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IPTV의 등장과 배경
Ⅱ. IPTV의 정의
Ⅲ. IPTV의 특징
Ⅳ. IPTV의 시장전망
Ⅴ. IPTV의 국내시장
Ⅵ. IPTV서비스로 인한 효과
Ⅶ. IPTV의 출시를 위한 해결과제
Ⅱ. IPTV의 정의
Ⅲ. IPTV의 특징
Ⅳ. IPTV의 시장전망
Ⅴ. IPTV의 국내시장
Ⅵ. IPTV서비스로 인한 효과
Ⅶ. IPTV의 출시를 위한 해결과제
본문내용
청, 정보검색, 채팅, T-Commerce, 전화, 게임등 다양한서비스를 이용
○ 생활패턴의 변화에 기여하여 수동적 소비자를 생산적 소비자로전환
- 수동적 시청에만 머물렀던 소비자들이 정보를 요구하고 정보를 창조하는 생산적 소비자(Prosumer)로의 전환 본격화
○ IPTV는 BcN사업의 중심에 있으며, Ubiquitous사회의 기반 서비스로서 향후 미래사회의 사회문화의 창출과 발전을 선도
Ⅶ. IPTV의 출시를 위한 해결과제
□ IPTV는 방송인가?, 통신인가?, 또는 새로운 융합서비스 인가?
○ 통신과 방송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통신이냐 방송이냐의 논란이 있음
- 우리나라는 방송법과 통신법을 통해 서비스의 영역을 분리하고, 각각의 특성에 맞는 이념과 규제체계를 수립하여 운영
- IPTV는 통신 성격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방송성격의 프로그램 전송서비스도 함께 제공
- IPTV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적용하는 법률 및 해당규제 기구가 결정되는 상황에서, 이해 당사자들의 첨예한 갈등으로 인해IPTV 서비스의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임
○ IPTV는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줄수있는 새로운 통방융합서비스
- IPTV는 VOD, 인터넷, 실시간 방송등을 동시에 제공하고, 양방향성을 통해 보다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통신이나 방송이 제공하지 못하던 고부가 가치창출이 가능한 통방융합서비스
- 기술의 발달에 따른 융합화는 통신시장에서 유무선이 통합 되듯이, 향후 DMB와 같은 이동형 통방융합 서비스와 IPTV와 같은 고정형 통방융합서비스의 통합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존재함
- 따라서 IPTV는 단기적인 상황만이 아닌 기술 및 서비스의 융합화라는 중장기적인 흐름속에서 파악하여야하며, 향후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따라 예상치 못한 서비스의 등장도 기대 할 수 있는 새로운 통방융합서비스로서 인식하여야 할 것임
○ IPTV의 통방융합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규제체계 조속 마련이 필요
□ 주요 선진국의 IPTV 규제 현황
□ 산업 활성화와 공익성의 조화 필요
○ 경쟁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효율성과 여론형성 매체로서의 공익성은 각각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
- 경쟁을 통해 효율성을 중시하는 통신정책과 여론형성매체로서 공익성을 중시하는 방송정책은 각각중요한의미를 갖고 있음
- IPTV는 통신과 방송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통합된 새로운 서비스로서 경쟁을 통한 산업활성화 측면이나 방송의 공익성 측면중 어느 한가지 측면만 특별하게 강조하여 고려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
- 따라서 새로운 시장에서 IPTV의 방송적 기능과 통신적 기능을 함께 고려한 새로운 산업정책 목표를 수립함이 필요
□ 콘텐츠산업의 활성화가 최우선
○ 다양한매체의 출현을 통해 콘텐츠에 대한 수요증가
- 케이블TV, 위성방송, 위성DMB, 지상파DMB, IPTV 등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은 보다 차별화된 양질의 콘텐츠 수요를 촉발
-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사업자들이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여야 함
- 소비자에게 적정수준의 가격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자들의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함
- 통방융합 시장에서는 방송시장의 PP(Program Provider)들 뿐만 아니라 인터넷시장의 CP(Contents Provider)들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방융합 환경에 맞는 콘텐츠 시장의 활성화가 필요
○ 사업자들의 지나친 수익성 추구로 인한 오락물 범람 및 저작권 문제 야기 우려
- 다양한 매체들의 지나친 경쟁은 오히려 저질 콘텐츠의 난립을 불러올 우려가 있음
- 공익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 방안을 수립하고, 사업자들은 콘텐츠의 차별화를 통한 공정경쟁 노력이 필요
□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간의 상생을 위한 대안 개발
○ 통방융합 서비스의 발전을 위해서 통신 사업자와 방송 업자가 각각 보유하고 있는 기술, 콘텐츠, 이용자 행태 등에 관한 know-how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통방융합서비스 및 시장의 미래는 사업자간의 협력에 달려있음
- 현재 케이블TV 사업자들은 통신사업자가 거대 자본을 통해 방송시장을 황폐화 시킬 것이라는 이유로IPTV의 진입자체를 반대
- 그러나 방송의 영향력 또한 자본력만으로 시장을 포획 할 수 없는 통신사업자들의 약점에 해당
- 즉 통신계와 방송계는 융합시장에서 각각 장점과 단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융합서비스 및 신규시장의 창출을 위해서는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의 협력이 매우 중요
○ 생활패턴의 변화에 기여하여 수동적 소비자를 생산적 소비자로전환
- 수동적 시청에만 머물렀던 소비자들이 정보를 요구하고 정보를 창조하는 생산적 소비자(Prosumer)로의 전환 본격화
○ IPTV는 BcN사업의 중심에 있으며, Ubiquitous사회의 기반 서비스로서 향후 미래사회의 사회문화의 창출과 발전을 선도
Ⅶ. IPTV의 출시를 위한 해결과제
□ IPTV는 방송인가?, 통신인가?, 또는 새로운 융합서비스 인가?
○ 통신과 방송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통신이냐 방송이냐의 논란이 있음
- 우리나라는 방송법과 통신법을 통해 서비스의 영역을 분리하고, 각각의 특성에 맞는 이념과 규제체계를 수립하여 운영
- IPTV는 통신 성격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방송성격의 프로그램 전송서비스도 함께 제공
- IPTV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적용하는 법률 및 해당규제 기구가 결정되는 상황에서, 이해 당사자들의 첨예한 갈등으로 인해IPTV 서비스의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임
○ IPTV는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 줄수있는 새로운 통방융합서비스
- IPTV는 VOD, 인터넷, 실시간 방송등을 동시에 제공하고, 양방향성을 통해 보다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통신이나 방송이 제공하지 못하던 고부가 가치창출이 가능한 통방융합서비스
- 기술의 발달에 따른 융합화는 통신시장에서 유무선이 통합 되듯이, 향후 DMB와 같은 이동형 통방융합 서비스와 IPTV와 같은 고정형 통방융합서비스의 통합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존재함
- 따라서 IPTV는 단기적인 상황만이 아닌 기술 및 서비스의 융합화라는 중장기적인 흐름속에서 파악하여야하며, 향후 서비스의 진행 상황에 따라 예상치 못한 서비스의 등장도 기대 할 수 있는 새로운 통방융합서비스로서 인식하여야 할 것임
○ IPTV의 통방융합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규제체계 조속 마련이 필요
□ 주요 선진국의 IPTV 규제 현황
□ 산업 활성화와 공익성의 조화 필요
○ 경쟁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효율성과 여론형성 매체로서의 공익성은 각각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
- 경쟁을 통해 효율성을 중시하는 통신정책과 여론형성매체로서 공익성을 중시하는 방송정책은 각각중요한의미를 갖고 있음
- IPTV는 통신과 방송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통합된 새로운 서비스로서 경쟁을 통한 산업활성화 측면이나 방송의 공익성 측면중 어느 한가지 측면만 특별하게 강조하여 고려하는 것은 적절치 않음
- 따라서 새로운 시장에서 IPTV의 방송적 기능과 통신적 기능을 함께 고려한 새로운 산업정책 목표를 수립함이 필요
□ 콘텐츠산업의 활성화가 최우선
○ 다양한매체의 출현을 통해 콘텐츠에 대한 수요증가
- 케이블TV, 위성방송, 위성DMB, 지상파DMB, IPTV 등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은 보다 차별화된 양질의 콘텐츠 수요를 촉발
-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사업자들이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여야 함
- 소비자에게 적정수준의 가격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자들의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함
- 통방융합 시장에서는 방송시장의 PP(Program Provider)들 뿐만 아니라 인터넷시장의 CP(Contents Provider)들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방융합 환경에 맞는 콘텐츠 시장의 활성화가 필요
○ 사업자들의 지나친 수익성 추구로 인한 오락물 범람 및 저작권 문제 야기 우려
- 다양한 매체들의 지나친 경쟁은 오히려 저질 콘텐츠의 난립을 불러올 우려가 있음
- 공익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 방안을 수립하고, 사업자들은 콘텐츠의 차별화를 통한 공정경쟁 노력이 필요
□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간의 상생을 위한 대안 개발
○ 통방융합 서비스의 발전을 위해서 통신 사업자와 방송 업자가 각각 보유하고 있는 기술, 콘텐츠, 이용자 행태 등에 관한 know-how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통방융합서비스 및 시장의 미래는 사업자간의 협력에 달려있음
- 현재 케이블TV 사업자들은 통신사업자가 거대 자본을 통해 방송시장을 황폐화 시킬 것이라는 이유로IPTV의 진입자체를 반대
- 그러나 방송의 영향력 또한 자본력만으로 시장을 포획 할 수 없는 통신사업자들의 약점에 해당
- 즉 통신계와 방송계는 융합시장에서 각각 장점과 단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융합서비스 및 신규시장의 창출을 위해서는 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의 협력이 매우 중요
추천자료
[시장조사론]영화산업 동향분석 및 향후전망 분석(A+리포트)
콘솔게임기들의 경쟁과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 XBOX360에게 시장을 빼앗긴 PLAYSTATION3...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경쟁력 및 국내외 시장, 분업 전망 - 디지털 TV, LCD, OLED, 3D 디스...
[중국경제]중국 소비시장의 격차와 미래 발전전망
[시장조사론]국내 광고산업 분석 및 향후전망
[전기공학]LED의 특징과 국내외 시장동향 분석 및 향후전망 (A+리포트)
[아이패드]아이패드(iPad)의 이해(기능, 특징, 장단점, 시장 현황 등), 아이패드 출시가 IT산...
아이패드 소개, 아이패드 VS 넷북, 아이패드의 좋은점과 문제점, 시장영향력, 활용용도, 수혜...
[소셜게임]SNS와 게임의 만남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의 모든 것 - SNG의 개념 및 특징, 성...
[주택시장][주택시장의 전망][주택시장의 당면과제][부동산][부동산문제][부동산시장]주택시...
IPTV 개념 특징 유통 구조, 세계 시장 동향
[IPTV, 아이피티브이]IPTV(아이피티브이)의 개념, IPTV(아이피티브이)의 특성, IPTV(아이피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