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항성 장애와 품행장애 사례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반항성 장애>
1. 정의
2. 주요특징
3. 역학

<품행장애 >
1. 정의
2. 주요특징
3. 역학

<발달 경로와 예후>

<원인>

<치료와 예방>
*영화 사례- 나비효과, 에덴의 동쪽
*TV 속 사례
*신문기사

본문내용

치 2주의 부상을 입혔다. 담당 형사는 열일곱 소년의 범행을 보기에는 그 죄질이 너무 크다고 했다.
취재진은 정남를 직접 만날 뿐 아니라 정남이의 아버지, 누나, 할머니를 만나 정남이의 어린 시절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으며 전문가를 통해 정남이가 품행장애이며 어린시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일 가능성이 높다는 소견을 들을 수 있었다.
**신문기사**
1. 반항성 장애 동현이의 사례 (시사저널 2007, 10,16 기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 사는 아홉 살 유동현군(가명)은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한다. 어머니 안미선씨(가명·38)는 동현이가 친구들을 사귀고 친하게 지낼 수 있도록 가능한 방법을 다 동원해보았지만, 아이는 그럴 때마다 “싫어!”라고 소리치면서 받아들이지 않았다.
초등학교에 진학하자 상황은 더 심각해졌다. 동현이는 걸핏하면 친구들을 때리고 도무지 수업에 집중하지 못했다. 하지만 안씨는 동현이의 행동을 외동아이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돌발적이고 튀는 성격 탓이라고 여기고 넘어갔다. 동현이는 엄마 아빠의 사랑을 독차지하며 자랐고 물질적으로도 아무런 부족함이 없었다. 급기야 2학년이 되어서 학교로부터 ‘부모 호출’이 왔다. 가보니 동현이가 쓰던 바른생활 교과서는 갈기갈기 찢겨 있고, 책상은 온통 빨간 크레파스로 칠해져 있었다. 동현이는 항상 흥분한 상태였고, 화가 ‘폭발’하면 주위를 난잡하게 해놓는다는 것이다.
안씨는 그제야 동현이와 함께 소아정신과를 찾았다. ‘반항성 장애’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2. 불량소녀에서 모범소년 된 어느 여 소년원생 (세계일보 2007. 10, 30 기사)
선진이는 9살 때 엄마가 지금의 아빠(계부)와 재혼했다. 넉넉지 않은 가정형편에 계부와 같이 살았지만 초등학교 때만 해도 교내 글짓기나 수학경시대회에서 입상도 하며 밝게 자랐다. 그러나 중학교에 입학하자 성격과 행동이 거칠어졌다. 부모는 아이의 그런 변화를 사춘기를 심하게 앓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처음엔 불량친구들과 자주 어울려 다니더니 급기야 1학년 말에 무단 가출까지 했다.
엄마가 수소문 끝에 친구집을 전전하던 아이를 찾아내 4개월 만에 집으로 끌고 왔다. 그러나 아이는 부모와의 대화를 거부했다. 너무도 답답한 마음에 정신과에도 데려가 봤지만 아이가 치료를 거부하는 바람에 진단도 받지 못했다. 아이는 이내 다시 집을 나가 버렸다.
이후 8개월 동안 가족과 연락을 끊고 횟집 주유소 등에서 일하며 남녀친구들과 동거생활을 했다. 나중에는 유흥비를 벌려고 어른들과의 ‘조건 만남’도 가졌다. 끝내 지난해 12월에 광명역 부근에서 또래학생들에게서 휴대전화와 돈을 뺏다가 경찰에 붙잡혔다.
우장훈 안양소년원 의무과장(정신과 전공)은 선진이가 우울증과 불안 장애, 품행 장애 등을 갖고 있다고 진단했다.
*목차
<반항성 장애>
1. 정의
2. 주요특징
3. 역학
<품행장애 >
1. 정의
2. 주요특징
3. 역학
<발달 경로와 예후>
<원인>
<치료와 예방>
*영화 사례- 나비효과, 에덴의 동쪽
*TV 속 사례
*신문기사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1.1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