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쇠고기 브랜드육의 현황
제 1 절. 브랜드육의 개념 및 브랜드화의 조건
1. 브랜드의 의미
2. 쇠고기 브랜드육의 개념
3. 쇠고기 브랜드화의 조건
제 2 절. 해외 브랜드육의 현황
1. 일본의 소고기 브랜드육 현황 및 특징
2. 미국의 쇠고기 브랜드육 현황 및 특징
제 3 절. 한우 브랜드육 현황과 특성
1. 축산물 브랜드의 현황
2. 한우 브랜드 현황과 특성
제 4 절. 한우 생산, 소비동향 및 구조
1. 한우의 생산동향
2. 쇠고기의 소비동향
3. 한우 유통구조
제 5 절. 한우브랜드육의 문제점
1. 생산, 경영측면
2. 유통, 소비측면
제 3 장. 한미 FTA와 한우 브랜드화 전략
제 4 장. 결론
제 2 장. 쇠고기 브랜드육의 현황
제 1 절. 브랜드육의 개념 및 브랜드화의 조건
1. 브랜드의 의미
2. 쇠고기 브랜드육의 개념
3. 쇠고기 브랜드화의 조건
제 2 절. 해외 브랜드육의 현황
1. 일본의 소고기 브랜드육 현황 및 특징
2. 미국의 쇠고기 브랜드육 현황 및 특징
제 3 절. 한우 브랜드육 현황과 특성
1. 축산물 브랜드의 현황
2. 한우 브랜드 현황과 특성
제 4 절. 한우 생산, 소비동향 및 구조
1. 한우의 생산동향
2. 쇠고기의 소비동향
3. 한우 유통구조
제 5 절. 한우브랜드육의 문제점
1. 생산, 경영측면
2. 유통, 소비측면
제 3 장. 한미 FTA와 한우 브랜드화 전략
제 4 장. 결론
본문내용
<폐쇄육종>이다. 이것은 다지마계이외의 계통을 배제하고, 효고현 독특의 쇠고기 생산을 유지하려는것으로 현내 육용우 생산을 장려하려는것이다. 생산기반의 장기저락경향중에 폐쇄육종을 견지하고, 타산지에대하여 이겨낼수있는 기존의 고베육을 강화하는데 비상의 관심이 되어지고 있다.
이상의 배경으로부터 1983년에 <고베육유통추진협의회>(이하 협의회)가 설립되었다. 조직의 모체는 현식육사업협동조합, 현경제농업협동조합연합회, 현및 소비자협회, 현식육도매조합연합회, 현내운송회사, 현식육환경위생동업조합, 현육용우비육협의회, 현축산회, 고프고우베, 일출농협, 효고현의 생산유통, 소비의 각관련단체로 구성되어진다.
이 협의회의 회원조직은 생산자와 식육판매점, 레스토랑은 지정등록제로하여 다음의 요건을 만족하는 회원에게 회원증과 지정증명서가 교부되어진다.
생산자 : 우수한 비육기술을 소유하고, 년간 3두이상의 고베육우를 출하할 수 있을것.
식육판매점 : 고베육을 년간 12두이상 판매할수 있을것.
레스토랑 : 우수한 요리기술을 보유하고, 고베육을 년간 720kg이상 판매할 수 있을 것.
이러한 기준을 만족시키는 지정회원은 1995년에 생산자 306농가, 식육판매점 291개소, 레스토랑 33개소였다.
그러면 고베육은 어떠한 쇠고기를 지향하는가? 협의회에서 정한 고베육은 본현생산의 밑소로서 현내에서 비육되어 현내식육센터에 출하된것으로서 도체등급은 육질등급의 근내지방도에서 no7이상으로서, 육량등급이 A, B등급일것으로 정의되어지고 있다. 이 정의의 특징은 밑소의 조달방법과 도체등급에 아주엄격하게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체등급에대한 똑같은 제한이 송판우(마쓰사카비프), 전택우등에 있으나, 밑소의 조달에대한 제한은 효고현에 한정되어 있다.
3)미국의 쇠고기 브랜드육 현황 및 특징
미국의 州정부 브랜드화(State Building)의 역사는 193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첫째, 제대로 갖춘 프로그램들은 1980년대 초 공급과잉으로부터 발생된 농업분야의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둘째, 레이건 행정부의 New Federalism과 각종 연방정부 주체의 농산물 수출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주(State)단위의 정책이었다.
셋째, 각 주정부가 주별 농산물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농산물 브랜드화를 추진하였다. 주정부 브랜드화는 주로 각 주의 농정국이 담당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California 주 및 Washington 주와 같이 주정부가 아닌 생산자 단체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필요한 재원의 조달은 대개 주정부의 재정으로 이루어지고, 참여농가난 식품가공업자들로부터는 등록비와 주정부 투자에 비례한 매칭 펀드(matching fund)를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전체적인 투자액은 각 주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작게는 연간 5만달러로부터 많게는 100만달러를 넘어서는 주도 있다.
쇠고기에 대한 미국 농무성의 등급은 크게 세가지(prime, choice,select)로 나뉘어 지는데, 등급 결저의 가장 큰 요인은 육질 내에 지방함량의 정도 이다. 프라임(prime) 쇠고기는 초이스(choice) 쇠고기 보다 약 15% 정도 지방함량이 더 많고, 초이스(choice)는 셀렉트(select) 쇠고기 보다 약 15% 정도의 지방함량이 더 많다.
따라서, 미식가들은 고품질의 적당한 지방함량과 육질이 부드럽고 맛좋은 프라임을 대개 선호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방과 클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프라임에 대한 선호는 점차 떨어지고, 많은 소비자들이 초이스(choice) 쇠고기를 선택하고 있다.
이들은 지방과 콜레스테롤에 대한 걱정 때문에 육질이 다소 질긴 초이스를 선택하지만, 부드럽고 맛좋은 프라임을 잊을 수는 없었는데, 이와 같은 취향에 부응하여 등장한 것이 바로 “Certified Angus Beef”이다.
“Certified Angus Beef”는 미국인들의 프라임에 대한 향수와 지방 및 콜레스테롤에 대한 우려를 잘 절충하여 생산되고 있는 육질이 좋은 상등급 초이스이다.
“Certified Angus Beef”는 축종이나 출하 연령, 기타 지육의 품질에 대한 표준등을 품질기준에 포함하고 있는데, 주목 할만한 것은 그들의 품질기준에 농무성 등급기준을 포함시켜서, “choice or better”로 표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Certified Angus Beef” 사양프로그램을 통해 생산자는 소비자가 이미 알고 있는 정부의 등급기준을 이용해서 브랜드 품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쉽게 전달 할 수 있었고, 정부기관으로 하여금 브랜드 품질을 검증 하도록 함으로써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었다.
미국 내 주정부 브랜드화 프로그램들은 전반적으로 생산자 및 소비자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고 정치적 및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인하여 많은 주에서 실시되고 있지만 크고 작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들 문제점으로는
첫째, 무임승차(free rider)문제이다. 해당주의 브랜드가 품질이나 서비스면에서 차별화되지 않으면 브랜드화의 효과를 보지 못하며, 이 경우 해당주의 상품광고나 판촉활동이 일반적인 제품(generic commodity)의 수요를 증가시켜 해당 주 뿐만 아니라, 다른 주의 제품수요까지도 증가시키게 된다.
둘째, 성공적인 주정부의 브랜드화는 해당 브랜드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지만, 인근 주들의 브랜드에 대한 수요감소를 가져와 국가 전체나 농업전반의 수익증진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셋째, 농산물 브랜드로 인한 수요증가로부터 발생한 이익의 대부분이 도소매업자나 식품가공업자들을 이롭게 하는데 그친다면, 주정부가 재정을 이용하여 브랜드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에 대한 명분이 서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주정부들이 브랜드화 프로그램의 재원에 매칭펀드를 포함시킬 것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제 3 절. 한우 브랜드육 현황과 특성
1.축산물브랜드의 현황
축산물은 소득탄력성이 높고, 고가인 관계로 최근 다양한 브랜드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축산물 중 육류는 축종, 부위에
이상의 배경으로부터 1983년에 <고베육유통추진협의회>(이하 협의회)가 설립되었다. 조직의 모체는 현식육사업협동조합, 현경제농업협동조합연합회, 현및 소비자협회, 현식육도매조합연합회, 현내운송회사, 현식육환경위생동업조합, 현육용우비육협의회, 현축산회, 고프고우베, 일출농협, 효고현의 생산유통, 소비의 각관련단체로 구성되어진다.
이 협의회의 회원조직은 생산자와 식육판매점, 레스토랑은 지정등록제로하여 다음의 요건을 만족하는 회원에게 회원증과 지정증명서가 교부되어진다.
생산자 : 우수한 비육기술을 소유하고, 년간 3두이상의 고베육우를 출하할 수 있을것.
식육판매점 : 고베육을 년간 12두이상 판매할수 있을것.
레스토랑 : 우수한 요리기술을 보유하고, 고베육을 년간 720kg이상 판매할 수 있을 것.
이러한 기준을 만족시키는 지정회원은 1995년에 생산자 306농가, 식육판매점 291개소, 레스토랑 33개소였다.
그러면 고베육은 어떠한 쇠고기를 지향하는가? 협의회에서 정한 고베육은 본현생산의 밑소로서 현내에서 비육되어 현내식육센터에 출하된것으로서 도체등급은 육질등급의 근내지방도에서 no7이상으로서, 육량등급이 A, B등급일것으로 정의되어지고 있다. 이 정의의 특징은 밑소의 조달방법과 도체등급에 아주엄격하게 제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체등급에대한 똑같은 제한이 송판우(마쓰사카비프), 전택우등에 있으나, 밑소의 조달에대한 제한은 효고현에 한정되어 있다.
3)미국의 쇠고기 브랜드육 현황 및 특징
미국의 州정부 브랜드화(State Building)의 역사는 193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첫째, 제대로 갖춘 프로그램들은 1980년대 초 공급과잉으로부터 발생된 농업분야의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둘째, 레이건 행정부의 New Federalism과 각종 연방정부 주체의 농산물 수출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주(State)단위의 정책이었다.
셋째, 각 주정부가 주별 농산물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농산물 브랜드화를 추진하였다. 주정부 브랜드화는 주로 각 주의 농정국이 담당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California 주 및 Washington 주와 같이 주정부가 아닌 생산자 단체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필요한 재원의 조달은 대개 주정부의 재정으로 이루어지고, 참여농가난 식품가공업자들로부터는 등록비와 주정부 투자에 비례한 매칭 펀드(matching fund)를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전체적인 투자액은 각 주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작게는 연간 5만달러로부터 많게는 100만달러를 넘어서는 주도 있다.
쇠고기에 대한 미국 농무성의 등급은 크게 세가지(prime, choice,select)로 나뉘어 지는데, 등급 결저의 가장 큰 요인은 육질 내에 지방함량의 정도 이다. 프라임(prime) 쇠고기는 초이스(choice) 쇠고기 보다 약 15% 정도 지방함량이 더 많고, 초이스(choice)는 셀렉트(select) 쇠고기 보다 약 15% 정도의 지방함량이 더 많다.
따라서, 미식가들은 고품질의 적당한 지방함량과 육질이 부드럽고 맛좋은 프라임을 대개 선호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방과 클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프라임에 대한 선호는 점차 떨어지고, 많은 소비자들이 초이스(choice) 쇠고기를 선택하고 있다.
이들은 지방과 콜레스테롤에 대한 걱정 때문에 육질이 다소 질긴 초이스를 선택하지만, 부드럽고 맛좋은 프라임을 잊을 수는 없었는데, 이와 같은 취향에 부응하여 등장한 것이 바로 “Certified Angus Beef”이다.
“Certified Angus Beef”는 미국인들의 프라임에 대한 향수와 지방 및 콜레스테롤에 대한 우려를 잘 절충하여 생산되고 있는 육질이 좋은 상등급 초이스이다.
“Certified Angus Beef”는 축종이나 출하 연령, 기타 지육의 품질에 대한 표준등을 품질기준에 포함하고 있는데, 주목 할만한 것은 그들의 품질기준에 농무성 등급기준을 포함시켜서, “choice or better”로 표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Certified Angus Beef” 사양프로그램을 통해 생산자는 소비자가 이미 알고 있는 정부의 등급기준을 이용해서 브랜드 품질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쉽게 전달 할 수 있었고, 정부기관으로 하여금 브랜드 품질을 검증 하도록 함으로써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었다.
미국 내 주정부 브랜드화 프로그램들은 전반적으로 생산자 및 소비자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고 정치적 및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인하여 많은 주에서 실시되고 있지만 크고 작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들 문제점으로는
첫째, 무임승차(free rider)문제이다. 해당주의 브랜드가 품질이나 서비스면에서 차별화되지 않으면 브랜드화의 효과를 보지 못하며, 이 경우 해당주의 상품광고나 판촉활동이 일반적인 제품(generic commodity)의 수요를 증가시켜 해당 주 뿐만 아니라, 다른 주의 제품수요까지도 증가시키게 된다.
둘째, 성공적인 주정부의 브랜드화는 해당 브랜드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지만, 인근 주들의 브랜드에 대한 수요감소를 가져와 국가 전체나 농업전반의 수익증진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셋째, 농산물 브랜드로 인한 수요증가로부터 발생한 이익의 대부분이 도소매업자나 식품가공업자들을 이롭게 하는데 그친다면, 주정부가 재정을 이용하여 브랜드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에 대한 명분이 서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주정부들이 브랜드화 프로그램의 재원에 매칭펀드를 포함시킬 것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제 3 절. 한우 브랜드육 현황과 특성
1.축산물브랜드의 현황
축산물은 소득탄력성이 높고, 고가인 관계로 최근 다양한 브랜드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축산물 중 육류는 축종, 부위에
추천자료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의 득과실 (국제통상 FTA 국제무역 무역)
한칠레 FTA의 체결내용및 앞으로의 과제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동북아 경제협력과 세계경제 (한중일 FTA,자유무역협정)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FTA] 한ㆍ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영향과 향후 전망 보고서
[FTA] 한ㆍ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영향과 향후 전망 PPT자료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自由貿易協定, free trade agreement]에 대한 의견
[한중일3국(한국중국일본 삼국), 한중일]한중일3국(한국중국일본 삼국)의 협력현황, FTA(자유...
한국기업의 FTA(Free Trade Agreement : 자유무역협정) 효과적인 활용방안 - 한-터키 FTA.PPT...
[NAFTA] NAFTA(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북미자유무역협정)의 탄생배경과 주요내...
[한국 칠레 FTA 효과, 전망, 영향] ‘한-칠레 FTA’ 가 한국에 주는 의미 - 한-칠레 자유무역협...
세계무역기구(WTO)와 자유무역협정(FTA)은 궁극적으로 각 국가간 관세나 수출입제한조치 등 ...
세계무역기구(WTO)와 자유무역협정(FTA)은 궁극적으로 각 국가 간 관세나 수출입제한조치 등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