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오디세이1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학 오디세이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원시 예술|가상과 현실
벌거벗은 눈
유희, 노동, 주술
황금가지
* 에셔의 세계 1
피그말리온
* 에셔의 세계 2

고대 예술과 미학|가상의 탄생
오시리스의 땅
고귀한 단순함과 고요한 위대함
아테네 학당
* 에셔의 세계 3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원형 극장에서

중세 예술과 미학|가상을 넘어
빛과 어둠
아뉴스 데이
* 에셔의 세계 4
돌로 된 스콜라 철학
성당에서
성자의 유혹
* 에셔의 세계 5
장미의 이름

근대 예술과 미학|가상의 부활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
뒤러의 실험실
* 에셔의 세계 6
바로크의 거장
에스테티카
* 에셔의 세계 7
파리스의 심판
유리알의 유희
극장에서
정신의 오디세이
* 에셔의 세계 8
카페 앞에서

아름다움에 관하여|아름다운 가상
비너스와 네페르티티
* 에셔의 세계 9
미적 범주들
유클리드와 산책을
* 에셔의 세계 10

본문내용

미학 오디세이1 _ 진중권
#. 가상과 현실(원시예술)
<도마뱀> 에셔, 석판, 1943년
도마뱀들은 그림에서 나와서 다시 그림으로 돌아간다. 에셔는 평면과 공간의 대립을 지워버림으로써 가상과 현실을 나누는 두꺼운 벽을 무너뜨린다.
벌거벗은 눈
19세기 말에 처음 발견된 인류 최초의 예술인 구석기인들의 동굴벽화는 생생한 자연주의적 묘사로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에른스트 곰브리치(Ernst H. J. Gombrich, 미술사가)에 따르면 개념적 사유를 하는 인간은 사물을 지각할 때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지(知)의 도식’을 적용하게 된다고 한다. 그러므로 개념적 사유로 무장하지 못한 구석기 시대 원시인들의 ‘벌거벗은 눈’이 그들의 놀라운 자연주의를 설명해주는 것이다.
신석기 시대에 농경이 시작되면서 인간은 정착생활을 시작한다. 농경은 고도의 추상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인간의 사유능력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들은 자연현상의 공통성을 깨닫고 ‘사계절의 순환’이라는 개념을 뽑아냈다. 그 뒤 인간들은 외부세계를 파악, 정복하기 위해 추상적, 기하학적 사유에 의존한다. 그럴수록 그들은 ‘보이는 대로’가 아닌 ‘아는 대로’ 묘사하게 되었다.
유희, 노동, 주술
예술의 기원을 설명하는 세 가지 가설을 살펴보자. 첫 번째, ‘유희기원설’에 따르면 원시예술(벽화, 집단무 등)은 ‘남아도는 에너지의 방출 통로’라고 말한다. 두 번째, 예술은 노동에서 비롯되었다는 가설이다. 말하자면 수렵무, 전쟁무는 힘이 남아돌아서가 아니라 살아남아야 한다는 절박한 필요에서 춤을 추었단 얘기다. 세 번째, ‘가상’을 통해 ‘현실’의 소망을 이루려는 주술적 신앙 때문이라는 가설이다. 벽화나 수렵무 속의 ‘가상’이 그들에게는 곧바로 ‘현실’이었다. 그때는 예술이 주술이고 주술이 예술이었다. 그들이 그토록 고달픈 삶 속에서도 예술 활동을 계속했던 건 이것이 당시로서는 유일한 지식 체계이자 정보 저장과 전달의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알지 못했다. 그러나 행했다.
황금가지
세계가 아직 젊었던 시절, 은유는 사상이었고 상징은 현실이었으며 가상과 현실을 구별하지 않았다. 때문에 그들은 우리보다 더 큰 정신적 자유를 누렸고, 그 분방함을 잡아매둘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었다. 사계절의 순조로운 운행을 위해 그들은 자연 현상을 주술로 재현했다. 먼저 자연의 생장력을 상징하는
  • 가격4,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2.03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9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