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힌두교의 문화, 사회적 특징
◆ 힌두교의 특성
1) 힌두교는 다신교이다.
2) 힌두교는 범신론적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3) 힌두교의 특정 신에는 여러 화신이 있다.
4) 힌두교의 신은 인간적인 측면을 많이 가지고 있다.
5) 힌두교는 다양성을 인정한다.
6) 힌두교는 다양성 가운데 통합성이 있다.
7) 힌두교에는 다양한 종파(Sect)가 있다.
8) 힌두교는 사상적으로 포용적이다.
9) 힌두교는 신앙 행위에 있어서 관용적이다.
10) 힌두교는 출생 종교이며, 그런 면에서 배타성이 강하다.
11) 힌두교의 이론적 바탕이 인도 철학이고, 인도 철학의 실천이 곧 힌두교이다.
12) 힌두교는 점진적이고 온건한 변화를 추구한다.
13) 힌두교의 신들은 다양한 신화 속에서 발전해 왔다.
14) 힌도교는 종교상의 교리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 인도 사회와 힌두교
1) 인도의 가족제도
2) 카스트 제도
① 족내혼을 엄격하게 준수.
② 전통적인 직업 세습
③ 음식물에 관한 금기
◆ 힌두교인의 종교생활
1) 힌두교에서 다르마와 인생의 덕목
① 아르타
② 카마
③ 다르마
④ 모크샤
2) 생활의 네 가지 주기
① 학생기
② 가주기
③ 임주기
④ 유행기
3) 가정에서 종교생활
4) 통과 의례
2. 종교 속의 종교 - 힌두교의 여러 종파
1) 비슈누 파
(1)비쉬누의 형상
(2)비쉬누의 권화(權化)
2) 쉬바 파
(1)쉬바의 형상
(2)쉬바의 가족
3) 탄트라교와 샤크티교
4) 민속 힌두교
5) 스므리티 파와 기타 종파
① 힌두교의 개혁파
② 구루 나나크와 산트의 교리
③ 시크교의 신관
④ 시크교의 세계관
⑤ 시크교의 핵심
⑥ 독특한 규칙과 의식들
3. 세계 속의 힌두교 - 종교 분쟁, 그리고 현대 인도의 현상과 문제점
1) 종교의 차이에 따른 인도의 분리
◉ 카슈미르 분쟁
◉스리랑카 분쟁
◇ 타밀엘람해방호랑이
◇ 실패로 돌아간 인도의 개입
◇ 다시 불붙는 내전
◉ 힌두교와 기독교의 대립
◉ 힌두인의 불교로의 개종 증가
2) 현대인도 힌두교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문제점
(1) 종교 간의 충돌(이슬람과 시크교의 영향)
(2) 종교사회개혁운동
① 브라모 협회(유일신 종교운동)
② 아리아협회(인도 전통에 대한 강조)
③ 라마크리슈나 운동(전통의 재해석)
④ 신지회
(3) 세속화에 따른 현대 인도의 종교분쟁
◉ 불가촉 천민의 개종과 인도의 개종 금지법 제정
Ⅳ. 결 론
Ⅱ. 본 론
1. 힌두교의 문화, 사회적 특징
◆ 힌두교의 특성
1) 힌두교는 다신교이다.
2) 힌두교는 범신론적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3) 힌두교의 특정 신에는 여러 화신이 있다.
4) 힌두교의 신은 인간적인 측면을 많이 가지고 있다.
5) 힌두교는 다양성을 인정한다.
6) 힌두교는 다양성 가운데 통합성이 있다.
7) 힌두교에는 다양한 종파(Sect)가 있다.
8) 힌두교는 사상적으로 포용적이다.
9) 힌두교는 신앙 행위에 있어서 관용적이다.
10) 힌두교는 출생 종교이며, 그런 면에서 배타성이 강하다.
11) 힌두교의 이론적 바탕이 인도 철학이고, 인도 철학의 실천이 곧 힌두교이다.
12) 힌두교는 점진적이고 온건한 변화를 추구한다.
13) 힌두교의 신들은 다양한 신화 속에서 발전해 왔다.
14) 힌도교는 종교상의 교리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 인도 사회와 힌두교
1) 인도의 가족제도
2) 카스트 제도
① 족내혼을 엄격하게 준수.
② 전통적인 직업 세습
③ 음식물에 관한 금기
◆ 힌두교인의 종교생활
1) 힌두교에서 다르마와 인생의 덕목
① 아르타
② 카마
③ 다르마
④ 모크샤
2) 생활의 네 가지 주기
① 학생기
② 가주기
③ 임주기
④ 유행기
3) 가정에서 종교생활
4) 통과 의례
2. 종교 속의 종교 - 힌두교의 여러 종파
1) 비슈누 파
(1)비쉬누의 형상
(2)비쉬누의 권화(權化)
2) 쉬바 파
(1)쉬바의 형상
(2)쉬바의 가족
3) 탄트라교와 샤크티교
4) 민속 힌두교
5) 스므리티 파와 기타 종파
① 힌두교의 개혁파
② 구루 나나크와 산트의 교리
③ 시크교의 신관
④ 시크교의 세계관
⑤ 시크교의 핵심
⑥ 독특한 규칙과 의식들
3. 세계 속의 힌두교 - 종교 분쟁, 그리고 현대 인도의 현상과 문제점
1) 종교의 차이에 따른 인도의 분리
◉ 카슈미르 분쟁
◉스리랑카 분쟁
◇ 타밀엘람해방호랑이
◇ 실패로 돌아간 인도의 개입
◇ 다시 불붙는 내전
◉ 힌두교와 기독교의 대립
◉ 힌두인의 불교로의 개종 증가
2) 현대인도 힌두교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문제점
(1) 종교 간의 충돌(이슬람과 시크교의 영향)
(2) 종교사회개혁운동
① 브라모 협회(유일신 종교운동)
② 아리아협회(인도 전통에 대한 강조)
③ 라마크리슈나 운동(전통의 재해석)
④ 신지회
(3) 세속화에 따른 현대 인도의 종교분쟁
◉ 불가촉 천민의 개종과 인도의 개종 금지법 제정
Ⅳ. 결 론
본문내용
도에서 나타나고 있는 불가촉 천민의 개종이 계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개종의 증가와 함께 힌두교 신자의 수는 감소하고 타 종교의 유입과 신자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인도 정부는 개종 금지법을 제정하여 인도인의 개종을 반대하며 타 종교에 대한 적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현대 인도에서는 타 종교인에 대한 박해 또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과연 불가촉 천민의 개종을 막을 수 있는가?
- 인도의 신분제도와 달리트들의 탈 힌두교 바람 -
라비 투르카네는 인도의 젊은 엔지니어이다. 그는 지금 신을 벗고 두 손을 모으고 땡볕 아래서도 아랑곳하지 않고 기도하며 진정한 불교도가 되기 위하여 정진하고 있다. "나는 오늘부터 힌두교 신자가 아니다. 더 이상 힌두 우상에게 기도하러 사원에 갈 필요가 없다. 오늘부터 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불자이다." 투르카네는 이렇게 되뇌이고 있다. 그가 사는 지방에서도 이와 같이 하층 카스트에 속한 인도인들이 힌두교를 이탈하여 다른 종교, 특히 불교로 개종하는 사례가 많다. 전국적으로 수백만의 최하층 천민들이 이렇게 개종을 하고 있는데 그 개종의 근본 원인을 들여다보면 영적인 문제가 아닌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개종을 해야만 3천년간 그들을 짓눌러왔던 지긋지긋한 카스트제도에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카스트제도는 최상계급인 소수의 브라만들 이외에는 존중받지 못하는 제도이고, 그들은 더 이상 이 제도의 영향력 아래 머물러 있고 싶지 않은 것이다.
- 인도소식 중에서 -
앞서 인도에서 불교로의 개종이 많아지고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개종을 요구하는 대부분의 계층은 달리트(=불가촉천민)들이다. 이들은 7천년 억압의 역사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지만 힌두국가인 인도에서 이는 쉬운 일이 아니다. 비록 법적으로 카스트제도가 사라지긴 하였지만 아직도 그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은 여전히 존재 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는 이들의 개종을 반대하고 나섰으며 개종 금지법까지 제정하여 다른 종교로의 개종에 대한 법적 제제를 가하고 있다. 과연 인도의 이런 처사가 당연한 것이라 말 할 수 있는가? 우리는 이런 인도의 현실에 대하여 무엇을 느낄 수 있는가?
Ⅳ. 결 론
힌두교는 서구적인 관점, 특히 기독교나 이슬람과 같은 유일신교의 관점에서 볼 때 종교의 주요형성요소가 되는 특정 창시자나 공통된 교리체계와 관행 또는 체계화된 종교조직 그리고 모든 신자들이 공유하는 특정 경전 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힌두교는 오히려 단일한 신앙이나 행위체계가 아닌 '힌두인들이 믿는 다양한 종교형태들의 복합체'라고 할 수 있다. 놀라운 점은 그러한 다양한 이질적인 요소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앞서 지적한 다양성과 더불어 힌두교의 또 다른 특성인 통합성과 관용성의 문제와 만나게 된다. 이 통합성 속의 다양성 또는 다양성 속의 통합성 그리고 그와 관련된 관용성의 특성은 배제하기보다는 수용하려는 경향을 지닌 인도인의 속성에서 비롯된 듯하다. 힌두인들은 자신들의 종교를 '사다나(Sadhana)'로 이해한다. 이 말은 목표에 이르다, 목표를 달성하다를 뜻하는 어근 사다(Sadha)에서 나온 말로 목표와 목표에 이르는 수단, 그리고 진리와 진리에 이르는 길 모두를 의미한다. 즉 사다나는 '삶의 최고의 목표에 이르는 길' 또는 '그것을 달성하는(실현하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목표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가 곧바로 힌두교에 대한 이해의 핵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목표란 바로 윤회(輪廻, Samsara)로부터의 해탈(解脫, Mukti 또는 Moksa)이다. 인도인들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존재상황과 세계를 고통스러운 것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그 고(苦)인 삶이 되풀이되어 윤회된다고 믿는다. 이러한 재생(再生)의 되풀이인 윤회의 원인은 인간의 무지(無知)와 욕망 또는 집착 등으로 해서 하게 되는 행위, 즉 업(業, Karma)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이와 같이 윤회가 고로 파악되기 때문에 그 윤회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해탈이 삶의 최고의 목표로 제시되게 된다. 따라서 힌두교는 '윤회로부터 해탈에 이르는 길 또는 진리'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여기서 우리는 힌두교의 다양성과 복합성, 그리고 그것의 조화로운 공존을 하나의 통합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종교형태의 다양성은 동일한 목표 즉 윤회로부터 해탈에 이르게 하는 여러 가지 다른 길들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얼핏 보아 전혀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 않을 것 같아 보이는 현상들 즉 소에 대한 숭배, 많은 신들에게 바쳐지는 다양한 의례, 요가 수행, 고도의 사상체계 등등은 그들이 인간의 궁극적인 추구점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란 점에서 일치된다. 바로 이러한 점이 인도인들로 하여금 힌두교를 믿게 만드는 추진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힌두교는 그 다양성을 인정함으로써 다른 종교를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 비록 힌두교의 뿌리 깊은 역사와 카스트 제도의 밀접한 연관성은 ‘차별’이라는 악습을 낳아 현대에 들어와 인도의 발전을 저해 시키는 요소로 지적되어 오고 있지만 힌두교 자체를 부정만 할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금까지 힌두교의 여러 특성들과 성격, 그리고 종류를 비롯한 세계 종교인 힌두교의 여러 현상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상의 정리를 통하여 우리가 조금 더 힌두교와 가까워 질 수 있었기를 바란다.
<< 참 고 문 헌 >>
■ 스가누마 아키라, 1993,『힌두교 입문』 , 문을식 역, 여래
■ 스가누마 아키라, 2003,『힌두교』,문을식 역, 여래
■ 제임스F.루이스 윌리엄 G.트레비스 , 1995, 『세계의 종교와 관습』, 도서출판 은성
■ 이은구, 1997, 『힌두교의 이해』, 세창출판사
■ 이재숙이광수, 『마누법전』, 한길사
■ 정태혁, 『인도종교철학사』, 김영사
■ 정승석, 『리그베다』, 김영사
■ 홍윤기, 『힌두교와 불교』, 한국신학연구소
■ 이광수, 『인도문화』,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 로버트 찰스 제너, 『힌두이즘』, 여래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출판사
■ 인터넷 - 다음, NAVER 백과사전
- 인도의 신분제도와 달리트들의 탈 힌두교 바람 -
라비 투르카네는 인도의 젊은 엔지니어이다. 그는 지금 신을 벗고 두 손을 모으고 땡볕 아래서도 아랑곳하지 않고 기도하며 진정한 불교도가 되기 위하여 정진하고 있다. "나는 오늘부터 힌두교 신자가 아니다. 더 이상 힌두 우상에게 기도하러 사원에 갈 필요가 없다. 오늘부터 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불자이다." 투르카네는 이렇게 되뇌이고 있다. 그가 사는 지방에서도 이와 같이 하층 카스트에 속한 인도인들이 힌두교를 이탈하여 다른 종교, 특히 불교로 개종하는 사례가 많다. 전국적으로 수백만의 최하층 천민들이 이렇게 개종을 하고 있는데 그 개종의 근본 원인을 들여다보면 영적인 문제가 아닌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개종을 해야만 3천년간 그들을 짓눌러왔던 지긋지긋한 카스트제도에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카스트제도는 최상계급인 소수의 브라만들 이외에는 존중받지 못하는 제도이고, 그들은 더 이상 이 제도의 영향력 아래 머물러 있고 싶지 않은 것이다.
- 인도소식 중에서 -
앞서 인도에서 불교로의 개종이 많아지고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개종을 요구하는 대부분의 계층은 달리트(=불가촉천민)들이다. 이들은 7천년 억압의 역사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지만 힌두국가인 인도에서 이는 쉬운 일이 아니다. 비록 법적으로 카스트제도가 사라지긴 하였지만 아직도 그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은 여전히 존재 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는 이들의 개종을 반대하고 나섰으며 개종 금지법까지 제정하여 다른 종교로의 개종에 대한 법적 제제를 가하고 있다. 과연 인도의 이런 처사가 당연한 것이라 말 할 수 있는가? 우리는 이런 인도의 현실에 대하여 무엇을 느낄 수 있는가?
Ⅳ. 결 론
힌두교는 서구적인 관점, 특히 기독교나 이슬람과 같은 유일신교의 관점에서 볼 때 종교의 주요형성요소가 되는 특정 창시자나 공통된 교리체계와 관행 또는 체계화된 종교조직 그리고 모든 신자들이 공유하는 특정 경전 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힌두교는 오히려 단일한 신앙이나 행위체계가 아닌 '힌두인들이 믿는 다양한 종교형태들의 복합체'라고 할 수 있다. 놀라운 점은 그러한 다양한 이질적인 요소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으면서 조화를 이루며 공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앞서 지적한 다양성과 더불어 힌두교의 또 다른 특성인 통합성과 관용성의 문제와 만나게 된다. 이 통합성 속의 다양성 또는 다양성 속의 통합성 그리고 그와 관련된 관용성의 특성은 배제하기보다는 수용하려는 경향을 지닌 인도인의 속성에서 비롯된 듯하다. 힌두인들은 자신들의 종교를 '사다나(Sadhana)'로 이해한다. 이 말은 목표에 이르다, 목표를 달성하다를 뜻하는 어근 사다(Sadha)에서 나온 말로 목표와 목표에 이르는 수단, 그리고 진리와 진리에 이르는 길 모두를 의미한다. 즉 사다나는 '삶의 최고의 목표에 이르는 길' 또는 '그것을 달성하는(실현하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 목표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가 곧바로 힌두교에 대한 이해의 핵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목표란 바로 윤회(輪廻, Samsara)로부터의 해탈(解脫, Mukti 또는 Moksa)이다. 인도인들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존재상황과 세계를 고통스러운 것으로 파악할 뿐만 아니라 그 고(苦)인 삶이 되풀이되어 윤회된다고 믿는다. 이러한 재생(再生)의 되풀이인 윤회의 원인은 인간의 무지(無知)와 욕망 또는 집착 등으로 해서 하게 되는 행위, 즉 업(業, Karma)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이와 같이 윤회가 고로 파악되기 때문에 그 윤회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해탈이 삶의 최고의 목표로 제시되게 된다. 따라서 힌두교는 '윤회로부터 해탈에 이르는 길 또는 진리'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여기서 우리는 힌두교의 다양성과 복합성, 그리고 그것의 조화로운 공존을 하나의 통합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종교형태의 다양성은 동일한 목표 즉 윤회로부터 해탈에 이르게 하는 여러 가지 다른 길들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얼핏 보아 전혀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 않을 것 같아 보이는 현상들 즉 소에 대한 숭배, 많은 신들에게 바쳐지는 다양한 의례, 요가 수행, 고도의 사상체계 등등은 그들이 인간의 궁극적인 추구점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란 점에서 일치된다. 바로 이러한 점이 인도인들로 하여금 힌두교를 믿게 만드는 추진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힌두교는 그 다양성을 인정함으로써 다른 종교를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 비록 힌두교의 뿌리 깊은 역사와 카스트 제도의 밀접한 연관성은 ‘차별’이라는 악습을 낳아 현대에 들어와 인도의 발전을 저해 시키는 요소로 지적되어 오고 있지만 힌두교 자체를 부정만 할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금까지 힌두교의 여러 특성들과 성격, 그리고 종류를 비롯한 세계 종교인 힌두교의 여러 현상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상의 정리를 통하여 우리가 조금 더 힌두교와 가까워 질 수 있었기를 바란다.
<< 참 고 문 헌 >>
■ 스가누마 아키라, 1993,『힌두교 입문』 , 문을식 역, 여래
■ 스가누마 아키라, 2003,『힌두교』,문을식 역, 여래
■ 제임스F.루이스 윌리엄 G.트레비스 , 1995, 『세계의 종교와 관습』, 도서출판 은성
■ 이은구, 1997, 『힌두교의 이해』, 세창출판사
■ 이재숙이광수, 『마누법전』, 한길사
■ 정태혁, 『인도종교철학사』, 김영사
■ 정승석, 『리그베다』, 김영사
■ 홍윤기, 『힌두교와 불교』, 한국신학연구소
■ 이광수, 『인도문화』,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 로버트 찰스 제너, 『힌두이즘』, 여래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출판사
■ 인터넷 - 다음, NAVER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