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며
Ⅱ.본문
1. 갤러리아백화점 소개
2. 환경분석
1) 거시환경
1-1. 인구통계적 환경
1-2. 경제적 환경 1-3. 사회문화적 환경
1-4. 기술적 환경
2) 미시환경 2-1. 과업환경
2-2. 내부환경
3. STP전략 4. 마케팅 믹스(4P’S)
5. 판매후 고객관리
Ⅲ 맺으며
Ⅱ.본문
1. 갤러리아백화점 소개
2. 환경분석
1) 거시환경
1-1. 인구통계적 환경
1-2. 경제적 환경 1-3. 사회문화적 환경
1-4. 기술적 환경
2) 미시환경 2-1. 과업환경
2-2. 내부환경
3. STP전략 4. 마케팅 믹스(4P’S)
5. 판매후 고객관리
Ⅲ 맺으며
본문내용
믹한 변화를 나타낸다.
실내장식도 경쟁사와는 차별화를 두고, 매장 전체 이미지를 시즌에 맞는 컬러와 테마를 통해 최고급 분위기를 연출하며, 매장 내부는 층별로 색상과 조명을 달리하였다.
명품관 EAST 명품관 WEST
3. 서비스(차별화된 VIP서비스)
SVIP - 1년간 구매금액이 3,500만원이 넘는 고객
VIP - 연간 1,900만원 이상 물건을 구입한 고객
고객관리시스템인 \'G-Prestige Reward Program\'을 가동해 마일리지가 3,000포인트를 넘는 고객에게 여행권, 건강검진권, 항공사 마일리지, 갤러리아 상품권 및 각종 할인권 증정
명절 때는 고급 특산물을 전달하는 명절 감사 프로그램을 시행
대형 패션쇼 및 음악회, 콘서트에 초대,라는 명품잡지 발간
퍼스널 쇼퍼룸 - 이스트 4층에는 피팅룸과 화장실, 휴식공간으로 50평 규모의 쇼핑룸
이곳은 갤러리아 카드 사용자 중 90명과, 오피니언리더 110명등 200여명만이 사용할 수 있고, 퍼스털 쇼퍼가 고객의 취향과 스타일에 맞게 미리 준비한 상품을, 2개의 피팅룸에서 쇼핑이 가능하며, 퍼스널 쇼퍼가 직접 매장에서 상품을 가져오기도 한다.
갤러리아 명품관
갤러리아 백화점 (수원)
버버리
쇼라인 _컬렉션 스타일
200만원 ~ 400만원
일반 라이프 스타일
12만원 ~ 130만원
아르마니
아르마니 꼴레지오니
160만원 ~260만원
엠포리오 아르마니
70만원 ~ 140만원
2) 가격전략(Price)
일반 갤러리아 백화점과, 갤러리아 명품관의 상품을 비교 하여 보면, 같은 브랜드 내의 다른 라인이 서로 입점 되어 있다. 그 예로 버버리 같은 경우, 갤러리아 명품관에서 판매되는 의류는 쇼라인 으로, 고가의 컬렉션 스타일을 판매하는 한편, 수원에 있는 갤러리아 일반 백화점의 경우, 일반 라이프 스타일을 판매하고 있다. 즉, 갤러리아 명품관은 고가 상품에 대한 구매력을 가진 고객층을 타깃으로, 그들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고가의 명품을 고집한다.
3) 유통전략(Place)
1. 입점 계약 제도
① 특정매입
물류를 통해 매입되는 상품의 서류상의 형태는 유통업체의 직매입 형태이나, 실질적 상품재고 관리와 buying의 담당은 제조업체가 도맡는다. 유통업체는 브랜드에 공간을 제공하여 매출액의 30%를 수수료로 받게 되며, 갤러리아 대부분의 브랜드(90%)는 이 특정매입에 의해 운영된다.
② 임대을
특정매입과 매우 유사한 운영방식으로 서류상의 형태나 상품재고 관리면은 특정매입과 동일하나 임대을에 의해 운영되는 브랜드는 매출액의 10%가량의 수수료와 소액의 고정비용만을 유통업체에 지불한다.
유통업체 입장에서 특정매입에 비해 절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이지만 샤넬, LV 등의 슈퍼브랜드들을 입점 시키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제도이다. 브랜드 입장에서는 상당히 유리한 운영방식으로 현재 갤러리아 명품관내의 샤넬, LV, 구찌, 디올 등이 임대을 방식으로 운영된다.
③ 직매입
대부분 백화점 내 식품매장의 운영방식에 해당되며 해당브랜드의 모든 요소를 유통업체가 관리한다. 패션매장에서는, 갤러리아의 경우, WEST의 ‘스티븐알란’등의 셀렉트샵들이 직매입 방식으로 운영되며 buying 에서부터 재고처리까지의 모든 과정을 갤러리아 영업지원부에서 총괄하고, 책임진다.
4) 촉진전략(Promotion)
1. 광고
① 전단 : 전단은 4대 일간지와 연계하여 불특정 일반고객들이 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내용을 다룬다. 내용 중 가장 포인트는 행사에 있어서 고객이 가격적인 메리트를 느끼고 방문하도록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할인된 가격을 많이 부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② 더 갤러리아(THE GALLERIA) : 각종 신제품과 가격 등 쇼핑정보를 소개하고, 패션, 뷰티, 홈인테리어, 여행, 요리, 건강, 문화예술, 라이프 스타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DM : 목적을 가지고 발송되는 광고 매체 이므로 고객의 선별 과정에서부터 섬세한 신경을 쓰고 있다. 지역이나 구매한 금액, 매출이 많은 시즌 등으로 다양한 조건으로 고객을 선별하여 보내고 있으며 DM에는 일반상품의 가격적인 메리트와 함께 VIP고객에게만 증정하는 무료증정품 같은 행사내용도 포함된다.
④ 매체광고 : 다른 백화점과 달리 갤러리아 백화점은 하지 않고 있다. 이것이 다른 백화점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부분일수도 있는데 갤러리아는 불특정 다수 보다는 특정고객, 즉 지역적인 특성과 구매성향을 파악하여 타겟 프로모션을 주로 하기 때문에 비싸고 효율이 떨어지는 TV광고는 하지 않는다.
2. 촉진
① 세일 : 입점브랜드가 대부분 수입 브랜드이기 때문에 1,4,7,10월의 일반적 유통업체의 세일 주기를 따르지 않고 한 달 가량 먼저 시작하거나, 일년에 두 차례의 SEASON OFF만 시행한다.
② 각종이벤트 : 나라별 Festival 이벤트, GALLERIA FASHION FANTASY(패션쇼)등
3. PR
① 사랑 나눔 바자회 : 명품관은 06년 11월부터 갤러리아와 함께하는 아름다운 동행이란 주제로 한국 컴페션 후원 바자회를 열어왔으며 소년소녀 가장 돕기, 결식아동 돕기, 자폐아동 돕기 등의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바자회를 후원하고 개최하고 있다.
② 사회공헌 활동 : 사회복지, 의료구호, 자원봉사, 시역사회 측면에서 다양한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5. 판매 후 고객관리
갤러리아 백화점의 경우 전체 고객수 중 상위 10%의 고객이 전체 매출 50%정도로 차지할 만큼 VIP 마케팅의 중요성을 대변하고 있다. 갤러리아 백화점은 2001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CRM을 전개하여 패션 지향적이고 고급화된 명품을 지향하는 고객을 타깃으로 우수 고객 중 특히 VIP 고객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에 집중하고 로열티를 가진 고객층을 개발, 관리, 유지함으로서 고객의 다양한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 멤버쉽 서비스
① ‘ Thank you Gift Program ’ 서비스 전개
‘나는 특별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의식을 심어주기 위해서 설날, 추석 등 명절에 유명 지역 특산물을 제공하고 아울러 VIP 고객의 생일에는 와인, 케
실내장식도 경쟁사와는 차별화를 두고, 매장 전체 이미지를 시즌에 맞는 컬러와 테마를 통해 최고급 분위기를 연출하며, 매장 내부는 층별로 색상과 조명을 달리하였다.
명품관 EAST 명품관 WEST
3. 서비스(차별화된 VIP서비스)
SVIP - 1년간 구매금액이 3,500만원이 넘는 고객
VIP - 연간 1,900만원 이상 물건을 구입한 고객
고객관리시스템인 \'G-Prestige Reward Program\'을 가동해 마일리지가 3,000포인트를 넘는 고객에게 여행권, 건강검진권, 항공사 마일리지, 갤러리아 상품권 및 각종 할인권 증정
명절 때는 고급 특산물을 전달하는 명절 감사 프로그램을 시행
대형 패션쇼 및 음악회, 콘서트에 초대,
퍼스널 쇼퍼룸 - 이스트 4층에는 피팅룸과 화장실, 휴식공간으로 50평 규모의 쇼핑룸
이곳은 갤러리아 카드 사용자 중 90명과, 오피니언리더 110명등 200여명만이 사용할 수 있고, 퍼스털 쇼퍼가 고객의 취향과 스타일에 맞게 미리 준비한 상품을, 2개의 피팅룸에서 쇼핑이 가능하며, 퍼스널 쇼퍼가 직접 매장에서 상품을 가져오기도 한다.
갤러리아 명품관
갤러리아 백화점 (수원)
버버리
쇼라인 _컬렉션 스타일
200만원 ~ 400만원
일반 라이프 스타일
12만원 ~ 130만원
아르마니
아르마니 꼴레지오니
160만원 ~260만원
엠포리오 아르마니
70만원 ~ 140만원
2) 가격전략(Price)
일반 갤러리아 백화점과, 갤러리아 명품관의 상품을 비교 하여 보면, 같은 브랜드 내의 다른 라인이 서로 입점 되어 있다. 그 예로 버버리 같은 경우, 갤러리아 명품관에서 판매되는 의류는 쇼라인 으로, 고가의 컬렉션 스타일을 판매하는 한편, 수원에 있는 갤러리아 일반 백화점의 경우, 일반 라이프 스타일을 판매하고 있다. 즉, 갤러리아 명품관은 고가 상품에 대한 구매력을 가진 고객층을 타깃으로, 그들의 소비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고가의 명품을 고집한다.
3) 유통전략(Place)
1. 입점 계약 제도
① 특정매입
물류를 통해 매입되는 상품의 서류상의 형태는 유통업체의 직매입 형태이나, 실질적 상품재고 관리와 buying의 담당은 제조업체가 도맡는다. 유통업체는 브랜드에 공간을 제공하여 매출액의 30%를 수수료로 받게 되며, 갤러리아 대부분의 브랜드(90%)는 이 특정매입에 의해 운영된다.
② 임대을
특정매입과 매우 유사한 운영방식으로 서류상의 형태나 상품재고 관리면은 특정매입과 동일하나 임대을에 의해 운영되는 브랜드는 매출액의 10%가량의 수수료와 소액의 고정비용만을 유통업체에 지불한다.
유통업체 입장에서 특정매입에 비해 절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이지만 샤넬, LV 등의 슈퍼브랜드들을 입점 시키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제도이다. 브랜드 입장에서는 상당히 유리한 운영방식으로 현재 갤러리아 명품관내의 샤넬, LV, 구찌, 디올 등이 임대을 방식으로 운영된다.
③ 직매입
대부분 백화점 내 식품매장의 운영방식에 해당되며 해당브랜드의 모든 요소를 유통업체가 관리한다. 패션매장에서는, 갤러리아의 경우, WEST의 ‘스티븐알란’등의 셀렉트샵들이 직매입 방식으로 운영되며 buying 에서부터 재고처리까지의 모든 과정을 갤러리아 영업지원부에서 총괄하고, 책임진다.
4) 촉진전략(Promotion)
1. 광고
① 전단 : 전단은 4대 일간지와 연계하여 불특정 일반고객들이 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내용을 다룬다. 내용 중 가장 포인트는 행사에 있어서 고객이 가격적인 메리트를 느끼고 방문하도록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할인된 가격을 많이 부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② 더 갤러리아(THE GALLERIA) : 각종 신제품과 가격 등 쇼핑정보를 소개하고, 패션, 뷰티, 홈인테리어, 여행, 요리, 건강, 문화예술, 라이프 스타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DM : 목적을 가지고 발송되는 광고 매체 이므로 고객의 선별 과정에서부터 섬세한 신경을 쓰고 있다. 지역이나 구매한 금액, 매출이 많은 시즌 등으로 다양한 조건으로 고객을 선별하여 보내고 있으며 DM에는 일반상품의 가격적인 메리트와 함께 VIP고객에게만 증정하는 무료증정품 같은 행사내용도 포함된다.
④ 매체광고 : 다른 백화점과 달리 갤러리아 백화점은 하지 않고 있다. 이것이 다른 백화점과 차별화되는 가장 큰 부분일수도 있는데 갤러리아는 불특정 다수 보다는 특정고객, 즉 지역적인 특성과 구매성향을 파악하여 타겟 프로모션을 주로 하기 때문에 비싸고 효율이 떨어지는 TV광고는 하지 않는다.
2. 촉진
① 세일 : 입점브랜드가 대부분 수입 브랜드이기 때문에 1,4,7,10월의 일반적 유통업체의 세일 주기를 따르지 않고 한 달 가량 먼저 시작하거나, 일년에 두 차례의 SEASON OFF만 시행한다.
② 각종이벤트 : 나라별 Festival 이벤트, GALLERIA FASHION FANTASY(패션쇼)등
3. PR
① 사랑 나눔 바자회 : 명품관은 06년 11월부터 갤러리아와 함께하는 아름다운 동행이란 주제로 한국 컴페션 후원 바자회를 열어왔으며 소년소녀 가장 돕기, 결식아동 돕기, 자폐아동 돕기 등의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바자회를 후원하고 개최하고 있다.
② 사회공헌 활동 : 사회복지, 의료구호, 자원봉사, 시역사회 측면에서 다양한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5. 판매 후 고객관리
갤러리아 백화점의 경우 전체 고객수 중 상위 10%의 고객이 전체 매출 50%정도로 차지할 만큼 VIP 마케팅의 중요성을 대변하고 있다. 갤러리아 백화점은 2001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CRM을 전개하여 패션 지향적이고 고급화된 명품을 지향하는 고객을 타깃으로 우수 고객 중 특히 VIP 고객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에 집중하고 로열티를 가진 고객층을 개발, 관리, 유지함으로서 고객의 다양한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 멤버쉽 서비스
① ‘ Thank you Gift Program ’ 서비스 전개
‘나는 특별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의식을 심어주기 위해서 설날, 추석 등 명절에 유명 지역 특산물을 제공하고 아울러 VIP 고객의 생일에는 와인, 케
추천자료
국내 백화점 및 유통업계현황(롯데 백화점,대구 백화점)
[백화점][대형할인마트]사례를 통해 본 백화점과 대형할인점의 분류, 백화점과 대형할인점의 ...
[유통관리]롯데백화점 VS 갤러리아 타임월드 백화점
PB상품 현황 분석(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GS25, 훼미리마트, 세븐일레븐, 롯데백화점, ...
백화점경영 신세계 백화점, 롯데백화점 swot,stp,4p, 전반적 전략 비교
[백화점][쇼핑][현대백화점][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대구백화점][그레이스백화점][삼풍백...
[현대][SK하이닉스][현대전자][현대자동차][현대그룹][현대백화점]SK하이닉스(현대전자), 현...
화장품전문점(소망화장품), 아이스크림전문점(베스킨라빈스31), 패스트푸드점(롯데리아), 백...
[백화점][백화점 발전과정][백화점 고객][백화점 자금결제][경영기술]백화점의 발전과정, 백...
[현대][현대백화점][현대그룹][SK하이닉스][현대전자][현대자동차][현대차]현대백화점, 현대...
[백화점][백화점 현황][백화점 CRM][백화점 고객관계관리]백화점의 분류, 백화점의 양극화, ...
[백화점][백화점 시장조사][백화점 연봉제][백화점 명품관][백화점 사례]백화점의 유형, 백화...
현대백화점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현대백화점 기업상황분석과 문제점분석및 현대백화점 향후...
백화점의 발생 기원 기원국 한국,백화점이 발생한 이유,백화점의 특징 운영 상품,타 유통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