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2대 신유통 현황 및 전망
1.중국 시장과 소비자
2.중국 유통 체제의 이해
3.TV홈쇼핑
4.인터넷 쇼핑
Ⅲ. 우리 기업의 진출전략
1. 신 유통업 진출전략
2. 신 유통업을 이용한 우리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3. 중국의 유통관행과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Ⅳ. 결론
참고문헌
Ⅱ. 중국의 2대 신유통 현황 및 전망
1.중국 시장과 소비자
2.중국 유통 체제의 이해
3.TV홈쇼핑
4.인터넷 쇼핑
Ⅲ. 우리 기업의 진출전략
1. 신 유통업 진출전략
2. 신 유통업을 이용한 우리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3. 중국의 유통관행과 우리 기업의 대응전략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005년부터는 직접판매(방문판매)가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가능해짐에 따라, 3대 신유통업은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블루오션으로 평가됨.
Ⅱ. 중국의 2대 신유통 현황 및 전망
1.중국 시장과 소비자
한 국가의 1인 평균 GDP가 3,000~10,000달러에 달할 때, 자동차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Motonization이라 하는데 이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2003년, 광저우의 평균 GDP는 약 4,800달러에 달했으며 상하이는 5,000달러, 베이징은 3,500달러에 이르렀다. 2004년 중국의 소비시장 규모는 5.3조 위엔(약 6,500억 달러)로 13.3%의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신 소비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1992년 이래로 소비시장 규모는 약 5배가량 성장하였고, 높은 경제성장에 힘입어 소비시장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1) 중국 소비시장의 선진국형 소비구조 형태로 접근
원바오형 (식품, 의류, 가정용 소비재, 주거 등 기본생계 충족형) 에서 샤오캉형 (교육, 문화, 오락 서비스, 의료, 교통, 통신등 선택저거 소비를 하는 중등생 활형)변모
(2) 중국 시장에서의 도소매업과 요식업의 서비스업 판매 증가
경제성장으로 중산층이 확산되고 중국 소비 붐의 주역으로 자리매김
소매업 개방에 따른 소비재 시장의 발전과 소비수요의 증가
(3) 중국 소비구조의 다원화, 고도화의 실현
2000년대 이후 전통적인 가정소비재의 지출 비중의 감소와 자동차, 통신, 요식업, 주택 등을 비롯한 신흥서비스업 중심
<중국 도시인구 1인당 평균 소비지출 추이>
구분
1985
1990
1995
2000
2001
2002
2003
평균지출
673,2
(100)
1278,9
(100)
3537,6
(100)
4615,9
(100)
5309,1
(100)
6029,9
(100)
6510,9
(100)
식품
351,7
(52.3)
693,7
(54.3)
1766,1
(49.9)
1932,1
(41.9)
2014,2
(37.9)
2271,8
(37.7)
2416,9
(37.1)
의류
98,1
(14.56)
170.9
(13.36)
479,2
(13.6)
482,4
(10.5)
533,7
(10.1)
590,9
(9.8)
637,7
(9.8)
가정용 소비재 및 서비스
57,9
(8.6)
108,5
(10.1)
296,9
(8.4)
395,5
(8.6)
438,9
(8.4)
388,7
(6.5)
410,3
(6.3)
의료
16,7
(2.5)
25,7
(2.1)
110,1
(3.1)
245,6
(5.3)
343,3
(6.5)
430,1
(7.1)
475,9
(7.3)
교통통신
14,4
(2.1)
40,5
(1.2)
171.1
(4.9)
310,5
(6.7)
457,1
(8.6)
626,1
(10.4)
721,1
(11.1)
교육, 문화,
오락
55,1
(8.2)
112,3
(11.1)
312,7
(8.8)
567,1
(12.3)
690,0
(13.0)
902,3
(14.9)
934,4
(14.4)
주거
32,2
(4.8)
60,9
(7.0)
250,2
(7.1)
453,9
(9.8)
547,9
(10.3)
624,4
(10.4)
699,4
(10.7)
잡화
47,2
(7.1)
66.6
(1.0)
151,4
(4.3)
228,8
(5.0)
284,1
(5.4)
195,8
(3.3)
215,1
(3.3)
자료원: KOTRA 정보조사본부(2005), 新소비대국, 중국의 소비트렌드 분석, p.16.
<소비변화 5대 트렌드>
자료원: KOTRA 정보조사본부(2005), 新소비대
중국 소비구조의 다원화, 고도화의 실현으로 중국 소비시장은 아래의 도표와 같이 력셔리 명품을 거부 못하는 고소득층의 형성,\'삶의 질\'을 추구하는 건강과 친환경 소비의 증가를 나타내는 웰빙(Well-being) 트렌드의 형성, IT와 디지털 소비의 주도하는\'소황제\'소비층의 등장, 개인 대출을 통한 고가상품을 구매하는 중산층의 등장, 동서 지역격차 와 빈부 격차 및 도시와 농촌의 격차는 소비의 3대 양극화 심화와 같은 5대 소비 트렌드를 형성 시켰다.
중국의 사치품 수요는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화이트 컬러, 자영업자 등 특정계층이 주도하고 있으며 선진국의 40~70세의 노년층의 명품소비자 그룹과 달리 40세 이하의 젊은 층이 주도하고 있다. 현재 루이비통, 페라가모, 크리스찬 디오르와 같은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가 베이징과 상하이를 중심으로 매장을 추가적으로 오픈 하여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조류독감의 영향으로 건강과 위생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건강관련 상품과 다이어트 용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X세대로 불리는 중국의\'소황제\'계층이 소비계층으로 성장하여 브랜드 선호도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프리미엄 디지털 제품의 주요 소비층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상하이, 베이징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인대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주택용 대출과 자동차용 대출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 구조의 다원화와 고도화의 이면에는 빈부격차와 같은 소득의 양극화와 소비의 양극화를 나타나게 하였다.
중국의 경제, 정치, 사회 등 모든 환경은 변화일로에 있으며, 이러한 제반 환경의 변화는 곧 중국 소비자의 소비행태 변화로 이어지게 된다. 중국 진출 기업은 중국 소비자의 소비 행태와 환경의 변화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전략적 대안을 창출하여야만 경쟁우위 창출과 기업존속이 가능하게 된다.
(4) 중국인이 특유한 소비문화
중국인의 소비문화와 소비심리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분석이 가능하다.
체면중시 문화와 현시 소비문화
이는 특정상품, 서비스에 대한 소비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신분과 지위를 과시하려는 성향을 말하는 것이데,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자신의 가까운 친구나 이웃집에게 절대로 뒤져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래서 중국인 특히 젊은 연령층들은 이런 소비 성향이 뚜렷하다.
불신 문화와 탐문 소비 성향
중국인은 불신 문화 속에 살고 있다. 따라서 TV, 신문 등 매체 광고나 잘 모르는 사람의 말을 액면 그대로 믿지 않는다. 따라서 “
Ⅱ. 중국의 2대 신유통 현황 및 전망
1.중국 시장과 소비자
한 국가의 1인 평균 GDP가 3,000~10,000달러에 달할 때, 자동차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Motonization이라 하는데 이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2003년, 광저우의 평균 GDP는 약 4,800달러에 달했으며 상하이는 5,000달러, 베이징은 3,500달러에 이르렀다. 2004년 중국의 소비시장 규모는 5.3조 위엔(약 6,500억 달러)로 13.3%의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신 소비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1992년 이래로 소비시장 규모는 약 5배가량 성장하였고, 높은 경제성장에 힘입어 소비시장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1) 중국 소비시장의 선진국형 소비구조 형태로 접근
원바오형 (식품, 의류, 가정용 소비재, 주거 등 기본생계 충족형) 에서 샤오캉형 (교육, 문화, 오락 서비스, 의료, 교통, 통신등 선택저거 소비를 하는 중등생 활형)변모
(2) 중국 시장에서의 도소매업과 요식업의 서비스업 판매 증가
경제성장으로 중산층이 확산되고 중국 소비 붐의 주역으로 자리매김
소매업 개방에 따른 소비재 시장의 발전과 소비수요의 증가
(3) 중국 소비구조의 다원화, 고도화의 실현
2000년대 이후 전통적인 가정소비재의 지출 비중의 감소와 자동차, 통신, 요식업, 주택 등을 비롯한 신흥서비스업 중심
<중국 도시인구 1인당 평균 소비지출 추이>
구분
1985
1990
1995
2000
2001
2002
2003
평균지출
673,2
(100)
1278,9
(100)
3537,6
(100)
4615,9
(100)
5309,1
(100)
6029,9
(100)
6510,9
(100)
식품
351,7
(52.3)
693,7
(54.3)
1766,1
(49.9)
1932,1
(41.9)
2014,2
(37.9)
2271,8
(37.7)
2416,9
(37.1)
의류
98,1
(14.56)
170.9
(13.36)
479,2
(13.6)
482,4
(10.5)
533,7
(10.1)
590,9
(9.8)
637,7
(9.8)
가정용 소비재 및 서비스
57,9
(8.6)
108,5
(10.1)
296,9
(8.4)
395,5
(8.6)
438,9
(8.4)
388,7
(6.5)
410,3
(6.3)
의료
16,7
(2.5)
25,7
(2.1)
110,1
(3.1)
245,6
(5.3)
343,3
(6.5)
430,1
(7.1)
475,9
(7.3)
교통통신
14,4
(2.1)
40,5
(1.2)
171.1
(4.9)
310,5
(6.7)
457,1
(8.6)
626,1
(10.4)
721,1
(11.1)
교육, 문화,
오락
55,1
(8.2)
112,3
(11.1)
312,7
(8.8)
567,1
(12.3)
690,0
(13.0)
902,3
(14.9)
934,4
(14.4)
주거
32,2
(4.8)
60,9
(7.0)
250,2
(7.1)
453,9
(9.8)
547,9
(10.3)
624,4
(10.4)
699,4
(10.7)
잡화
47,2
(7.1)
66.6
(1.0)
151,4
(4.3)
228,8
(5.0)
284,1
(5.4)
195,8
(3.3)
215,1
(3.3)
자료원: KOTRA 정보조사본부(2005), 新소비대국, 중국의 소비트렌드 분석, p.16.
<소비변화 5대 트렌드>
자료원: KOTRA 정보조사본부(2005), 新소비대
중국 소비구조의 다원화, 고도화의 실현으로 중국 소비시장은 아래의 도표와 같이 력셔리 명품을 거부 못하는 고소득층의 형성,\'삶의 질\'을 추구하는 건강과 친환경 소비의 증가를 나타내는 웰빙(Well-being) 트렌드의 형성, IT와 디지털 소비의 주도하는\'소황제\'소비층의 등장, 개인 대출을 통한 고가상품을 구매하는 중산층의 등장, 동서 지역격차 와 빈부 격차 및 도시와 농촌의 격차는 소비의 3대 양극화 심화와 같은 5대 소비 트렌드를 형성 시켰다.
중국의 사치품 수요는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화이트 컬러, 자영업자 등 특정계층이 주도하고 있으며 선진국의 40~70세의 노년층의 명품소비자 그룹과 달리 40세 이하의 젊은 층이 주도하고 있다. 현재 루이비통, 페라가모, 크리스찬 디오르와 같은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가 베이징과 상하이를 중심으로 매장을 추가적으로 오픈 하여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조류독감의 영향으로 건강과 위생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건강관련 상품과 다이어트 용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X세대로 불리는 중국의\'소황제\'계층이 소비계층으로 성장하여 브랜드 선호도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프리미엄 디지털 제품의 주요 소비층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상하이, 베이징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개인대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주택용 대출과 자동차용 대출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 구조의 다원화와 고도화의 이면에는 빈부격차와 같은 소득의 양극화와 소비의 양극화를 나타나게 하였다.
중국의 경제, 정치, 사회 등 모든 환경은 변화일로에 있으며, 이러한 제반 환경의 변화는 곧 중국 소비자의 소비행태 변화로 이어지게 된다. 중국 진출 기업은 중국 소비자의 소비 행태와 환경의 변화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전략적 대안을 창출하여야만 경쟁우위 창출과 기업존속이 가능하게 된다.
(4) 중국인이 특유한 소비문화
중국인의 소비문화와 소비심리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분석이 가능하다.
체면중시 문화와 현시 소비문화
이는 특정상품, 서비스에 대한 소비를 통해 자신의 사회적 신분과 지위를 과시하려는 성향을 말하는 것이데, 체면을 중시하는 중국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자신의 가까운 친구나 이웃집에게 절대로 뒤져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래서 중국인 특히 젊은 연령층들은 이런 소비 성향이 뚜렷하다.
불신 문화와 탐문 소비 성향
중국인은 불신 문화 속에 살고 있다. 따라서 TV, 신문 등 매체 광고나 잘 모르는 사람의 말을 액면 그대로 믿지 않는다. 따라서 “
추천자료
소비자보호법에 대하여 = 경제법 레포트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법에 관한 법률의 개관
아모레 퍼시픽 기업소개, 경쟁사분석, 경영전략분석, 새로운전략제안
[불공정거래][불공정거래 사례][전자상거래상][신문시장][금융기관][사이버증권]불공정거래의...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간 갈등 사례, 온라인상의 새로운 Business model
한방화장품 ‘설화수’ 마케팅 분석 및 향후전략
한국야쿠르트 유통전략(정말 잘 되어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브랜드마케팅 성공사례
이니스프리(innisfree) (외부환경 분석, 화장품 산업 분석, 유통구조의 변화, 브랜드 분석, ...
국제 마케팅-서비스마ㅔ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아모레퍼시픽 (AmorePacific) 중국시장진출 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 아모레퍼시픽 기업분석...
암웨이 뉴트리라이트, 암웨이 뉴트리라이트마케팅전략,암웨이마케팅전략,암웨이분석
아모레퍼시픽 성공비결과 SWOT분석및 아모레퍼시픽 마케팅,경영전략,글로벌전략사례및 아모레...
아모레퍼시픽 경영전략해외진출전략마케팅사례분석및 아모레퍼시픽 SWOT분석과 아모레퍼시픽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