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공단재개발을 통한 산업재개발 사례와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로공단재개발을 통한 산업재개발 사례와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울디지털단지 개관
1.서울디지털단지의 위치

2.서울디지털단지의 규모

3.서울디지털단지의 교통편

4.서울디지털산업단지 관리현황

5.1990년대 이후 구조재편 현황
5-1)경제상황 변화
5-2)서울디지털단지 구조고도화 정책

6.설문조사사례 및 결과

7.서울디지털산업단지 변천사
7-1)구로공단의 모습
7-2)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전환

8. 서울디지털단지 비교체험

9. 서울 디지털단지 개발 후 장·단점 9-1)장점
9-2)단점과 개선방안
*행정적 측면
*아파트형공장 개발·운영적 측면
*개발지역과 미개발지역간의 낙후적 측면

10. 구로공단의 미래

11.참고문헌

본문내용

산업단지로 전환.........................................................................................7
8. 서울디지털단지 비교체험.................................................................................................8
9. 서울 디지털단지 개발 후 장·단점....................................................................................9
9-1)장점.............................................................................................................................9
9-2)단점과 개선방안........................................................................................................10
*행정적 측면...................................................................................................................10
*아파트형공장 개발·운영적 측면.....................................................................................10
*개발지역과 미개발지역간의 낙후적 측면.......................................................................10
10. 구로공단의 미래...........................................................................................................11
11.참고문헌.........................................................................................................................12
*서울디지털단지 개관*
구로디지털단지(구. 구로공단)은 우리나라 산업발전의 역사를 대변하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국가정책의 일환으로 경제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특히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정책을 펴오면서 구로공단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 오던 곳이었다. 구로공단은 1964년 9월에 제정, 공포한 \"수출산업단지개발조성법\"에 의해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과 금천구 가산동 일대에 총 60만평(198만2천㎡)규모로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산업단지로 현재는 1800여개의 기업체가 입주하여 3만8천여명의 근로자가 생산활동을 하고 있다. (67년 4월에는 제1단지(13만7천평)준공, 68년 6월에는 제2단지(11만9천평)준공, 73년 11월에는 제3단지(34만8천평)를 준공함.)
1.서울디지털단지의 위치: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45-14 ~ 대림 제 2동~ 신림 제 8동 ~금천구 가산동 597-5
<그림: 서울디지털단지의 안내도 출처: 한국산업단지공단>
<그림: 과거 구로공단 역 주변 안내도. 자료출처: 웹 서브웨이>
2.서울디지털단지의 규모:
구분
총계
산업시설용지
지원시설용지
공공시설용지
1단지
452,647㎡
349,923㎡
67,099㎡
35,625㎡
2단지
395,777㎡
289,431㎡
1,657㎡
104,689㎡
3단지
1,133,128㎡
867,370㎡
62,502㎡
203,256㎡

1,981,552㎡
1,506,724㎡
131,258㎡
343,570㎡
<표: 서울디지털단지의 규모. 자료출처: 한국산업단지공단. 2005.03>
3. 서울디지털단지의 교통편:
지하철 안내: 1호선-구로디지털단지 역 (구 구로공단역)
버스 안내:
[구로역 앞] 160 260 503 600 5614 5615 6640
[구로공단상가 앞] 260 571
[애경백화점 앞] 5714 6612 6613
4.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관리현황
-연혁
64.09 수출산업공업단지개발조성법 제정, 공포
67.04 제1단지 준공(13만7천평)
68.06 제2단지 준공(11만9천평)
73.11 제3단지 준공(34만8천평)
00.12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명칭 변경
04.04 지하철 역명 변경(구로디지털단지역)
<그림: 80년대의 구로공단의 모습> <그림:65년도 구로공단주변 주택가>
<자료출처:네이버 이미지검색> <자료출처:네이버 이미지검색>
<그림: 60년대 구로공단의 모습> <그림:72년 구로공단의 여직공들>
<자료출처:하이디 학생대백과사전> <자료출처:하이디 학생대백과사전>
<그림:현재의 서울 디지털단지> <그림:현재의 서울 디지털 단지>
5. 1990년대 후반 이후 구조재편 현황
1990년대 후반이 되자 구로공단은 조성된 지 30년 이상 경과되어 노후화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고, 중요성에 걸맞는 역할을 담당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1997년 IMF 경제위기로 인해 구조재편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구로공단은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고, 그 명칭을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변경하고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1)경제상황 변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1990년대 후반부터 전세계적으로 지식정보사회로의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량생산체계에서 유연적 생산체계로의 전환, 노동의 유연성 증가, 소비자 취향의 다양화, 혁신적 기업가 정신과 새로운 기업모형의 등장, 새로운 금융제도 등장, 기술혁신에 있어서 집단학습의 중요성이 그것이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이후 그동안 경제성장의 주역이었던 자동차, 조선, 전자선업등의 대기업 중심의 전통적 설비제조업의 경쟁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현재는 기술집약적 첨단산업, 벤처산업, 지식기반산업이 중요한 전략산업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구로공단도 구조고도화 정책(단순제조업에서 첨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1.16
  • 저작시기200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0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