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 1. 재료들에 의한 , 화학적 환경 요인
(1) 소금 의 농도와 그 영향
(2) 팩틴 의 영향
(3) 미생물
(4) 산(Acid)
(5) 영양소 및 기타물질
2. 물리적 환경 요인
(1) 온도
(2) 기타 물리적 환경요인
3. 김치의 발효와 숙성과정 중 나타나는
화학적 반응현상들
(1) 삼투압 의 원리
(2) 부패 와 발효
(3) 광학 이성질체
(4) 중화 반응
* 결론
* 본론 - 1. 재료들에 의한 , 화학적 환경 요인
(1) 소금 의 농도와 그 영향
(2) 팩틴 의 영향
(3) 미생물
(4) 산(Acid)
(5) 영양소 및 기타물질
2. 물리적 환경 요인
(1) 온도
(2) 기타 물리적 환경요인
3. 김치의 발효와 숙성과정 중 나타나는
화학적 반응현상들
(1) 삼투압 의 원리
(2) 부패 와 발효
(3) 광학 이성질체
(4) 중화 반응
* 결론
본문내용
야채류에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 아미노산 및 지방질의 좋은 공급원이 되며 김치의 독특한 맛의 형성에도 기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젓갈류는 칼슘 함량이 놓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체액을 중화시켜 주는 역할도 한다.
이렇게 재료에서 화학반응 까지...여태까지 살펴본 김치의 담금 원리는 조미료가 갖고 있는 침투압에 의해 절임된 채소내의 수분이 교환, 배출되어 채소의 풋내 등을 제거하고 동시에 미생물에도 같은 작용을 하여 유해균의 발육을 저해, 부패를 억제하며, 미생물 중 젖산균이나 효소가 일하기 쉬운 조건을 만들어 주어 이들 미생물, 효소의 작용으로 김치가 담가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 작용은 단독이 아니라 2~3개의 작용이 어우러져 작용한다. 이렇게 김치는 수많은 과정의 반복과 조화를 통해 만들어진, 어떻게 말하면 예술품과도 같은 것이라 할수 있겠다.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일상생활속에서, 궁금했었지만 그저 흥미로만 그쳤던 “김치속의 화학”에 대해 더 깊이있고 세세히 알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더욱이 뜻 깊었던 건 재료에서 과정 까지 어느 하나 단순한 과정이 없는 우리의 “ 김치 ”를 보면서 이렇게 김치하나를 만드는 데에도 그 재료, 그 온도와 주변 환경에 따른 조건들을 고려 해 가며 훌륭한 발효과학음식이 탄생하게 된다는 점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문득. 음수사원(飮水思源)이라는 고사성어가 떠오른다. 아마도 이 고사성어와 김치의 과학이
그 과정과의미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때문이라 생각한다.
“과일을 먹을 때는 그 열매를 맺은 나무를 생각하고(落其實者思其樹), 물을 마
실 때는 그 물의 근원을 생각하네(飮其流者懷其源). “
이 음수사원이란 말은 항상 어떤 것을 대할 대 그 근원을 생각하라는 뜻이다. 말하자면 우리가 먹는 하나하나의 음식에 근원에는 항상 무한한 작용과 반응들이 존재하며, 그것의 근원 , 과정의 작용을 간과하고서는 아무것도 이루어 질 수 없다는 것이다.
사소하게 생각했던 내 주위의 이런 작은 화학, 과학 작용들이 현재의 나와 우리의 삶을 얼마나 윤택하게 만들어 가고 있는지에 대해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다시금 근본으로 돌아가게 끔 만들어 준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서명 - “ 김치의 발효와 식품 과학 “ 219, 220, 221, 223 pg
출판사 - 도서출판 효 일
서명 - “ 김치의 담금과 가공 저장 “
출판사 - 도서출판 효 일
이렇게 재료에서 화학반응 까지...여태까지 살펴본 김치의 담금 원리는 조미료가 갖고 있는 침투압에 의해 절임된 채소내의 수분이 교환, 배출되어 채소의 풋내 등을 제거하고 동시에 미생물에도 같은 작용을 하여 유해균의 발육을 저해, 부패를 억제하며, 미생물 중 젖산균이나 효소가 일하기 쉬운 조건을 만들어 주어 이들 미생물, 효소의 작용으로 김치가 담가진다는 것이다. 또한 이들 작용은 단독이 아니라 2~3개의 작용이 어우러져 작용한다. 이렇게 김치는 수많은 과정의 반복과 조화를 통해 만들어진, 어떻게 말하면 예술품과도 같은 것이라 할수 있겠다.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일상생활속에서, 궁금했었지만 그저 흥미로만 그쳤던 “김치속의 화학”에 대해 더 깊이있고 세세히 알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더욱이 뜻 깊었던 건 재료에서 과정 까지 어느 하나 단순한 과정이 없는 우리의 “ 김치 ”를 보면서 이렇게 김치하나를 만드는 데에도 그 재료, 그 온도와 주변 환경에 따른 조건들을 고려 해 가며 훌륭한 발효과학음식이 탄생하게 된다는 점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문득. 음수사원(飮水思源)이라는 고사성어가 떠오른다. 아마도 이 고사성어와 김치의 과학이
그 과정과의미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때문이라 생각한다.
“과일을 먹을 때는 그 열매를 맺은 나무를 생각하고(落其實者思其樹), 물을 마
실 때는 그 물의 근원을 생각하네(飮其流者懷其源). “
이 음수사원이란 말은 항상 어떤 것을 대할 대 그 근원을 생각하라는 뜻이다. 말하자면 우리가 먹는 하나하나의 음식에 근원에는 항상 무한한 작용과 반응들이 존재하며, 그것의 근원 , 과정의 작용을 간과하고서는 아무것도 이루어 질 수 없다는 것이다.
사소하게 생각했던 내 주위의 이런 작은 화학, 과학 작용들이 현재의 나와 우리의 삶을 얼마나 윤택하게 만들어 가고 있는지에 대해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다시금 근본으로 돌아가게 끔 만들어 준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서명 - “ 김치의 발효와 식품 과학 “ 219, 220, 221, 223 pg
출판사 - 도서출판 효 일
서명 - “ 김치의 담금과 가공 저장 “
출판사 - 도서출판 효 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