판자들은 역할의 세습화 경향과 기회의 불평등을 지적하고, 능력 지위의 중요도와 보수 간의 상관관계를 부정한다. 나아가서 그들은 계층 체제는 사회의 분열과 불연속성을 초래, 또는 조장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기능론적 계층론은 모든 사회 현상을 무엇이든 기능적인 것으로 인정하게 하는 것이며 그것은 결국 사람들로 하여금 특혜층의 특권적 지위를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는 것이다.
데이비스 - 무어는 계층을 유인제로서 차등적 보수에 의하여 유능하고 야심적인 사람으로 하여금 중요한 자리를 점하게 하는 하나의 분류적 기제로 본 것이다. 여기 그들의 모델은 시장기구의 한 특수 형태이며 고전 경제학의 가격 이론과 흡사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시장 기구의 완전한 영위가 없는 것처럼 계층 체제의 완전한 운영도 실제로는 있을 수 없다고 하는 튜민의 관점은 정곡을 찌른 것이라고 할 것이다.
데이비스- 무어 이론이 계층의 권력적 요인을 망각하고, 역사적인 관점을 결여하고 있다는 롱(Dennis wrong )의 비판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주장이다. 사실 데이비스- 무어는 계층의 권력적 요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것이다. 그들은 이를테면 불평등한 보수는 사람들로 하여금 보다 중요하고, 기술이 필요한 자리에 들어가게끔 유인하는 데에 필요한 것이라고 주장할 뿐 그러한 자리가 일단 충원되어지면 그들 지위의 점유자들은 거기에 부수되는 일정 액면의 보수뿐만이 아니라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권력을 갖게끔 된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심프슨은 기능적 주요성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유일하게 유능한 지위는 중요하다는 데이비스 - 무어 의 주장을 일단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거기에는 또한 주어진 기능이 어떻게 본질적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는 것이다. 즉 대중을 위한 오락은 본질적인 기능인가 ? 그렇다면 영화배우만이 그것을 수행할 수 있는가 , 또는 요술사도 그러한 사회적 요구를 똑같이 잘 수행할 수 있는가 ? 이러한 유의 유일성을 규정하는 중요 기준은 대중이 그것을 유일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느냐의 여부에 달린 것이지 사회학자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달린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버클리는 두 가지 면에서 비판하였다. 그 첫 번째는 데이비스 - 무어 이론에 있어서의 계층이란 용어의 뜻은 너무나 추상적인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그것은 진정한 사회 계층 이라기보다는 단순한 불평등한 보수, 또는 사회계층 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사회적 분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데이비스 - 무어 이론은 지위 귀속의 현상을 거기에 포함하는 데에 실패하였다는 것이다.
이상 데이비스 - 무어 이론과 그 이론을 둘러싼 수많은 논쟁에 대해 알아보았다.
[참고문헌]
한상진. 「계급이론과 계층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4.
홍두승, 구해근. 「사회계층계급론」. 다산출판사, 1995.
김채윤. 「사회계층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5
조지 리처 「현대 사회학 이론」 형설출판사, 1985.
제 5 명제에 대한 반론
튜민은 이른바 계층의 역기능을 논함에 있어서 계층을 지위의 세습을 의미하는 것으로 쓰고있고 반론하였다. 여기 그가 주장하는 계층의 역기능성이 사실이라면 그 원천은 지위에 따르는 차등적 보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가족에 있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튜민은 좋지 않은 자아상이 역기능적이라고 비판 하지만 그것 또한 분명치가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경쟁적 행위를 자아내게 하는 강한 자극으로 작용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Ⅵ. 종합적 고찰
데이비스- 무어와 그 비판자들 사이에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 에 대해서 정리해 보자. 전자가 계층의 순기능으로 보는 것을 후자는 이른바 역기능으로 보는 데에 있다. 데이비스- 무어는 계층을 지위의 경쟁적 취득으로 특정 지운다. 즉 그들은 능력 지위의 기능적 중요도와 보수 간에는 긴밀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하여 사회의 기능 영위와 존속에 대한 계층의 기능적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하여 비판자들은 역할의 세습화 경향과 기회의 불평등을 지적하고, 능력 지위의 중요도와 보수 간의 상관관계를 부정한다. 나아가서 그들은 계층 체제는 사회의 분열과 불연속성을 초래, 또는 조장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기능론적 계층론은 모든 사회 현상을 무엇이든 기능적인 것으로 인정하게 하는 것이며 그것은 결국 사람들로 하여금 특혜층의 특권적 지위를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는 것이다.
데이비스 - 무어는 계층을 유인제로서 차등적 보수에 의하여 유능하고 야심적인 사람으로 하여금 중요한 자리를 점하게 하는 하나의 분류적 기제로 본 것이다. 여기 그들의 모델은 시장기구의 한 특수 형태이며 고전 경제학의 가격 이론과 흡사한 것이 사실이다. 그리하여 시장 기구의 완전한 영위가 없는 것처럼 계층 체제의 완전한 운영도 실제로는 있을 수 없다고 하는 튜민의 관점은 정곡을 찌른 것이라고 할 것이다.
데이비스- 무어 이론이 계층의 권력적 요인을 망각하고, 역사적인 관점을 결여하고 있다는 롱(Dennis wrong )의 비판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주장이다. 사실 데이비스- 무어는 계층의 권력적 요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것이다. 그들은 이를테면 불평등한 보수는 사람들로 하여금 보다 중요하고, 기술이 필요한 자리에 들어가게끔 유인하는 데에 필요한 것이라고 주장할 뿐 그러한 자리가 일단 충원되어지면 그들 지위의 점유자들은 거기에 부수되는 일정 액면의 보수뿐만이 아니라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권력을 갖게끔 된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심프슨은 기능적 주요성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유일하게 유능한 지위는 중요하다는 데이비스 - 무어 의 주장을 일단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거기에는 또한 주어진 기능이 어떻게 본질적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는 것이다. 즉 대중을 위한 오락은 본질적인 기능인가 ? 그렇다면 영화배우만이 그것을 수행할 수 있는가 , 또는 요술사도 그러한 사회적 요구를 똑같이 잘 수행할 수 있는가 ? 이러한 유의 유일성을 규정하는 중요 기준은 대중이 그것을 유일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느냐의 여부에 달린 것이지 사회학자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달린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버클리는 두 가지 면에서 비판하였다. 그 첫 번째는 데이비스 - 무어 이론에 있어서의 계층이란 용어의 뜻은 너무나 추상적인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그것은 진정한 사회 계층 이라기보다는 단순한 불평등한 보수, 또는 사회계층 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사회적 분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데이비스 - 무어 이론은 지위 귀속의 현상을 거기에 포함하는 데에 실패하였다는 것이다.
이상 데이비스 - 무어 이론과 그 이론을 둘러싼 수많은 논쟁에 대해 알아보았다.
[참고문헌]
한상진. 「계급이론과 계층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4.
홍두승, 구해근. 「사회계층계급론」. 다산출판사, 1995.
김채윤. 「사회계층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5
조지 리처 「현대 사회학 이론」 형설출판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