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예 비 보 고 서>
DNA의 농도 및 순도의 측정과 재생 및 변성
(1) 실험 목적 : DNA의 정량방법에 대하여 습득하고, 온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함 으로서 DNA의 생화학적 특성을 이해한다.
(2) 실험 원리
1.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 (UV-Vis Spectrophotometer)
☞ 분자는 UV/VIS을 흡수하면 결합성 전자와 비결합성 전자가 ground state에서 excited
state로 전이된 다음, 여러 경로를 거쳐 다시 ground state로 되돌아가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를 관찰함으로서 분자의 전자 구조적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정성분석에서는 분자의 구조분석 (최대흡수파장, 흡광도, ε의 크기, band의 분리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해석)에 이용되며 순도확인 및 정량분석에도 널리 사용된다.
※ 일반적인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이 흡광도(A260)이 1 일때 ,,,
- double strand DNA 의 농도 : 50 ug/ml
- single strand DNA 의 농도 : 33 ug/ml
- R N A 의 농 도 : 40 ug/ml
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DNA와 RNA의 농도를 알 수 있게된다.
2. 흡광도
☞ 흡광도사진 밀도라고도 한다. 세기 I0를 가진 어떤 빛이 용액 층을 통과한 후에 광도가 I이 되면, 그 양은 log10(I0/I)으로 정의된다.
< 람베르트베르의 법칙 >
log10(I0/I)=εcd
ε : 몰흡광계수
c : 용액의 몰농도
d : 액층의 두께
따라서 ε과 d를 알면 광학밀도 측정으로 농도 c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광학밀도 ·흡광도 등의 정의는 상당히 애매하며, log10(I0/I)를 흡광도라 하고 흡광도를 d로 나눈 값을 광학밀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O.D.는 람베르트베르의 법칙이 성립하는 한 εc와 같고, 따라서 용질의 농도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어떤 표준상황에서 O.D.를 알면 그 물질의 용액의 O.D.를 측정함으로써 농도를 구할 수 있다. 단백질의 경우, 그 1% 용액 280nm의 O.D.를 기준으로 잡고, 단백질용액의 O.D.를 측정하여 이것을 14.0으로 나누면 그 퍼센트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O.D.는 농도에 비례하는 양이며, 핵산이나 핵단백질의 절대량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이 경우에는 그 물질을 1mℓ의 용액으로 만들었을 때, 260nm의 O.D.가 1이 되는 양을 1O.D.단위라고 한다.
예) RNA파지의 1mg을 1mℓ에 용해 → 1mg은 8 O.D.단위에 상당
→ RNA파지 1 O.D.단위는 1/8mg이 된다.
※ 이 경우에도 흡광도를 O.D.와 마찬가지로 d=1cm인 경우라고 정의하여 A260단위로 나타내는 일도 있다. RNA파지 1mg은 8 A260단위가 된다.
* O.D. Ratio ?
3. DNA (분자구조, Lamda DNA)
① DNA 분자구조
☞ DNA의 분자구조는 1953년 미국의 J.D.
DNA의 농도 및 순도의 측정과 재생 및 변성
(1) 실험 목적 : DNA의 정량방법에 대하여 습득하고, 온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함 으로서 DNA의 생화학적 특성을 이해한다.
(2) 실험 원리
1.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 (UV-Vis Spectrophotometer)
☞ 분자는 UV/VIS을 흡수하면 결합성 전자와 비결합성 전자가 ground state에서 excited
state로 전이된 다음, 여러 경로를 거쳐 다시 ground state로 되돌아가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를 관찰함으로서 분자의 전자 구조적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정성분석에서는 분자의 구조분석 (최대흡수파장, 흡광도, ε의 크기, band의 분리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해석)에 이용되며 순도확인 및 정량분석에도 널리 사용된다.
※ 일반적인 실험 결과
실험 결과 다음과 같이 흡광도(A260)이 1 일때 ,,,
- double strand DNA 의 농도 : 50 ug/ml
- single strand DNA 의 농도 : 33 ug/ml
- R N A 의 농 도 : 40 ug/ml
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DNA와 RNA의 농도를 알 수 있게된다.
2. 흡광도
☞ 흡광도사진 밀도라고도 한다. 세기 I0를 가진 어떤 빛이 용액 층을 통과한 후에 광도가 I이 되면, 그 양은 log10(I0/I)으로 정의된다.
< 람베르트베르의 법칙 >
log10(I0/I)=εcd
ε : 몰흡광계수
c : 용액의 몰농도
d : 액층의 두께
따라서 ε과 d를 알면 광학밀도 측정으로 농도 c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광학밀도 ·흡광도 등의 정의는 상당히 애매하며, log10(I0/I)를 흡광도라 하고 흡광도를 d로 나눈 값을 광학밀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O.D.는 람베르트베르의 법칙이 성립하는 한 εc와 같고, 따라서 용질의 농도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어떤 표준상황에서 O.D.를 알면 그 물질의 용액의 O.D.를 측정함으로써 농도를 구할 수 있다. 단백질의 경우, 그 1% 용액 280nm의 O.D.를 기준으로 잡고, 단백질용액의 O.D.를 측정하여 이것을 14.0으로 나누면 그 퍼센트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O.D.는 농도에 비례하는 양이며, 핵산이나 핵단백질의 절대량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이 경우에는 그 물질을 1mℓ의 용액으로 만들었을 때, 260nm의 O.D.가 1이 되는 양을 1O.D.단위라고 한다.
예) RNA파지의 1mg을 1mℓ에 용해 → 1mg은 8 O.D.단위에 상당
→ RNA파지 1 O.D.단위는 1/8mg이 된다.
※ 이 경우에도 흡광도를 O.D.와 마찬가지로 d=1cm인 경우라고 정의하여 A260단위로 나타내는 일도 있다. RNA파지 1mg은 8 A260단위가 된다.
* O.D. Ratio ?
3. DNA (분자구조, Lamda DNA)
① DNA 분자구조
☞ DNA의 분자구조는 1953년 미국의 J.D.
소개글