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에너지 자원의 개발
(1) 우리 나라 에너지 자원의 현황과 개발 전망
(2) 미래의 에너지 자원
(3) 에너지 변환 장치
3. 수송기술
(1) 수송 기술의 발달 과정
(2)자동차의 구조
4. 자동차의 운전 및 정비
(1) 기관의 시동 전의 점검과 정비
(2) 기관의 시동
(3) 기관 시동 후의 점검과 정비
(4) 주행
(1) 우리 나라 에너지 자원의 현황과 개발 전망
(2) 미래의 에너지 자원
(3) 에너지 변환 장치
3. 수송기술
(1) 수송 기술의 발달 과정
(2)자동차의 구조
4. 자동차의 운전 및 정비
(1) 기관의 시동 전의 점검과 정비
(2) 기관의 시동
(3) 기관 시동 후의 점검과 정비
(4) 주행
본문내용
동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한다. 하이포이드 기어
(마) 차동 기어
① 자동차가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바퀴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 미끄럼 없이 주행토록 한다.
P110 제37차시
4 조향 장치 : 앞바퀴를 주행에 필요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장치
1. 앞바퀴 정렬 : 조향이 잘되도록 앞바퀴에 어느 정도 각도를 두는 것
. 토인 : 위에서 볼 때, 앞쪽 거리가 짧은 것
. 캠버 : 정면에서 볼 때, 위쪽이 더 벌어져 있는 것
. 캐스터
. 토아웃 등
2. 조향 장치의 구성 : [그림2-60]을 알아보자.
5 제동 장치
1. 용도에 따른 종류
① 풋 브레이크 (마찰식) : 주행 중에 감속 또는 정지용 , 4바퀴 제동
② 핸드 브레이크 (마찰식) : 주차용, 뒷바퀴 제동
③ 감속 브레이크(보조 브레이크) : 비마찰식
--- 상용 브레이크를 보호하고, 제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긴 경사로를 내려갈 때,
급 감속할 때 사용한다.(엔진 브레이크)
2. 제동과정
탐 구
유압식 브레이크의 작동 과정을 알아보자. (그림 2-61, 2-62, 2-63)
. 페달 마스터 실린더 파이프 휠 실린더 브레이크 슈 브레이크 드럼 바퀴
① 브레이크 페달 : 지렛대의 원리 이용, 누르는 힘이 마스터 실린더에 전달된다.
② 마스터 실린더 : 오일 탱크, 실린더 (그림 2-62)
③ 휠 실린더 (그림 2-63) -- 브레이크 슈 (드럼의 회전을 억제), 브레이크 라이닝
-- 브레이크 드럼 : 림, 원판부, 냉각핀
3. 디스크 브레이크 : 브레이크 드럼 대신 원판을 사용, 제동력 좋다.
4. ABS( anti-lock brake system )
1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 정지 거리를 최소화, 방향 안정성, 조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
현가 장치
1. 기능 : 앞차축이나 뒤차축을 지지하는 장치
2. 역할
. 차체의 상하 진동을 완화하고, 전후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 구동 바퀴로부터 구동력과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
3. 구성
1 현가 스프링 : 바퀴에 가해진 충격을 일시에 흡수 (판형, 코일형)
2 쇽옵저버 : 현가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흡수, 승차감 향상과 스프링의 피로를 감소시킴
3 스태빌라이저 :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완화하여 차의 평형을 유지한다.
P 114 4. 자동차의 운전 및 정비 제38차시
(1) 기관의 시동 전의 점검과 정비
1. 엔진 오일의 점검
1 평탄한 곳, 기관의 시동을 멈추고 5분 후 실시
2 오일 레벨 게이지를 뽑아 깨끗하게 닦은 후 꽂았다가 뽑아내어 검사
3 레벨 게이지의 눈금 : 오일이 아래(MIN)와 윗눈금(MAX) 사이에 있도록 보충
2. 냉각수의 점검
1 반드시 기관이 냉각된 상태에서 실시
2 주행 중, 온도 계기의 지침이 비정상으로 높아지면 냉각수의 양을 점검
3 냉각수 보충 : 라디에이터와 보조 탱크에도 보충
3. 팬 벨트의 점검과 정비
1 성능 점검 : 팬 벨트의 중앙부를 눌러보아 늘어졌을 경우, 휨량이 9∼10㎜ 정도 여유 있게 한다.
2 팬 벨트의 교환 시기 : 흠, 마모, 균열이 있는 경우
3 장력이 양호하지 못하면 : 발전기의 충전 기능 저하, 엔진 과열(라디에이터 냉각 불량)
4. 공기 청정기의 점검과 정비
1 엘리먼트의 먼지, 찌꺼기로 오염
2 엘리먼트가 오염되면 : 불완전 연소, 연료의 과다 소비, 유해 가스 배출
5. 타이어의 점검과 정비 (그림 2-65)
1 점검 사항 : 공기압, 마모 정도, 고정 볼트의 죔 상태, 금속.유리 조각의 박힘
2 부적절한 공기압 : 타이어의 마모, 안전성, 조향성, 연료 소비, 안락감 등에 영향을 준다.
6. 연료의 점검
1 연료계의 눈금으로 확인 : F(full), 또는 E(empty)로 표시
2 경고등에 불이 켜지면 보충
P116 (2) 기관의 시동
1. 시동 준비
① 주차 브레이크 잠금 상태
② 모든 전기 장치 OFF 상태, 변속기는 중립에 위치
3 시동 스위치(키)를 START 위치까지 돌린다. (5∼10초 이내)
4 곧 시동이 되지 않을 때는 약 10초 정도 후에 다시 조작
2. 기관의 시동
① 냉각된 기관의 시동 (겨울철 기관이 냉각되었을 경우)
: 여러 번 시동을 시도하여, 실린더에 과도한 연료가 들어간 경우
→ 가속 페달을 완전히 밟고 시동키를 약 10초간 START 위치로 하여 제거한다.
→ 페달에서 발을 떼고 다시 시동을 건다.
② 가열된 기관의 시동
→ 가속 페달을 절반 정도 밟고 시동키를 돌려 시동시킨다.
P117 (3) 기관 시동 후의 점검과 정비 제39차시
1. 점검
1 충전 경고등, 유압 경고등 점검
2 기관의 작동 소리 원활한지 확인
3 백미러, 사이드미러의 방향 적정 여부 점검
4 각종 램프의 작동 확인 : 전조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후진등, 비상등
5 유격 확인 :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 핸들
배기 가스의 상태 점검
고 찰
배기 가스의 색깔과 기관의 상태를 알아보자.
색 깔
기관의 상태
무색 또는 엷은 보라색
정상
흰색 또는 짙은 회색
연소실 내에서 윤활유가 연소
검은색
혼합기의 농도가 너무 진하다.
P118 (4) 주행
1. 출발 : 시동을 걸고
1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고, 변속 레버를 1속에 옮겨 놓고, 주차 브레이크를 푼다.
2 출발 신호(방향 지시등)를 하고, 후사경으로 후방을 살펴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3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천천히 떼면서, 가속 페달을 밟아서 출발, 방향 지시등을 원상회복
2. 안전 운행
1 핸들 조작 : 속도를 충분히 낮춘 후 무리하지 않게 조작
2 변속 : 주행 상태에 알맞게 변속
3 브레이크 조작 : 2∼3회 천천히 밟아 속도를 줄인다.
4 교통 법규 : 안전 표시판(그림 2-68)을 주시하고, 법령에 따른 속도, 앞지르기, 차선지키기 등의
법규를 준수한다.
5 정차 -- 브레이크를 2-3회 밟아 천천히 감속, 급히 정지하면 추돌 사고 원인
--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변속기 레버 중립에 놓고, 시동을 멈춘다.
실습 과제
엔진 오일(윤활유)의 점검 및 교환 (122쪽)
1. 실습 유의사항
2. 실습 순서
1) 윤활유의 유면 검사 및
보충
2) 윤활유 교환
(마) 차동 기어
① 자동차가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바퀴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 미끄럼 없이 주행토록 한다.
P110 제37차시
4 조향 장치 : 앞바퀴를 주행에 필요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장치
1. 앞바퀴 정렬 : 조향이 잘되도록 앞바퀴에 어느 정도 각도를 두는 것
. 토인 : 위에서 볼 때, 앞쪽 거리가 짧은 것
. 캠버 : 정면에서 볼 때, 위쪽이 더 벌어져 있는 것
. 캐스터
. 토아웃 등
2. 조향 장치의 구성 : [그림2-60]을 알아보자.
5 제동 장치
1. 용도에 따른 종류
① 풋 브레이크 (마찰식) : 주행 중에 감속 또는 정지용 , 4바퀴 제동
② 핸드 브레이크 (마찰식) : 주차용, 뒷바퀴 제동
③ 감속 브레이크(보조 브레이크) : 비마찰식
--- 상용 브레이크를 보호하고, 제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긴 경사로를 내려갈 때,
급 감속할 때 사용한다.(엔진 브레이크)
2. 제동과정
탐 구
유압식 브레이크의 작동 과정을 알아보자. (그림 2-61, 2-62, 2-63)
. 페달 마스터 실린더 파이프 휠 실린더 브레이크 슈 브레이크 드럼 바퀴
① 브레이크 페달 : 지렛대의 원리 이용, 누르는 힘이 마스터 실린더에 전달된다.
② 마스터 실린더 : 오일 탱크, 실린더 (그림 2-62)
③ 휠 실린더 (그림 2-63) -- 브레이크 슈 (드럼의 회전을 억제), 브레이크 라이닝
-- 브레이크 드럼 : 림, 원판부, 냉각핀
3. 디스크 브레이크 : 브레이크 드럼 대신 원판을 사용, 제동력 좋다.
4. ABS( anti-lock brake system )
1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 정지 거리를 최소화, 방향 안정성, 조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
현가 장치
1. 기능 : 앞차축이나 뒤차축을 지지하는 장치
2. 역할
. 차체의 상하 진동을 완화하고, 전후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 구동 바퀴로부터 구동력과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
3. 구성
1 현가 스프링 : 바퀴에 가해진 충격을 일시에 흡수 (판형, 코일형)
2 쇽옵저버 : 현가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흡수, 승차감 향상과 스프링의 피로를 감소시킴
3 스태빌라이저 :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완화하여 차의 평형을 유지한다.
P 114 4. 자동차의 운전 및 정비 제38차시
(1) 기관의 시동 전의 점검과 정비
1. 엔진 오일의 점검
1 평탄한 곳, 기관의 시동을 멈추고 5분 후 실시
2 오일 레벨 게이지를 뽑아 깨끗하게 닦은 후 꽂았다가 뽑아내어 검사
3 레벨 게이지의 눈금 : 오일이 아래(MIN)와 윗눈금(MAX) 사이에 있도록 보충
2. 냉각수의 점검
1 반드시 기관이 냉각된 상태에서 실시
2 주행 중, 온도 계기의 지침이 비정상으로 높아지면 냉각수의 양을 점검
3 냉각수 보충 : 라디에이터와 보조 탱크에도 보충
3. 팬 벨트의 점검과 정비
1 성능 점검 : 팬 벨트의 중앙부를 눌러보아 늘어졌을 경우, 휨량이 9∼10㎜ 정도 여유 있게 한다.
2 팬 벨트의 교환 시기 : 흠, 마모, 균열이 있는 경우
3 장력이 양호하지 못하면 : 발전기의 충전 기능 저하, 엔진 과열(라디에이터 냉각 불량)
4. 공기 청정기의 점검과 정비
1 엘리먼트의 먼지, 찌꺼기로 오염
2 엘리먼트가 오염되면 : 불완전 연소, 연료의 과다 소비, 유해 가스 배출
5. 타이어의 점검과 정비 (그림 2-65)
1 점검 사항 : 공기압, 마모 정도, 고정 볼트의 죔 상태, 금속.유리 조각의 박힘
2 부적절한 공기압 : 타이어의 마모, 안전성, 조향성, 연료 소비, 안락감 등에 영향을 준다.
6. 연료의 점검
1 연료계의 눈금으로 확인 : F(full), 또는 E(empty)로 표시
2 경고등에 불이 켜지면 보충
P116 (2) 기관의 시동
1. 시동 준비
① 주차 브레이크 잠금 상태
② 모든 전기 장치 OFF 상태, 변속기는 중립에 위치
3 시동 스위치(키)를 START 위치까지 돌린다. (5∼10초 이내)
4 곧 시동이 되지 않을 때는 약 10초 정도 후에 다시 조작
2. 기관의 시동
① 냉각된 기관의 시동 (겨울철 기관이 냉각되었을 경우)
: 여러 번 시동을 시도하여, 실린더에 과도한 연료가 들어간 경우
→ 가속 페달을 완전히 밟고 시동키를 약 10초간 START 위치로 하여 제거한다.
→ 페달에서 발을 떼고 다시 시동을 건다.
② 가열된 기관의 시동
→ 가속 페달을 절반 정도 밟고 시동키를 돌려 시동시킨다.
P117 (3) 기관 시동 후의 점검과 정비 제39차시
1. 점검
1 충전 경고등, 유압 경고등 점검
2 기관의 작동 소리 원활한지 확인
3 백미러, 사이드미러의 방향 적정 여부 점검
4 각종 램프의 작동 확인 : 전조등, 방향 지시등, 제동등, 후진등, 비상등
5 유격 확인 :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 핸들
배기 가스의 상태 점검
고 찰
배기 가스의 색깔과 기관의 상태를 알아보자.
색 깔
기관의 상태
무색 또는 엷은 보라색
정상
흰색 또는 짙은 회색
연소실 내에서 윤활유가 연소
검은색
혼합기의 농도가 너무 진하다.
P118 (4) 주행
1. 출발 : 시동을 걸고
1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밟고, 변속 레버를 1속에 옮겨 놓고, 주차 브레이크를 푼다.
2 출발 신호(방향 지시등)를 하고, 후사경으로 후방을 살펴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3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천천히 떼면서, 가속 페달을 밟아서 출발, 방향 지시등을 원상회복
2. 안전 운행
1 핸들 조작 : 속도를 충분히 낮춘 후 무리하지 않게 조작
2 변속 : 주행 상태에 알맞게 변속
3 브레이크 조작 : 2∼3회 천천히 밟아 속도를 줄인다.
4 교통 법규 : 안전 표시판(그림 2-68)을 주시하고, 법령에 따른 속도, 앞지르기, 차선지키기 등의
법규를 준수한다.
5 정차 -- 브레이크를 2-3회 밟아 천천히 감속, 급히 정지하면 추돌 사고 원인
--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변속기 레버 중립에 놓고, 시동을 멈춘다.
실습 과제
엔진 오일(윤활유)의 점검 및 교환 (122쪽)
1. 실습 유의사항
2. 실습 순서
1) 윤활유의 유면 검사 및
보충
2) 윤활유 교환
추천자료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의 현황과 그에 따른 문제점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에 관한 고찰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의 소비자 교육내용 분석
한국사회문제/ 자립형사립고등학교의 찬성반대입장을 밝히시오.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이 지향해야될 가치 - 효율성과 형평성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 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프랑스 고등학교 현대사 교육 [교육내용 구성과 조직을 중심으로]
농업계열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 검토 (식품가공교과)
외국어 계열 고등학교의 전문교육과정 (중국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