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영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영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본 영화사의 흐름

2. 일본 영화의 전반적 특징

3. 일본의 거장 감독들

4. 일본 영화산업 분석
- 영화산업의 흐름
- 일본영화 제작환경의 특징
- 현행 영화 제작 구조
- 한국에 수입된 영화 소개

5. 생각해볼 문제

본문내용

상계기로 서구의 영화계에 일본 영화가 널리 알려졌고, 이어 미조구치 겐지의<西鶴一代女(사이카쿠 이치다이온나)>(1952), <우게츠이야기雨月物語>(1953), 샨쇼 대부(1954)가 베니스 영화제에서 3회 연속 수상하면서 오스 야스지로를 포함한 일본 영화의 3대 거장이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1997년 제50회 깐느 영화제에서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은 <우나기>가 그랑프리를, 가와세 나오미 감독은 데뷔작 <모에노 스사쿠>로 최우수 신인 감독상을 최연소 수상 기타노 다케시 감독은 로 베니스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 이치가와 준 감독은 <동경야곡>으로 몬트리올 영화제에서 최우수 감독상을 받았다.
일본 영화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다양성 속에서 꾸준히 자기 세계를 추구하는 감독들의 영화에 대한 열정과 각고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1997년 까지 각 영화제의 대상을 비롯한 상 종합>
미국 아카데미상 7개의 상을 수상
이탈리아 베니스 영화제 17개의 상을 수상
프랑스 깐느 영화제 14개의 상을 수상
독일 베를린 영화제 14개의 상을 수상
· 대표적 수상례
1951년- 구로사와 아키라 <라쇼몽> 베니스 영화제 금사자상 수상
1954년- 기누가사 데이노스케 <지옥문> 깐느 영화제 그랑프리 수상
1958년- 이나가키 히로시 <무호마쓰의 일생> 베니스 영화제 금사자상 수상
1980년- 구로사와 아키라 <가게무샤> 깐느 영화제 그랑프리 수상
1983년- 이마무라 쇼헤이 <나라야마부시코> 깐느 영화제 그랑프리 수상
1997년- 이마무라 쇼헤이 <우나기> 깐느 영화제 그랑프리 수상
기타노 다케시 베니스 영화제 금사자상 수상
2002년- 미야자키 하야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베를린 영화제 금곰상
3. 일본의 거장 감독들
-일본의 3대 영화 감독
미조구치 겐지/ 오즈 야스지로/ 구로자와 아키라
- 미조구치 겐지 (溝口健二)
· 탐미적 미학을 추구한 일본의 대표적 영화감독
롱 테이크 촬영기법으로 탐미적 경향을 표현해 독자적인 경지에 오름.
· <미조구치스타일> : 긴 호흡으로 사물과 사건을 바라보는 롱테이크와 원신 원숏(플랑 세캉스)촬영이 영화 교과서에 올라있다.
· 1953년 베니스영화제 은사자상 《우게쓰이야기(雨月物語)》
· 대표작:《오하루의 일생》, 《우게쓰 이야기》
- 오즈 야스지로 (小津安二郞)
· 가장 일본적인 감독. 그러나 가장 ‘보편성’을 추구한 감독으로 구로사와 아키라나 미조구치 겐지는 일본색을 띠운 시대극을 주로 만든 반면 오즈 야스지로는 ‘현대극’을 주로 만들었다.
‘가족의 해체’라는 일관된 주제로 서민들의 일상적인 삶을 영화 속에 담아 내었다.
· <다다미 쇼트>: 다다미 생활을 하는 일본인의 눈높이에서 사물을 보는 로(low) 앵글의 카메라 촬영방식.
영화의 촬영 기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 <일상적 리얼리즘> : 현실과 일정한 거리를 두는 정적인 영상을 통하여 깊은 인간 통찰력에 입각하여 관조적으로 주인공이 살아가는 시대상을 담아낸다 -> 이와이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08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1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