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목차
I. 연구목적
II. 서론
III. 본론
IV. 결론
II. 서론
III. 본론
IV. 결론
본문내용
경우 대부분의 PB상품이 특정매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소화하지 못하는 상품의 재고와 판매를 위한 사내 자원 부족으로 PB상품개발에 한계가 늘 존재하고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7) 향후개발계획
타업체와의 경쟁우위를 위해 롯데백화점은 새로운 PB상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우선적인 가치제안은 고가지향, 고품질지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료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자연산대하SET나 정관장 특선세트와 같은 신제품은 그 성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인 개발방향은 현 상품군 중 직매입 상품군(가공식품, 수입식품 등)은 협력사 및 당사계약에 따라 포장 및 디자인을 단독 개발하고, 판매도 당사가 독점적으로 판매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PB상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특정매입 상품군은 당사 협력사에 상품개발을 의뢰하여 신제품 출시가 이루어지면 일정기간(1년 혹은 6개월)동안 당사가 단독으로 판매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그 OPTION을 해제하는 방안을 통하여 PB상품 개발의 한계성을 타개하기 위한 PB성 차별화 상품을 개발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PB 상품의 4p\'s
① Product (제품전략)
롯데 백화점의 PB상품은 각각의 제조업체를 보면 그 제품의 품질을 짐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류의 제조업체로는 풍산농협이 있고 꿀류의 업체는 강원농원이라는 곳이며 기저귀, 생리대 등의 생필품 업체는 대한펄프와 같은 곳이다. 이러한 업체들은 그 업종에서 모두 시장규모와 품질면에서 12위를 다투는 업체들이다. 이러한 업체들과 거래를 하기 위해선 비용면에서 적잖은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백화점 측은 PB상품의 매출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지만 소비자의 신용을 가장 중요시하는 정책상 품질을 우선시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한다.
② Price (가격전략)
백화점 PB상품의 가격전략은 보통 할인점의 그것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모든 백화점의 경우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인력이나 조직측면에서 이들 비용의 절감을 위해 롯데 백화점 측은 상품의 판매에 직접 나서지 않고 있다. 자신들의 상표를 달고 출시되는 PB상품이기는 하지만 백화점 내에서 PB상품만을 위한 매장을 갖고 있지는 않은 것이다. PB상품의 판매는 백화점 내에 PB상품을 제조한 제조업체의 매장한편에서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가격을 백화점측에서 산정하는데는 해당매장 상품과의 균형성을 맞춰야 하는 압력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백화점은 가격의 상한폭과 하한폭만을 명시하여 업체가 롯데 측의 상품의 가격을 융통성있게 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품의 가격이 제조업체의 것과는 조금 비교우위가 있도록 상품의 상한폭은 제조업체의 상품가격보다는 낮게 책정되어 있다.
③ Place (유통전략)
- 롯데(식품사업부)의 PB상품 유통전략
제조업체의 편의를 중시하는 유통전략을 피고 있다. 현재 백화점 내에서의 PB상품의 위상이 그리 큰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여 제조업체에게 주문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제조업체의 상품에 겉포장만을 다르게 하는 수준에서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품의 유통을 위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나 적절한 유통채널의 확보에 있어서도 제조업체의 입장을 존중하고 있는 편이다. 그러나 서울시내에 있는 롯데백화점만을 보더라도 롯데측이 가지고 있는 PB상품의 제조업체들이 각각에 모두 입점해 있는 것은 아니다. 입점의 주도권은 백화점 측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제조업체가 그들의 영향을 행사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측면이 있다. 유통비용, 즉 상품의 운반에서 발생하는 비용측면에서 보자면 제조업체에서 자사의 상품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사의 운송장비에 롯데 측의 PB상품도 운반을 하기 때문에 백화점측에서는 유통비용의 감소를 얻고 있다.
- 재고관리
식품사업부에서 PB상품의 재고관리는 백화점측에서 일임하고 있다. 식료품업종의 특성상 오랜 보관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지만 백화점과 제조업체와의 계약 관행상 백화점측에서 이를 전담하고 있다. 이는 불리한 점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백화점 세일시 상품조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인 문제를 극복하는데 재고가 쓰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백화점측에서 보면 고객확보 측면에서 유용한 점도 있다고 한다.
④ Promotion (홍보전략)
PB상품의 경우 평상시에는 별다른 홍보전략이 없다. 앞서 언급했듯이 PB상품의 판매가 제조업체의 매장에서 이뤄지므로 별다른 홍보전략이 필요 없는 것이다. 굳이 백화점측에서 하는 PB상품의 홍보를 살펴보자면 세일기간에 자사의 매출을 늘리기 위해 전단지 홍보를 하는 정도이다.
-공급 업체와의 관계
기존백화점 업계가 모두 그러하겠지만 롯데 백화점 측은 백화점 업계의 선두주자로서 막강한 구매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PB상품의 경우에도 별반 다를 것이 없다. 제조업체의 입점권을 쥐고 있는 백화점 측은 공급업체, 즉 제조업체에 대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
⑤ PB상품의 SWOT분석
strength
weakness
가격대비 고품질
Brand Power
대형 유통업체로서의 확고한 유통망
공급업체 발굴의 어려움(브랜드 이미지 손상)
유통업태의 변화(대형 할인점 및 홈쇼핑의 등장)
점포수 확장의 어려움
opportunity
threat
고객들의 PB상품에 대한 인식변화
(PB상품 가격매력도의 약화)
기존 상품에 대한 Know-how
대형 유통업체로서의 자본력
기존의 고급 브랜드 이미지 약화 우려
PB상품의 NB화 추세에 따른 지나친 비용 상승(판촉비,판관비,경상비)
2. 대구백화점
1) 회사 개요 및 소개
대백을 상징하는 심벌 마크는 대구의 옛날 표기인 TAEGU(현재는 DAEGU)의 머리글자인 T를 모토로 하여 만든 것입니다.
즉, 양 손을 위로 뻗치고 있는 가운데 태양이 떠오르는 모습을 형상화 한 디자인으로 “새로운 희망”, “새로운 얼굴”, “새로운 출발”을 의미합니다.
두 개의 곡선으로 반원을 받치고 있는 것은 고객과 지역사회에 두 손 모아 봉사하고자 하는 대백의 고객감동 경영의지를 나타냅니다.
기업명
(주)대구백화점
우편
7) 향후개발계획
타업체와의 경쟁우위를 위해 롯데백화점은 새로운 PB상품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우선적인 가치제안은 고가지향, 고품질지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료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자연산대하SET나 정관장 특선세트와 같은 신제품은 그 성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인 개발방향은 현 상품군 중 직매입 상품군(가공식품, 수입식품 등)은 협력사 및 당사계약에 따라 포장 및 디자인을 단독 개발하고, 판매도 당사가 독점적으로 판매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PB상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특정매입 상품군은 당사 협력사에 상품개발을 의뢰하여 신제품 출시가 이루어지면 일정기간(1년 혹은 6개월)동안 당사가 단독으로 판매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그 OPTION을 해제하는 방안을 통하여 PB상품 개발의 한계성을 타개하기 위한 PB성 차별화 상품을 개발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PB 상품의 4p\'s
① Product (제품전략)
롯데 백화점의 PB상품은 각각의 제조업체를 보면 그 제품의 품질을 짐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류의 제조업체로는 풍산농협이 있고 꿀류의 업체는 강원농원이라는 곳이며 기저귀, 생리대 등의 생필품 업체는 대한펄프와 같은 곳이다. 이러한 업체들은 그 업종에서 모두 시장규모와 품질면에서 12위를 다투는 업체들이다. 이러한 업체들과 거래를 하기 위해선 비용면에서 적잖은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백화점 측은 PB상품의 매출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지만 소비자의 신용을 가장 중요시하는 정책상 품질을 우선시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한다.
② Price (가격전략)
백화점 PB상품의 가격전략은 보통 할인점의 그것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모든 백화점의 경우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인력이나 조직측면에서 이들 비용의 절감을 위해 롯데 백화점 측은 상품의 판매에 직접 나서지 않고 있다. 자신들의 상표를 달고 출시되는 PB상품이기는 하지만 백화점 내에서 PB상품만을 위한 매장을 갖고 있지는 않은 것이다. PB상품의 판매는 백화점 내에 PB상품을 제조한 제조업체의 매장한편에서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가격을 백화점측에서 산정하는데는 해당매장 상품과의 균형성을 맞춰야 하는 압력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백화점은 가격의 상한폭과 하한폭만을 명시하여 업체가 롯데 측의 상품의 가격을 융통성있게 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상품의 가격이 제조업체의 것과는 조금 비교우위가 있도록 상품의 상한폭은 제조업체의 상품가격보다는 낮게 책정되어 있다.
③ Place (유통전략)
- 롯데(식품사업부)의 PB상품 유통전략
제조업체의 편의를 중시하는 유통전략을 피고 있다. 현재 백화점 내에서의 PB상품의 위상이 그리 큰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여 제조업체에게 주문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제조업체의 상품에 겉포장만을 다르게 하는 수준에서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품의 유통을 위한 소비자 선호도 조사나 적절한 유통채널의 확보에 있어서도 제조업체의 입장을 존중하고 있는 편이다. 그러나 서울시내에 있는 롯데백화점만을 보더라도 롯데측이 가지고 있는 PB상품의 제조업체들이 각각에 모두 입점해 있는 것은 아니다. 입점의 주도권은 백화점 측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제조업체가 그들의 영향을 행사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측면이 있다. 유통비용, 즉 상품의 운반에서 발생하는 비용측면에서 보자면 제조업체에서 자사의 상품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사의 운송장비에 롯데 측의 PB상품도 운반을 하기 때문에 백화점측에서는 유통비용의 감소를 얻고 있다.
- 재고관리
식품사업부에서 PB상품의 재고관리는 백화점측에서 일임하고 있다. 식료품업종의 특성상 오랜 보관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지만 백화점과 제조업체와의 계약 관행상 백화점측에서 이를 전담하고 있다. 이는 불리한 점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백화점 세일시 상품조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인 문제를 극복하는데 재고가 쓰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백화점측에서 보면 고객확보 측면에서 유용한 점도 있다고 한다.
④ Promotion (홍보전략)
PB상품의 경우 평상시에는 별다른 홍보전략이 없다. 앞서 언급했듯이 PB상품의 판매가 제조업체의 매장에서 이뤄지므로 별다른 홍보전략이 필요 없는 것이다. 굳이 백화점측에서 하는 PB상품의 홍보를 살펴보자면 세일기간에 자사의 매출을 늘리기 위해 전단지 홍보를 하는 정도이다.
-공급 업체와의 관계
기존백화점 업계가 모두 그러하겠지만 롯데 백화점 측은 백화점 업계의 선두주자로서 막강한 구매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PB상품의 경우에도 별반 다를 것이 없다. 제조업체의 입점권을 쥐고 있는 백화점 측은 공급업체, 즉 제조업체에 대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
⑤ PB상품의 SWOT분석
strength
weakness
가격대비 고품질
Brand Power
대형 유통업체로서의 확고한 유통망
공급업체 발굴의 어려움(브랜드 이미지 손상)
유통업태의 변화(대형 할인점 및 홈쇼핑의 등장)
점포수 확장의 어려움
opportunity
threat
고객들의 PB상품에 대한 인식변화
(PB상품 가격매력도의 약화)
기존 상품에 대한 Know-how
대형 유통업체로서의 자본력
기존의 고급 브랜드 이미지 약화 우려
PB상품의 NB화 추세에 따른 지나친 비용 상승(판촉비,판관비,경상비)
2. 대구백화점
1) 회사 개요 및 소개
대백을 상징하는 심벌 마크는 대구의 옛날 표기인 TAEGU(현재는 DAEGU)의 머리글자인 T를 모토로 하여 만든 것입니다.
즉, 양 손을 위로 뻗치고 있는 가운데 태양이 떠오르는 모습을 형상화 한 디자인으로 “새로운 희망”, “새로운 얼굴”, “새로운 출발”을 의미합니다.
두 개의 곡선으로 반원을 받치고 있는 것은 고객과 지역사회에 두 손 모아 봉사하고자 하는 대백의 고객감동 경영의지를 나타냅니다.
기업명
(주)대구백화점
우편
추천자료
LG유통에 대하여
유통기업분석
유통의 일반적이해, 소매업의 구조와 현상에 대하여
유통산업의 특성과 사례
유통업의 변화와 전망
[유통관리론]신유통채널 ‘드럭스토어’의 현황과 향후전망 분석
PB상품의 등장과 발전에 따른 국내유통구조의 변화와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간 관계변화와 전망
유통기관경영론 광주 신세계 편
기업의중국유통시장으로의진출
[유통관리론]'신세계' 유통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유통] 우리나라 유통산업의 발전과 변화추세 분석
미래유통의 신성장동력 엔터테인먼트 쇼핑몰의 현황과 전략
화장품 유통 경로, 소매업태 유통망 및 장단점, 향후 변화 방향
[경쟁력강화, 유통산업]유통산업,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경쟁력강화, 전자상거래산업, 여행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