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국가고시- 아동간호학 총정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사국가고시- 아동간호학 총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아동간호학의 개념

2. 성장발달

3. 신생아기

4. 영아기

5. 유아기

6. 학령전기

7. 학령기 아동

8. 청소년기

본문내용

+로 일때.->둘째 아이가 문제가 됨.(태반이 분리되는 진통동안에 태아 혈액이 모체내로 들어와 항체생산자극이 이 항체가 태아순환으로 들어와 태아의 적혈구를 파괴하여 태아는 용혈이 진행되는 보상으로 적혈구 조혈이 가속화 되어 미성숙 적혈구에 부착된 항체를 검사하는 것
-coomb\'s test:신생아의 제대혈액을 채취하여 적혈구에 부착된 항체를 검사하는 것
-치료:우선 목적은 예방으로 +인 신생아를 분만하거나 태아를 유산한 후 감작되지 않은 엄마에게 Rho 면역 글로부린과 RhoGAM을 투여(첫번 분만 혹은 유산 후 72시간 이내에)하여 모체가 Rh인자에 감작되는 것 예방)
-ABO부적합증:어머니가 O형, 아기가 A형 또는 B형
선천성 심장질환
-청색증형 심장질환:R->L shunt시, TOF(폐동맥 협착, 심실중격결손, 대동맥 우측전위,우심실비대), 삼천판 폐쇄, 폐동맥 폐색. 대혈관 전위. 총동맥관총
-증상: 심잡음, 청색증, 곤본형 손가락, 장화형 심장. 성장발육지연, 적혈구 증가증(혈전의 가능성 높아짐, 수분공급증진 시킬 것)
-TOF시 저산소발작이 일어날을때 knee-chest position을 취해주어 좌골의 대퇴정맥을 폐쇄시켜 정맥환류를 감소하여 우측심장의 부담을 줄이고 주요장기의 산호 포화도를 증가시킨다.
-비청색증형 심장질환:L->R shunt시, ASD, VSD, 대동맥 협착, 대동맥 축삭, 동맥관 개존증, 일반적 증상-.심잡음, 호흡곤란, 허약, 발육부진. 운동후 심한 피로감. 잦은 상기도 감염, 빈맥
울혈성 심부전
-심근의 과운동으로 심박출량 저하, 신환류 저하. 체정맥 울혈, 폐정맥 울혈
-치료:산소투여, 절대안정, 수분제한, 저염식이, 자주 조금씩, 디고신투여(90~100이하, 서맥시 의사에게 보고, 중독증상: 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시력장애, 부정맥. 서맥)
빈혈
-생후 6개월에서 3세사이에, 사춘기에 많이 생김(빨리 성장하는 시기)
-저장 철의 고갈로 철분결핍성 빈혈:비출혈, 심계항진, 호흡곤란, 쉽게 피로, 창백
-비타민 C와 함께 투여시 흡수 잘 됨. 철분제제 투여시 검은색을 볼 수 있음. 액체철분은 빨대로 복용하어 치아에의 착색 방지, 섭취후 바로 양치, 6mg/kg/day
-2~3개월동안 계속 투여 요구
신생아 무호흡증
-20초 동안의 무호흡 (10~15초의 무호흡은 신생아에서는 정상)
-증상:창백, 약하고 불규칙한 심박동, 서맥, 태변이 착색된 양수, 흉부근육, 늑간근육들의 보조근육 사용
-치료:촉각자극, 비강/비인두 흡인
미숙아 망막증(수정체 후부 섬유 증식증, 초자양막증)
-미숙아에게 고농도의 산소투여시 나타남
-33주 이하에서 호발
-PO₂50~70mmHg유지 요구, 산소요구 없어지면 바로 stop.실명가능
신생아 태변흡입
-증상:빈호흡, 신음 호흡, 신생아의 태변 착색, 청색증, 저산소증, 원통형 흉곽, 흉부의 과팽창, 근긴장도 저하
-치료:구강/비강의 분비물 제거. 머리상승 자세. 산혈증 예방 위해 중탄산나트륨 투여
기관지 폐 이형성증
-미숙아에게 집중적인 호흡기 치료후 (기관내 삽관.기계적 호흡. 고농도 산소투여:발생되는 만성 폐질환
-증상:호흡기 억제 증상. 상기도 감염 잘 생김
-적절한 산소농도 유지 필요. 계면활성제 투여
-촉발요인:태변흡입.폐부종, 수액의 과다투여, 폐고혈압
토순/구개파열
-수술후 중재:수요시 상체 60~80도 올리고 구멍크고 부드러운 것으로 빨대 사용 안됨
-수술시기는 언어형성되기 전에
-수술 후 사정:호흡곤란, 출혈, 봉합선 터지지 않게 울리지 말 것
식도폐쇄
-소화기계 기형증 2번째 흔한 기형(첫번째는 밀폐항문)
-기도흡인이 가장 중요문제
-증상 3C: cough. choking, cynosis,수유후 투사성 구토
-간호:위장관내 감압 위해 비위관 삽입. 수화
장폐쇄증
-3대 증상: 무변, 담즙섞인 구토물, 복부팽만(위장압력 상승)+심한 복통
-부위: 십이지장, 회장
-간호: 위장관내 감압위해 비위관 삽입, hydration
밀패항문
-남아에게 많다
-4type:항문협착증, 항문점막폐쇄, 항문무형성증(80%), 직장폐쇄
-증상:태변배출 안됨, abd. distention, vomitting
-수술후 간호:회음부 청결, 감압위해 위관영양, heat lamp, 기저귀 채우지 말고 노출, 측위
괴사성 결장염
-대장이나 소장의 점막에 괴사, 심하면 천공
-미숙아 조제유 먹는 아이에게 많다. 원인 잘 모름
-증상: 복부팽만, 불안정, 수유곤란, 대변의 잠혈
-간호: 복위는 복부압박 주므로 안됨, 조기발견 위해 bowel sound청진, 수유전 잔유량 확인, 항생제, 장을 비우기 위해 NPO, 비위관삽입
요도하열
-요도의 개구위치에 이상이 있는 기형
-수술후 중재: 압박dressing, 귀두의 순환사정, early ambulation
잠복고환
-고환이 음낭내로 내려오지 않고 복강내 머물러 있는 것
-문제시되는 것은 수정능력의 감소(음낭보다 체온이 높아서 불임의 가은성)
-생후 12개월까지 기달렸다가 수술, 서혜부탈장과 동반 경우 많다.
음낭수종
-체액이 음난에 축척되는 것
-영아까지 자연 소실 기다림
출생시 손상
-head trauma:산류, 두혈종(자연흡수기다림), 골절
-마비:안면마비(울 때 비대칭적 얼굴표정), 상지마비(비대칭적 모로반사, 마비된쪽부터 옷입히고 벗을 때는 반대), 사경(분만시 흉쇄유돌근의 손상으로, 손상된 쪽으로 기울어짐, 목운동시킴), 가장 흔한 것이 쇄골 골절(골절시 삼각대로 팔고정필요)
-경련, 반사손실, 고음의 울음등은 뇌손상의미
선청성고관절탈구
-여자에게 많다. 빨리 진단 붙이는 것이 중요, 주로 단축성이다.
-환측다리의 의전이 어렵다.
-환측다리가 짧다.(allis sign), 엉덩이 비대칭주름
-고과절은 170도 까지 외전되며 각 방향으로 관절운동이 가능
선천적 고관절탈구 (congenital dislocation of hip)
-증상:1. 대퇴내측의 피부주름이 비대칭
(탈구쪽 주름이 더 깊다.)
2. 히고 무릎 세우면 무릎길이가 다르다(allis증후) (탈구족이 짧다)
3. 고관절을 90도 굴곡시킨 상태에 외전시키면 탈 구가 있는 쪽의 제한이 있다.
4, 아기를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12.18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