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uticle (각피층)
2.epidermis (표피)
3. palisade tissue (책상조직)
4. spongy tissue (해면조직)
5. resin duct (수지도)
6. vascular bundle (관다발)
7. phloem (체관)
8. xylem (물관)
9. guard cell (공변세포)
10. chloroplast (엽록체)
11. stoma (기공)
2.epidermis (표피)
3. palisade tissue (책상조직)
4. spongy tissue (해면조직)
5. resin duct (수지도)
6. vascular bundle (관다발)
7. phloem (체관)
8. xylem (물관)
9. guard cell (공변세포)
10. chloroplast (엽록체)
11. stoma (기공)
본문내용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1. stoma (기공)
- 기공의 역할 :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들어오고 광합성의 결과로 만들어진 산소가 나가는 공기의 이동통로이다. 또한 잎에 있는 물이 기체상태로 내보내지는 증산작용이 일어난다.
- 기공의 구조 : 잎의 뒷면에는 표피세포가 변형된 공변세포가 쌍을 지어 표피에 분포한다. 두 개의 공변세포가 팽창하면 안쪽은 잘 늘어나지 않고 바깥쪽으로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휘어져 기공이 생긴다. 공변세포가 다시 홀쭉해지면 기공이 닫힌다.
- 기공의 위치 : 기공은 대체로 잎의 뒷면에 있으나 물 위에 떠 있는 잎에서는 표면에 있다. 또한 앞뒤의 구별이 없는 잎에서는 잎의 양면에 기공이 있으며 지하나 수중에 있는 잎은 기공이 없는 경우가 많다.
◈ 참고사이트
김창석의 생물과 환경 : http://cafe.naver.com/bioenvi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야후 백과사전 :
http://kr.dic.yahoo.com/search/enc/result.html?p=%BC%F6%C1%F6%B5%B5&pk=15171900&subtype=&type=enc&field=id
11. stoma (기공)
- 기공의 역할 :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들어오고 광합성의 결과로 만들어진 산소가 나가는 공기의 이동통로이다. 또한 잎에 있는 물이 기체상태로 내보내지는 증산작용이 일어난다.
- 기공의 구조 : 잎의 뒷면에는 표피세포가 변형된 공변세포가 쌍을 지어 표피에 분포한다. 두 개의 공변세포가 팽창하면 안쪽은 잘 늘어나지 않고 바깥쪽으로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휘어져 기공이 생긴다. 공변세포가 다시 홀쭉해지면 기공이 닫힌다.
- 기공의 위치 : 기공은 대체로 잎의 뒷면에 있으나 물 위에 떠 있는 잎에서는 표면에 있다. 또한 앞뒤의 구별이 없는 잎에서는 잎의 양면에 기공이 있으며 지하나 수중에 있는 잎은 기공이 없는 경우가 많다.
◈ 참고사이트
김창석의 생물과 환경 : http://cafe.naver.com/bioenvi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야후 백과사전 :
http://kr.dic.yahoo.com/search/enc/result.html?p=%BC%F6%C1%F6%B5%B5&pk=15171900&subtype=&type=enc&field=id
추천자료
해양생물의 미래
[과외]중학 과학 중1-05 땅에 사는 식물(2) 08
[과외]고등 과학 생물 에너지
양치식물 - 조사, 정리 자료
식물의 잎과 줄기의 관찰 - 결과 보고서
식품의 색
광합성에 관한 고찰
[대학생물학] 곰팡이 및 아메바 관찰 실험보고서
[대학생물학] 곰팡이 및 아메바 관찰 실험보고서
[식품미생물학A]유전 물질 DNA의 물리화학적 구조와 미생물에 의한 이들 유전물질의 교환방법...
[전분, 녹말, 형성온도, 전분 이화학적 특성, 전분 분리, 전분활용]전분(녹말)의 형성온도, ...
실험수업 꽃 관찰
해조류와 인체건강
[레포트] 일반 생물학 및 실험2 식물의 구조(잎) 3주차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