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처리] 인터넷 활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터넷의 정의

2. 인터넷의 역사

3. 인터넷 주소
3.1 주소 표시줄
3.2 국가 도메인 종류
3.3 기관 단체 도메인 종류
3.4 IP 주소
3.5 IPv4 VS IPv6
3.6 DNS
-- 형성평가

4. 인터넷 옵션

본문내용

인터넷 활용
1 인터넷의 개요
인터넷의 정의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인터넷의 역사
1960 미 국방성에서 ARPANet(알파넷)을 구축
1972 E-mail 프로그램 개발, Telnet 표준안 확정 발표
1973 FTP 표준안 확정 발표
1977 E-mail 표준안 확정 발표
1979 Usenet 서비스 시작
1982 TCP/IP 도입
1983 ARPANet을 MILNet(군사용)과 ARPNet(연구용)으로 분리하면서 인터넷 시작
1984 DNS 제시
1986 NNTP 개발
1988 IRC 개발
1989 스위스의 '팀 버너스리'가 WWW 개발
1990 ARPANet 폐지, Archie 서비스 시작, ARPANet 역할 NSFNet으로 이관
1991 WAIS 서비스 시작, Gopher 서비스 시작
1992 WWW 서비스 시작, Veronica 서비스 시작
1993 InterNIC 창설, NSCA의 '마크 앤드리슨'이 '모자이크' 발표
1994 '모자이크'를 만든 '마크 앤드리슨'과 SGI 사장 '짐 클라크'가 '넷스케이프' 발표
1995 인터넷 수요의 급증으로 NSFNet Backbone이 사라지고 상용 Backbone이 등장
2 인터넷 주소
주소 표시줄
IP로 홈페이지 접근 가능
프로토콜(http://) 생략가능
한 개의 브라우저에 하나의 주소 연결 가능
도메인 구성 - 인터넷 사용자가 사용하는 주소
IP 주소
숫자로 구성된 인터넷 공인 IP(Internet Protocol)
3개의 '.'(점;Dot)으로 구분
구분된 각각의 숫자들은 0~255까지의 숫자 사용
이 숫자는 전세계적으로 하나만 존재가능
IP 주소는 32 비트 체계
8비트 씩 4개의 옥텟(Octet)으로 구성된다
구분 IPv4 IPv6
주소 길이 32비트(4X8비트) 128 비트(8X16비트)
표시 방법 8비트의 4옥텟(10진수) 16비트의 8옥텟(16진수)
주소 개수 약 43 억개 약 3.4X10 개
주소 할당 클래스 단위 할당(비효율) 단말기에따라 할당(효율)
품질 제어 품질 보장 곤란 등급ㆍ서비스별 품질보장
보안 기능 Ipsec 프로토콜 설치 후 기본적으로 제공
자동 인식 없음 가능
모바일 IP 곤란(비효율적) 용이(효율)
구 분 ‘.’ Dot로 구분 ‘:’ Colon로 구분
사용 예 220.65.180.3 2001:230:abcd:ffff:0000:0000:ffff:1111
DNS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 또는 그 반대의 역 변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7.11.2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38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