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신세대
제1절 신세대 소비자의 이해
제2절 의류패션과 상품
제3장 신세대 패션 마케팅
제1절 소비 트랜드
제2절 신세대의 의류패션 선호성향
제3절 신세대의 의류매장 쇼핑성향(행동•경향)
제4장 결 론
제2장 신세대
제1절 신세대 소비자의 이해
제2절 의류패션과 상품
제3장 신세대 패션 마케팅
제1절 소비 트랜드
제2절 신세대의 의류패션 선호성향
제3절 신세대의 의류매장 쇼핑성향(행동•경향)
제4장 결 론
본문내용
동근이 입고 나온 블루 와이셔츠인 유동근 셔츠가 큰 인기를 끌었다.
신세대 패션은 다른 세대에게는 매우 이질적이지만 그 또래 세대에서는 매우 획일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서로가 서로를 모방하는 심리에 편승하여 같은 브랜드와 같은 스타일의 옷을 입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10대 중고등학생들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요즘 10대는 한결같이 「스톰」, 「닉스」, 「보이런던」의 바지, 「나이스크랍」, 「EnC」, 「주크」 등의 강렬한 원색의 작은 상의, 타이어 구두에 이스트팩 배낭을 메고 다닌다. 이런 모습과 다르면 이상한 아이 취급을 받기 때문에 이들은 열심히 그들의 유행패턴을 살피고 서로를 따라 한다.
몇 년 전부터 계속되고 있는 ‘깃 올리기 패션’에서 결코 빠져서는 안 될 ‘흰색 폴로 티셔츠’는 거의 모든 신세대들이 갖추고 있는 아이템이다. 남색이나 아이보리 색상의 폴로 니트 안에 흰 폴로 티셔츠를 바쳐 입으면서 깃을 올리는 이 패션 스타일은 여전히 인기다. 깃을 올리지 않으면 구세대, 깃을 올리면 신세대라는 패션 정의까지 나온 이 ‘깃 올리기 패션’ 덕분에 ‘흰색 폴로 티셔츠’는 4계절 인기 상품으로 자리잡았다.
중고등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패션은 힙합패션과 키치패션. 그래서 힙합패션의 필수인 힙합바지와 키치패션에서 없어서는 안될 빈티지 진은 이들 10대 신세대들의 인기 품목이다.
신세대는 상품 구입시 성에 따라 구입해도 될 것과 구입해서는 안 될 것을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이들은 자신의 마음에 들거나 자신이 사고 싶은 물건이 있으면 남성전용 혹은 여성전용을 따지지 않고 사들인다.
신세대 남성들 사이에서 자기 치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성전용 액서사리 전문점이 생겨 관심을 모았다. 그렇다고 남성전용 액서사리 「놈(NOM)」을 찾는 고객이 모두 남성만은 아니다. 신세대 여성들도 주요 고객이다. 「놈」이 남성전용 액서사리라고는 하지만 자기 마음에 드는 상품이 있으면 여성들도 구입하는 것이다.
남성들도 향수를 뿌리는 것이 에티켓의 필수로 자리잡고 있다. 예전에는 향수가 여성들만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언제부터인가 신세대 남성들에게서도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신세대 남성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향수는 「폴로 스포츠」와 「토미」, 「겐조 퍼 옴므」, 캘빈 클라인의 「이스케이프」 등이다. 또한 자외선 차단 로션, 눈가 잔주름 젤, 스크럽 등의 남성용 화장품도 인기 상품이다. 한편 남성용 향수는 신세대 여성들에게서도 인기다. 「폴로 스포츠」와 파코라반의 「XS」 향수는 많은 신세대 여성들이 즐겨 사용하고 있다. 유니섹스 향수인 「CK One」은 작년 최고 인기를 기록했다. ‘여성은 여성스런 달콤한 향을 좋아한다’라는 기존의 상식이 파괴되고 있는 것이다.
신세대 직장 남성으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맨즈백도 성파괴 상품이다. 백이 여성들의 전용물로만 여겨졌던 예전의 인식이 변하여 손에 들고 다니는 남성용 맨즈백이 나오게 된 것이다. 여성들 못지 않게 남성들도 가지고 다니는 물건이 많다. 수첩, 명함지갑, 워크맨, 책, 볼펜, 휴대폰 등을 모두 양복 주머니에다 넣고 다니기엔 너무 무겁고 불편하기 때문에 맨즈백이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이다.
제2절의류패션과 상품
1.패션과 유행
현재 우리나라에서 외래어인 ‘패션’과 ‘유행’이 거의 구분없이 같은 의미로 혼용되고 있다. 패션은 특정한 시기에 많은 사람들에 의해 받아 들여지는 스타일, 또는 특정 스타일이 받아들여지는 사회적 확산과정을 의미하며, 장기적 변화와 단기적 변화를 포함한다.
유행을 “일시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어떤 행동양식이나 사항 따위를 탁함으로써 생기는 사회적 동조현황”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두 가지를 비교해보면 상당부분이 일치하나 ‘유행’은 ‘일시적 동조현상’으로 나타내어 단기간 변화를 뜻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대상이나 과정보다는 현상 그 자체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조현상이라 할 때 동조의 대상과 동조과정이 묵시적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면 특별히 장기적 변화를 자처하지 않는 한 ‘유행’과 ‘패션’의 의미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용주기가 짧은 패션은 유행으로 불리울 수 있다.
1)클래식(Classic) = 베이직(Basic)
패션과 마찬가지로 ‘클래식’이라는 어휘도 과정과 대상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사용된다. 고정으로서의 클래식은 확산곡선상의 특성을 의미하며, 대상으로서의 클래식은 디자인상의 특성을 의미한다. 확산곡선상의 클래식은 사용되는 기간이 길고 정점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디자인상의 클래식은 주위에서 흔희 보넌 전통적이고 정형화된 것이 특징이며, 베이직이라고 불리운다. 클래식을 착용하는 소비자층은 사회전반에 폭 넓게 존재한다.
상품으로 볼 때 클래식 스타일은 소비자에게 강하게 부각되지는 않지만 누구나 몇 벌은 가지고 있으며, 판매면에서도 어느 정도의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클래식이 그 시즌의 유행 스타일 이 되어 가장 중요한 아이템으로 등장하기도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생산자는 제품 기획과정에서 유행품목과 더불어 베이직을 항상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클래식은 모든 디자인 요소에 존재하기 때문에 선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색채나 재질에도 클래식이 있다. 대표적인 클래식 스타일의 예로 가디건 스웨터, 셔츠 블라우스, 블레이져 재킷, 트렌치 코트, 점퍼 등을 들 수 있다.
2)패드 (=트랜디)
패드(fad)는 클래식과 여러가지 측면에서 반대되는 성격을 갖는다. 우선 확산 과정에서 볼 때 패드는 사용기간이 짧다는 것과 사회안의 일부 하위 문화집단내에만 확산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패드는 사회에 소개된 후 채택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유행을 이루며, 하락기에도 급격하게 쇠퇴하여 패용된다. 따라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유지하는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가 짧다. 또한, 패드는 확산속도가 빠르지만 흔희 사회안의 일부 하위 문화집단내에서만 형성되므로, 넓은 사용인구를 갖는 클래식과 대조를 이룬다. 예컨대, 워커의 유행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도시의
신세대 패션은 다른 세대에게는 매우 이질적이지만 그 또래 세대에서는 매우 획일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서로가 서로를 모방하는 심리에 편승하여 같은 브랜드와 같은 스타일의 옷을 입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10대 중고등학생들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요즘 10대는 한결같이 「스톰」, 「닉스」, 「보이런던」의 바지, 「나이스크랍」, 「EnC」, 「주크」 등의 강렬한 원색의 작은 상의, 타이어 구두에 이스트팩 배낭을 메고 다닌다. 이런 모습과 다르면 이상한 아이 취급을 받기 때문에 이들은 열심히 그들의 유행패턴을 살피고 서로를 따라 한다.
몇 년 전부터 계속되고 있는 ‘깃 올리기 패션’에서 결코 빠져서는 안 될 ‘흰색 폴로 티셔츠’는 거의 모든 신세대들이 갖추고 있는 아이템이다. 남색이나 아이보리 색상의 폴로 니트 안에 흰 폴로 티셔츠를 바쳐 입으면서 깃을 올리는 이 패션 스타일은 여전히 인기다. 깃을 올리지 않으면 구세대, 깃을 올리면 신세대라는 패션 정의까지 나온 이 ‘깃 올리기 패션’ 덕분에 ‘흰색 폴로 티셔츠’는 4계절 인기 상품으로 자리잡았다.
중고등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패션은 힙합패션과 키치패션. 그래서 힙합패션의 필수인 힙합바지와 키치패션에서 없어서는 안될 빈티지 진은 이들 10대 신세대들의 인기 품목이다.
신세대는 상품 구입시 성에 따라 구입해도 될 것과 구입해서는 안 될 것을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이들은 자신의 마음에 들거나 자신이 사고 싶은 물건이 있으면 남성전용 혹은 여성전용을 따지지 않고 사들인다.
신세대 남성들 사이에서 자기 치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성전용 액서사리 전문점이 생겨 관심을 모았다. 그렇다고 남성전용 액서사리 「놈(NOM)」을 찾는 고객이 모두 남성만은 아니다. 신세대 여성들도 주요 고객이다. 「놈」이 남성전용 액서사리라고는 하지만 자기 마음에 드는 상품이 있으면 여성들도 구입하는 것이다.
남성들도 향수를 뿌리는 것이 에티켓의 필수로 자리잡고 있다. 예전에는 향수가 여성들만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언제부터인가 신세대 남성들에게서도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신세대 남성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향수는 「폴로 스포츠」와 「토미」, 「겐조 퍼 옴므」, 캘빈 클라인의 「이스케이프」 등이다. 또한 자외선 차단 로션, 눈가 잔주름 젤, 스크럽 등의 남성용 화장품도 인기 상품이다. 한편 남성용 향수는 신세대 여성들에게서도 인기다. 「폴로 스포츠」와 파코라반의 「XS」 향수는 많은 신세대 여성들이 즐겨 사용하고 있다. 유니섹스 향수인 「CK One」은 작년 최고 인기를 기록했다. ‘여성은 여성스런 달콤한 향을 좋아한다’라는 기존의 상식이 파괴되고 있는 것이다.
신세대 직장 남성으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맨즈백도 성파괴 상품이다. 백이 여성들의 전용물로만 여겨졌던 예전의 인식이 변하여 손에 들고 다니는 남성용 맨즈백이 나오게 된 것이다. 여성들 못지 않게 남성들도 가지고 다니는 물건이 많다. 수첩, 명함지갑, 워크맨, 책, 볼펜, 휴대폰 등을 모두 양복 주머니에다 넣고 다니기엔 너무 무겁고 불편하기 때문에 맨즈백이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이다.
제2절의류패션과 상품
1.패션과 유행
현재 우리나라에서 외래어인 ‘패션’과 ‘유행’이 거의 구분없이 같은 의미로 혼용되고 있다. 패션은 특정한 시기에 많은 사람들에 의해 받아 들여지는 스타일, 또는 특정 스타일이 받아들여지는 사회적 확산과정을 의미하며, 장기적 변화와 단기적 변화를 포함한다.
유행을 “일시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어떤 행동양식이나 사항 따위를 탁함으로써 생기는 사회적 동조현황”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두 가지를 비교해보면 상당부분이 일치하나 ‘유행’은 ‘일시적 동조현상’으로 나타내어 단기간 변화를 뜻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대상이나 과정보다는 현상 그 자체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조현상이라 할 때 동조의 대상과 동조과정이 묵시적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면 특별히 장기적 변화를 자처하지 않는 한 ‘유행’과 ‘패션’의 의미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용주기가 짧은 패션은 유행으로 불리울 수 있다.
1)클래식(Classic) = 베이직(Basic)
패션과 마찬가지로 ‘클래식’이라는 어휘도 과정과 대상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사용된다. 고정으로서의 클래식은 확산곡선상의 특성을 의미하며, 대상으로서의 클래식은 디자인상의 특성을 의미한다. 확산곡선상의 클래식은 사용되는 기간이 길고 정점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디자인상의 클래식은 주위에서 흔희 보넌 전통적이고 정형화된 것이 특징이며, 베이직이라고 불리운다. 클래식을 착용하는 소비자층은 사회전반에 폭 넓게 존재한다.
상품으로 볼 때 클래식 스타일은 소비자에게 강하게 부각되지는 않지만 누구나 몇 벌은 가지고 있으며, 판매면에서도 어느 정도의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클래식이 그 시즌의 유행 스타일 이 되어 가장 중요한 아이템으로 등장하기도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생산자는 제품 기획과정에서 유행품목과 더불어 베이직을 항상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클래식은 모든 디자인 요소에 존재하기 때문에 선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색채나 재질에도 클래식이 있다. 대표적인 클래식 스타일의 예로 가디건 스웨터, 셔츠 블라우스, 블레이져 재킷, 트렌치 코트, 점퍼 등을 들 수 있다.
2)패드 (=트랜디)
패드(fad)는 클래식과 여러가지 측면에서 반대되는 성격을 갖는다. 우선 확산 과정에서 볼 때 패드는 사용기간이 짧다는 것과 사회안의 일부 하위 문화집단내에만 확산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패드는 사회에 소개된 후 채택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유행을 이루며, 하락기에도 급격하게 쇠퇴하여 패용된다. 따라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유지하는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가 짧다. 또한, 패드는 확산속도가 빠르지만 흔희 사회안의 일부 하위 문화집단내에서만 형성되므로, 넓은 사용인구를 갖는 클래식과 대조를 이룬다. 예컨대, 워커의 유행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도시의
추천자료
국제마케팅 전략과 성공사례-<안경벤처기업-뉴스타광학>
[패션 마케팅] 멀티브랜드&#49406;
[사회과학] 패션브랜드 ZARA의 성공마케팅 전략분석
브랜드선호도 와 패션 마케팅 전략
[브랜드마케팅]패션아이템 'ZARA' 의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마케팅원론]LG패션 마케팅전략 분석 및 발전방향(A+리포트)
소매업에서의 주5일 근무제에 시행에 따른 남성복 패션 마케팅 전략
패션브랜드 ZARA의 성공마케팅 전략분석
구호_마케팅,패션브랜드
앙드레김,패션,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
온라인 게임의 스타 마케팅
스포츠 마케팅의 현황, 정의, 스폰서십, 스포츠 스타를 통한 제품 광고, 스포츠 마케팅의 한...
LG패션(LF) 해지스 마케팅 SWOT, STP, 4P전략분석과 해지스 커뮤니케이션전략 분석및 해지스 ...
[국제마케팅 믹스전략 사례] (뉴스타 광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