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들의 성문화 실태와 대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학생들의 성문화 실태와 대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OCU - 레포트』
한국의 대학생들은
개방을 향해 가는 과도기에 살고 있다
과 목 : 한국인의 문화와 심리
담당교수 : 윤준상교수님
학 교 : 중앙대학교
학 번 : 20072236
이 름 : 오 광 용
제출일자 : 2007.11.25.
▷성에 대한 한국 사회의 현실
“그녀의 입술은 빨간색의 캔디, 키스는 차디차고 달어- 마치 모카아이스 블렌디드 핸디캡 하나 없는 인간처럼 당당한 표현방식에.... 난 잠시 패닉, 내 맘까지 탐낼까 내가 더 겁내, 그녀도 태연히 속삭여, 흠 방이 좀 덥네 기분에 취해 서로의 입술을 건배 네 예쁜 다리를 접네..난 이런 여자가 좋아 ....” 박진영 7집『위험한 장난』中발췌
이러한 노래가사는 이제 연령을 불문하고 누구나 어디서든 쉽게 들을 수 있는 대중적인 것이 되어버린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러한 노래 가사를 통해 우리는 한국 사회의 현실을 단편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대중가요 외에도 케이블 TV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독고영재의『스캔들』혹은 외국 시트콤으로 인기를 끌었던『섹스 앤 더 시티』등의 프로그램들은 성 문화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하면서 부적절한 성문화에 대한 관념을 고쳐주거나 성문화에 대한 지식을 사람들로 하여금 갖게 했다.
이처럼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누구나가 성에 대해 상당히 거리낌 없이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개방적인 문화는 TV든 인터넷을 통해서든 비공식 매체를 통해서든 중고등학교부터, 심지어는 초등학교 때부터 학생의 의식 속에 내재되어 오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 생활을 마치고 이제 사회생활의 첫 문을 디딘 자유로움을 만끽하는 대학생들에게 이러한 성에 대한 개방적 의식은 극에 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음의 설문 조사는 이러한 현실을 매우 잘 대변해주고 있다. 특히 다른 조사들과 달리 면접조사나 대면 설문조사 혹은 전화조사가 아닌 익명성을 기반으로 한 상당히 많은 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매우 솔직한 답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네티즌 생각] 100명중 53명 \"결혼 전 동거 찬성\" *조사기간:11월16일 오후7시30분~11월17일 오후5시50분 *조사기관:다음 로고
*조사대상 : 다음회원중 2천4백36명 *조사방법:다음사이트에서 설문조사
신세대들 사이에 개방적인 성 관념이 퍼짐에 따라 동거를 알선하는 사이트도 생겨나는 등 만남을 주선하는 사이트들이 인기를 누리는 가운데 혼전 동거에 대한네티즌들의 의견을 물었다. 네티즌들에겐 혼전 동거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이 약간 앞섰다.
\"결혼 전 동거에 대해 찬성하느냐\"는 질문에 53%의 네티즌은 \"그렇다\"고 답했다. 결혼하기 전에 동거하는 것을 찬성한 이유로 \"사랑한다면 가능하다\"는 답변이38%를 차지했다. 33%의 네티즌은 \"동거가 결혼 전에 상대를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했다. 또 22%는 \"사회 세태가 변한 만큼 동거도 개인적 선택의 문제다\"는 반응을 보였다.
물론 이 조사 하나만으로 일반화 시킬 수는 없겠지만 이 조사를 보면 한국 사회도 이제 상당히 개방을 향해 변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OCU강의 과정에서 했던 일주일간의 토론의 내용으로 봐서도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개방된 의식구조를 갖고 있었고, 성에 대한 얘기가 나오면 쉬쉬하던 과거의 분위기와 달리 서로의 의견을 얘기하고 수용하는 과정이 보편화 되었다고 한다. 자신뿐만 아니라 주위에도 성경험을 한 친구들 역시 많다는 것도 이러한 것을 뒷받침해 준다.
문제는 이러한 개방성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에 있다. 특히 고등학교의 철저한 학교 시스템 하에서 담임선생님과 부모님, 그리고 교복이라는 사회적 틀의 감옥에서 이제 막 벗어난 대학생들이 이 개방성을 잘못된 방향으로 인지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것이 심각하게 어긋날 경우에는 사회가 완전히 왜곡되고 심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는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문제다.
▷현 한국 사회 대학생들의 현 성문화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무엇보다 현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학생들이 순간의 쾌락을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2.14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