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주제설정 이유
본론
TV문화 속 비속어 사용
TV문화 속 틀린말 표현
TV문화 속 신조어 사용
TV문화 속 외래어 남용
결론
주제설정 이유
본론
TV문화 속 비속어 사용
TV문화 속 틀린말 표현
TV문화 속 신조어 사용
TV문화 속 외래어 남용
결론
본문내용
2) 너무 ~ 하다 : 흔히들 너무 라는 말이 엄청, 많이 라는 말과 비슷하게 과장되는 표현 이라 생각 하는데 의미는 맞지만 표현할 수 있는 경우가 제한적이다. 즉 뒤에 오는 내용이 비관적이거나 부정적인 경우에만 ‘너무’라는 말로 꾸며줄 수 있는 것 이다. 예를 들자면 “너무 예쁘다.” 라는 말은 틀린 표현이 되고 “너무 무섭다” “너무 괴팍하다” 등의 표현으로 쓰일 수 있다.
3) 삼가다 : ‘삼가다’를 ‘삼가 하다’ 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비슷한 예로 원형의 ‘잠그다’가 변형된 ‘잠가’를 ‘잠궈’로 ‘담그다’의 변형인 ‘담가’를 ‘담궈’로 잘 못 쓰이는 경우가 있다.
4) 옥에 티: ‘옥에 티’를 ‘옥의 티’라고 잘 못 쓰이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옥중의 티를 가리키는 말로 ‘옥의 티’가 아니라 ‘옥에 티’가 올바른 표현이다. 첨부된 그림은 MBC프로그램에서 옥에 티를 잘 못 쓴 예이다. 이 외에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방송 3사의 오락 프로그램에서 잘 못 쓰인 언어들을 정리해 봤다.
<표 1 - 오락프로그램 중 잘 못 쓰인 언어들>
방송사
프로그램명
오류
올바른 표현
MBC
지피지기
놀러와
바라보려구요
딴지걸다
바라보려고요
딴죽 걸다
KBS
미녀들의 수다
없더라구요
없더라고요
SBS
야심만만
딴지걸다
딴죽걸다
세 번째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신조어의 무분별한 사용이다.
흔히들 ‘인터넷 용어’ 혹은 ‘10대 언어’라고 불리는 이러한 신조어는 어린 친구들이나 학생들 사이에서 걷잡을 수 없을 만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심지어는 이런 신조어를 모르면 이른바 ‘왕따’ (‘따돌림’의 신조어)가 된다는 소리가 나돌 만큼 이러한 언어들은 무차별적으로 사용되고 또한 날마다 새롭게 만들어진다. 다음은 신조어의 특성에 대한 분류이다.
<표 2 - 신조어의 분류와 그 예>
종류
예
합성어
야자(야간자율학습) 열공(열심히 공부) 담샘(담임 선생님)
불펌(올린이의 허락없이 게시물을 옮김) 출첵 (출석체크)
생파(생일파티)
소리나는 대로 말하기
마시따(맛있다) 사라요(살아요) 가따와(갔다와) 마자(맞아)
말 늘이기
그러엄(그럼) 자알(잘) 만으네(많네) 캄수아(감사)
음절 줄이기
낼(내일) 드뎌(드디어) 잼(재미) 멜(이메일) 셤(시험)
글면(그러면)
이러한 언어의 사용을 자제하지는 못할망정 몇 몇 TV프로그램은 너무 시청률에만 급급한 나머지 의도적으로 10대 언어 즉 신조어를 쓰는 경향이 있다. ‘
3) 삼가다 : ‘삼가다’를 ‘삼가 하다’ 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비슷한 예로 원형의 ‘잠그다’가 변형된 ‘잠가’를 ‘잠궈’로 ‘담그다’의 변형인 ‘담가’를 ‘담궈’로 잘 못 쓰이는 경우가 있다.
4) 옥에 티: ‘옥에 티’를 ‘옥의 티’라고 잘 못 쓰이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옥중의 티를 가리키는 말로 ‘옥의 티’가 아니라 ‘옥에 티’가 올바른 표현이다. 첨부된 그림은 MBC프로그램에서 옥에 티를 잘 못 쓴 예이다. 이 외에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방송 3사의 오락 프로그램에서 잘 못 쓰인 언어들을 정리해 봤다.
<표 1 - 오락프로그램 중 잘 못 쓰인 언어들>
방송사
프로그램명
오류
올바른 표현
MBC
지피지기
놀러와
바라보려구요
딴지걸다
바라보려고요
딴죽 걸다
KBS
미녀들의 수다
없더라구요
없더라고요
SBS
야심만만
딴지걸다
딴죽걸다
세 번째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신조어의 무분별한 사용이다.
흔히들 ‘인터넷 용어’ 혹은 ‘10대 언어’라고 불리는 이러한 신조어는 어린 친구들이나 학생들 사이에서 걷잡을 수 없을 만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심지어는 이런 신조어를 모르면 이른바 ‘왕따’ (‘따돌림’의 신조어)가 된다는 소리가 나돌 만큼 이러한 언어들은 무차별적으로 사용되고 또한 날마다 새롭게 만들어진다. 다음은 신조어의 특성에 대한 분류이다.
<표 2 - 신조어의 분류와 그 예>
종류
예
합성어
야자(야간자율학습) 열공(열심히 공부) 담샘(담임 선생님)
불펌(올린이의 허락없이 게시물을 옮김) 출첵 (출석체크)
생파(생일파티)
소리나는 대로 말하기
마시따(맛있다) 사라요(살아요) 가따와(갔다와) 마자(맞아)
말 늘이기
그러엄(그럼) 자알(잘) 만으네(많네) 캄수아(감사)
음절 줄이기
낼(내일) 드뎌(드디어) 잼(재미) 멜(이메일) 셤(시험)
글면(그러면)
이러한 언어의 사용을 자제하지는 못할망정 몇 몇 TV프로그램은 너무 시청률에만 급급한 나머지 의도적으로 10대 언어 즉 신조어를 쓰는 경향이 있다. ‘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 TV 문화의 특색과 『서브 컬츄어』의 현황
일본의 문화에 대하여-비언어적의사소통중점-
[한국언어 문화의 이해]각 시대별 신조어 분석
[한국언어 문화의 이해]각 시대별 신조어 분석
[TV 코미디][코미디][웃음][개그][개그맨][방송문화][코메디]TV 코미디와 웃음 분석(코미디란...
청소년 통신언어의 문화적 의미 연구
[일본문화]일본의 언어와 문화
[유럽문화권] 유럽문화권에 대하여(지형, 기후, 문명, 인종, 언어, 종교, 역사 등에 대하여)
청소년 문화와 언어PPT - 언어의 개념과 기능, 청소년의 언어생활, 청소년 언어의 기능과 개...
[언어표현과 문화] 언어 표현의 다양성과 문화 - 신체 언어를 중심으로
(마트, 도서관, 박물관, 놀이동산 등) 견학 후 유아기(만3세~만5세)의 연령을 고려하여 언어...
[언어와 문화] 한글의 우수성
[국어교육] 매체언어의 국어교육적 효용성 _ 사고와 의사소통(이해와 표현), 문화의 측면에서...
수화의 공식언어화,수화란,장애인 소외 문제 장애인교육권,사회문화적 대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